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신문화사의 공간과 문화의 정치경제학

        장세룡 문화사학회 2014 역사와 문화 Vol.27 No.-

        이 연구는 기존의 담론 중심의 문화정치가 공간을 사유하며 문화의 공간 정치로 확장을 시도하고, 기존의 정치경제학이 공간에서 전개되는 기호와 일상의 담론에 주목하며 미시적 문화의 영역으로 섬세화시키는 양상을 검토했다. ‘문화적 전환’이 설득력을 확장하면서 문화 그 자체는 점차 생산과 소비, 노동과 놀이까지도 포섭하여 자율적인 수용과 전유를 통하여 창조력을 재생산하는 ‘신개척지’로 평가받고 있다. 그 결과 문화연구는 지적 ‘전위성’에 ‘일반성’까지도 인정받았고, 심지어 문화는 곧 정치라는 간결한 선언으로 새로운 정치 인식의 지형도를 제출하리라는 기대감마저 불러일으켰다. 그것은 문화정치, 나아가 공간을 성찰하는 문화의 공간 정치 영역을 열어 주었고, 사회학과 경제학의 문화적 전환까지도 자극하여 문화의 정치경제학에 관한 전망을 수립하는 데 기여했다. 밥 제솝이 주도하는 문화의 정치경제학은 문화를 인간 중심으로만 보는 한계를 넘어 물질적 공간 자체가 가지는 존재론적 현실에 관심을 기울인다. 그것은 공간의 물질성 가운데서 출현한 기호학적 양상의 문화적 의미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새로 생성되는 영향력에 주목하도록 시야를 확장시킨다. 그리하여 현실에서 작동하는 인간의 담론성과 물질성의 결합과 담론성이 물질성을 거쳐 표명되는 양상에 관심을 기울이도록 촉구한다. 그러나 이 기획이 기호와 담론에만 배타적으로 관심을 쏟는 것은 아니다. 기호와 구조화가 서로 결합하여 표명하는 권력관계, 경로의존성 및 구조적으로 새겨진 선택성을, 다양한 변형, 선택 및 유지 보존의 진화적 메커니즘의 조건에서 탐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맥락에서 경제활동의 행위자가 수행하는 테크놀로지의 역할을 조명한다. 문화의 정치경제학이 정치경제학 분야에서 전개되는 사건과 과정, 경향과 구조를 기호학으로 설명하는 것은, 경제와 정치의 물질성 기호의 차원으로 축소시켜 경제와 정치의 관계를 분절시킨다는 비판을 받는다. 공간 정치와 문화의 정치경제학은 기본적으로 현재진행형 이론이다. This article focused on the aspects of one that the Cultural Politics transformed to the Space Politics of Culture through reflections on spatiality and placeness, and the another that the old Political Economy transformed to Cultural Political Economy which represents delicate and detailed spirit that implied in micro realms through attentions on semiotics and everydaylife discourse in space and place. By ‘Cultural Turn’, the culture itself was estimated as a ‘new reclaimed land’ that reproduces creative forces through autonomous reception and appropriation subsuming production, consumption, labour and play. In result, cultural studies even could acquire the intellectual avant-guardness and generality. Moreover, the proclamation that “culture is politics” provoked feeling of expectations that culture would suggest newly topographical map for political cognition. It opened up more productive realm of Cultural Politics of Space which reflects on spatiality and placeness and contributed to establish the prospects of Cultural Political Economy by stimulating ‘Cultural Turn’ of Sociology and Economics. The researches for the notions of Cultural Political Economy led mainly by Bob Jessop’s group had concerns for ontological reality based on the material space itself beyond the limit of human-centered culture. It leads to focus on the newly affective forces generated in works to explore cultural meanings of semiotical aspects that emerged in the materiality of space. This urges us to get down to the aspects of conjunctions of discoursality and materiality, the discoursality expressed through materiality. For example, as such a cultural city, entrepreneurial city etc, brand city project and Knowledge-Based Economy which seek in the name of creative economy or creative industry by local governance. But this project does not only focus on the semiotics and discourse exceptionally. It searches for power relation, path- dependency and institutionally engraved selectivity on condition of evolutionary mechanism of various transformation, selection and maintenance of Political Economy. Furthermore, the technological roles in relation to the economic activities will be lightened in this context. But notions of Cultural Political Economy are criticized for their reducing economy and politics materiality to semiotics dimension and so segmen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y and politics with the accounts for accidents and processes, trends and structures developed in Political Economy in terms of semiotics. The Space Politics of Culture and Cultural Political Economy are ongoing theories which are in the process of configuration, basically.

      • KCI등재

        공존의존과 지역소득수렴에 관한 분석: 미국의 BEA경제지역을 사례로

        임업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3 國土計劃 Vol.38 No.2

        본 연구는 지역소득수렴(regional income convergence)에 관한 전통적 접근방법을 공간계량경제학(spatial econometrics)의 관점에서 고찰하고, 이를 통해 한국의 도시 및 지역계획 관련 연구분야에서 공간계량경제학적 접근방법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90년대 이후 지역소득의 수렴에 관한 많은 경험적 연구가 있어왔지만, 대부분의 연구들이 지리적 실체들의 상호의존성을 무시한 비공간적(a-spatial) 관점에 기초하여 왔고 지역성장과정에서 기술 및 지식의 공간적 확산의 효과를 고려하지 않아 왔다. 또한 공간적 관점에서 접근하였다하더라도 세분화되지(disaggregated) 않은 공간적 분석단위를 사용함으로써 지역성장의 공간적 패턴을 분석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미국의 170개 BEA 경제지역(Economic Areas)을 공간적 분석단위로 하여, 탐색적 공간자료분석(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 기법을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positive)의 공간적 자기상관관계를 확인한다. 또한 본 연구는 공간계량경제학적 관점에서 기존의 지역소득수렴 분석모형의 방법론상 한계점을 지적하고, 공간적 효과를 고려한 세 가지 분석모형들(spatial lag model; spatial error model; spatial cross-regressive model)을 미국의 BEA 경제지역을 대상으로 추정한다. 한국의 지역계정추계 및 공간자료의 한계 때문에 비록 본 연구가 미국을 분석대상으로 하고 있으나, 향후 한국의 지역경제 관련 연구분야에서 공간계량경제학적 접근방법의 타당성과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공유공간 '셰어링 스페이스'의 공간 유형 분석 - 공유 경제의 개념을 바탕으로 -

        신은별,이진민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6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4 No.4

        기술의 발달과 온라인 플랫폼의 구축은 물리적 공간의 한계를 넘어서고 잉여, 유휴 자원을 공유함으로써 ‘공유 경제’가 대두되었다. 이런 시대적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공간의 양상을 공유 경제의 개념을 바탕으로 살펴보고 ‘공유 공간’의 개념 확장과 그에 따른 공간 유형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13년부터 서울시가 진행한 ‘공유기업 지정 및 사업비 지원사업’에 선정된 공유기업·단체 중 ‘공간’ 분야의 35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하며 첫째, ‘공유허브(sharehubkr)’에 공개된 정보를 수집. 둘째,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대상 사례를 ‘공유 경제 및 사회 문제 유형’과 ‘공유 공간의 기능, 운용, 상태’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유형화한다. 셋째, 유형에 따른 양상과 의미를 분석하여 현재 공유 공간의 현황을 파악하고 앞으로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한 유형을 밝힘으로써 균형적인 공유 공간의 발전 가능성을 모색한다. 공유 공간은 숙박, 문화 및 기타의 기존 공간을플랫폼 방식으로 운용하고, 주거, 사무의 실공간을 신축하여 공유하며, 유휴공간을 플랫폼과 기획 및 매니지먼트로 운용하여 문화 및 기타 기능으로 활용하려는 유형이 두드러진다. 또한 공간서비스 및 재분배 의 공유경제 유형으로 복지, 문화의 사회문제 해결하는 모델 개발이 필요하며 숙박, 주차의 오프라인으로 범위 확장과 유휴공간의 실공간 공유로 오프라인의 커뮤니티 형성, 그리고 주거, 사무 기능의 플랫폼 활용과 기획 및 매니지먼트로 공간 공유가 활성화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공유경제 개념의 보편적 확대에 따른 소비 행태 변화를 바탕으로 ‘공유(共有)공간’의 용어 재정의와 개념 확장을 통해 공간적 유형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으며 향후 발전적 전개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그 의미가 있다.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platforms, space has exceeded the limitations of physical space. Then, sharing surplus, idle resources became important. This thesis aims to expand the concept of sharing space and categorize the types of sharing spaces based on transforming the aspect of space as time goes on. This thesis examines 35 companies in ‘space’ category among the selected sharing company and organization which are supported by Seoul city project since 2013. Public information on Sharing Hub (sharehub.kr) is collected. Case studies are categorized by sharing economy and types of social issues, the function of sharing space, managing methods and conditions. Sharing space can be categorized as three distinctive types; Operating space as a platform by utilizing previous space such as accommodation and cultural space. Residential and office can be newly built, shared that place. Using space as a cultural place by setting up platform and management. Moreover, sharing space for solving social issues should be developed as a spatial service and re-distribution of sharing space.

      • KCI등재

        광역경제권 설정을 고려한 지역경제성장과 토지이용에 관한 공간연관성 분석

        최열(Choi Yeol),김현(Kim Hyun) 대한토목학회 200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8 No.5D

        본 연구에서는 ‘5+2 광역경제권’ 설정에 따라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대경권, 동남권, 강원도, 제주도 등의 7개 권역간 그리고 권역내 도시들간의 공간연관성을 지역총생산(GRDP)과 재정자립도, 그리고 토지이용(land use)중에서 경제성을 띄는 공업 및 상업지역비율을 분석변수로 하고 SUR방법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먼저, 1인당 GRDP에 관한 광역경제권역간 공간연관성에서 수도권은 대체로 충청권과 강원도를 제외한 나머지 권역간 그리고 권역내 도시들간 공간관계는 전반적으로 보완관계를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재정자립도에 관한 권역간 공간연관성은 1인당 GRDP와 거의 유사한 공간연관성을 보였지만 권역간에 통계적 유의성을 갖는 권역은 다소 적었다. 한편 토지이용측면에서 공업지역비율에 관한 권역간 공간연관성은 대경권과 동남권이 보완관계를 나타내었다. 권역내 도시들 사이에는 대체로 경쟁관계보다는 보완관계 양상을 띄었다. 예상과는 달리 상업지역비율에 대한 권역간, 권역내 공간관계는 공업지역비율에 대한 공간연관성과는 유사함을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광역경제권설정이 권역간 뿐만아니라 권역내 도시들간의 공간연관성을 고려한 권역별 지역경제공간 창출 그리고 균형잡힌 국토 공간관리 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al association of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land use considering 5 plus 2 regional economic sphere (Capital region zone, Chungchung zone, Honam zone, Daekyung zone, Dongnam zone and kang-won zone, Jejudo zone) in Korea. The factors of regional economic growth are GRDP and the rate of self-finance and land use, especially industrial and manufactering zone. The data for this research are obtained by National Statistical Office web-site etc. For this, the 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SUR), as a kind of simultaneous equation model, is employed as empirical analysis.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spatial association of the capital region zone and other zones is complementary. but Honam zone and Dongnam zone or Daekyung zone is competitive. We conclude from this study that the policy of regional development will be considered in accordance with the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land use. Also, this study found that Economic growth of regional economic sphere will be achieved from that of cities within zone and the results will be helpful to policy makers and regional planners when establishing regional planning in the future.

      • KCI등재

        북한의 사회주의 경제관리와 ‘경제적 공간’ 이용에 관한 연구

        황주희 ( Joo-hee Hwang ),임재천 ( Jae-cheon Lim ) 한국세계지역학회 2021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9 No.3

        본 논문에서는 북한의 ‘경제적 공간’ 개념을 중심으로, 개념의 성격과 더불어 이것이 북한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종합적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북한에서 ‘경제적 공간’ 개념이 처음 등장한 것은 1970년대로 추정되며, 김정일 시대를 거쳐 김정은 시대에 점점 더 빈번하게 그리고 확장되면서 사용되고 있다. 현재 ‘경제적 공간’은 북한 사회주의 경제관리의 중요 원칙으로서, ‘경제적 효율성을 합법적으로 추구할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즉, 이 개념은 북한이 ‘효율성을 추구하는 경제활동’을 정당화하기 위한 정책 논리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래 ‘경제적 공간’ 개념은 사회주의라는 과도적 특성을 반영하면서 나타났는데, 본질적으로 사회주의경제와는 모순적이다. 북한은 ‘경제적 공간’ 개념을 가치중립적으로 해석하며, 개념 해석의 유연성 및 확장성, 경제 운영을 위한 수단적 성격 때문에 적용 범위에 따라 다양한 ‘공간’으로 나타난다. 현재 북한에서는 이 다양한 ‘경제적 공간’들을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경영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경제관료의 능력이 강조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oncept of North Korea's ‘economic lever,’ and how it is used in the economic management. The concept of ‘economic lever’ appears to have emerged in the North since the 1970s and has been used more frequently in the Kim Jong Un era. Although the concept of ‘economic lever’ originally appeared while reflecting the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of socialism, it is essentially contradictory to the socialist economy. Currently, the ‘economic lever’ is one of the key principles in the economic management, used as ‘a space where economic efficiency can be legally pursued’ in North Korea. Namely, this concept has been adopted as a policy logic to justify the North's ‘economic activities pursuing efficiency.’ North Korea interprets the concept of ‘economic lever’ in a value-neutral way, applied into a variety of ‘spaces’ because of the flexibility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and its instrumental nature of economic operations. The ability of economic bureaucrats to efficiently achieve business goals by utilizing these various ‘economic levers’ is currently being emphasized in the North.

      • KCI등재

        ‘역사·사회, 시간·공간없는 경제학’의 종말? :주류 경제학원론 패러다임의 비판적 재검토를 중심으로

        정성기(Jeong Seong Gi) 한국사회경제학회 2016 사회경제평론 Vol.29 No.2

        2008년 이후 글로벌 대불황과 일자리 대란은 뿌리가 깊은 역사적인 현상이고, 또한 각국 혹은 세계적 범위의 경제위기는 정치·교육위기 등과 결합된 사회복합적 현상이다. 그런데 기존의 주류 경제학원론에는 사회와 역사가 있는가, 경제주체와 경제현상의 사회역사성을 인정하는가? 본 논문은 이런 질문을 제기하여, 한국과 미국의 대표적인 경제학 교과서 분석을 통해서 그렇지 않다는 것을 밝히고, 이런 몰사회역사성은 인접 학문이나 (정치)경제학의 역사, 비주류경제학의 성과에 비추어 이례적임을 밝힌다. 또한 그 원인은 주류경제학이 체계적으로 경제행위의 시간·공간을 무시하기 때문임을 밝혔다. 이런 방법론적 한계와 오류로 인해 주류 경제학의 전체 체계는 경제사와 지역·공간경제학 등에 의해 보완되는 자기모순적 상태임을 밝혔다. 그리고 이런 모순적 상황의 부정적 결과들, 그리고 이런 학문적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길을 모색해 보았다. Since 2008, global recession is not only firmly established a fact in history but also multi-aspect social phenomenon where local or world-wide economic crisis is coupled with political and educational chaos. By the way, do the principles of economics textbooks widely used in mainstream economics contain the story about society and history? Do they acknowledge socio-historical aspects of economic reality such as economic agents and a variety of economic activities? This paper raises these questions and shows that the socio-historical aspects are not included in the dominant textbooks of the U.S. and South Korea. Also, it demonstrates that ‘economics without society and history’ paradigm is different in terms of achievements of non-mainstream economics, the history of the political science, and a major category of academic disciplines such as humanities, social science, and natural science. In addition, it depicts clearly that such unsociability and non-historicity are taken seriously because mainstream economics systematically ignores economic behavior across time and space, and that due to methodological limitations and potential errors, the general scheme of mainstream economics lies in self-contradictory circumstance which may be complemented by economic history and regional/spatial economics. Furthermore, alternatives are proposed in order to overcome the academic reality and to resolve the unwanted outcomes of the contradictory circumstance.

      • KCI등재

        도시공간구조 재편에 따른 지역경제균열의 가능성

        김형빈 한국산업경제학회 2019 산업경제연구 Vol.32 No.1

        This study analyzes the imbalance gap between the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since the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policy of national level is implemented in each government after the local government was implemented in earnest. And this study analyzes the competitiveness of several megalopolis through analyzation of regional economic cleavages caused by urban space reorganization. Possibility of regional economic cleavages will be a significant obstacle to the overall development of the nation which the gap between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or regions. is caused the social and politics cracks. Possibility of regional economic cleavages has caused urban external cleavages by the imbalance between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and urban internal cleavages by imbalance in the region. As a result of detailed study, the analysis of the total amount and the qualitative economic power by the wide areas is as follows. Overall, the capital area has shown a slight decline. However, since 1995, the gap betwee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non-metropolitan area has remained stable for a long period of time without any improvement. And total amount economic power trend of central area is slight improvement in each wide area, on the other hand, Daegu·Gyeongbuk area is shown a very large reduction figure in comparison with other metropolitan areas, and regional economic power has shown that the regional imbalance is fixed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the whole quantitative aspect, which intensifies the regional economic crack. In addition, the total amount economic power index to per person of individual is confirmed that the capital area has a higher quality of economic power than other regional zones,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possibility of regional economic cleavages is very high. 광역경제권별 지역격차는 주민의 생활환경 차이 개선의 문제 보다는 정치, 행정, 경제, 사회, 문화 등에서 다양한 문제가 야기 되고 있어 지역내 도시공간 구조개편을 통해 해결해야 할 당면과제이다. 본 연구에서 지방자치가 본격적으로 실시된 이후 각 정부에서 국가 수준의 균형발전정책이 실시된 현재까지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불균형 격차를 분석한다. 그리고 도시공간 개편에 따른 지역경제균열 분석을 통해 광역별 경쟁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근거로 지역경제균열 가능성을 논하고 바람직한 광역권 도시공간구조개편 방향을 논한다. 지역경제균열 가능성은 수도권과 비수도권 그리고 지역간 격차가 사회균열 내지 정치균열로 이어져 국가전체 발전에 상당한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지역경제균열 가능성은 수도권과 비수도권 불균형으로 인한 도시외부균열과 지역내 불균형으로 인한 도시내부균열을 초래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로는 광역별 총량·질적 경제력 분석은 다음과 같다. 전반적으로 수도권이 약간의 감소수치를 보이고 있으나 2009년 이후 수도권과 비수도권간 지표의 추이 격차가 전혀 개선되지 않고 장기간 동안 고착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개별 광역권에서 중부권의 총량경제력 추이가 약간의 개선이 있으나, 이와 반대로 대경권역은 다른 광역권역들과 비교해서 감소 수치가 매우 크게 나타나 권역별 경제력은 전체 양적측면에서 지역불균형이 장기간 고착화되어 도시공간구조 재편에 따른 지역경제균열을 가중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 1인당 총량경제력지표상 수도권역이 타 광역권에 비해 질적인 경제력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지역경제균열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견고한 공간계량경제모형의 추정

        김성우(Sung-Woo Kim),정건섭(Kyoun-Sup Chang) 한국주택학회 2010 주택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주택시장의 가격 추정에 공간계량경제모형 적용에 있어 3차원좌표(X, Y, Z좌표)를 이용하여 보다 우수한 공간가중행렬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여기에서 Z는 실거래 층의 높이를 말한다. 3차원 공간가중행렬은 유클리디안 거리(d=)를 이용하여 거리가 멀어질수록 가중치가 줄어드는 형태의 공간가중행렬()을 구성하였다. 공간가중행렬의 우수성을 살펴보기 위해 기존 전통적 헤도닉모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선형, 반로그, 이중로그모형을 기초로 Anselin(1988)이 제시한 SAC 모형(model_1, model_2, model_3)을 구성하여 모형간의 적합도를 비교 하였다. 연구결과 model_1, model_2, model_3모형 모두에서 2차원 공간가중행렬()에 비해 3차원좌표(X, Y, Z좌표)를 이용한 공간가중행렬()이 보다 모형적합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주택가격 추정을 위한 공간계량경제모형의 적용에 있어 2차원적 공간가중행렬보다 3차원적 거리를 이용한 공간가정행렬이 보다 적합한 것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is trying to find out the spatial weight matrix using actual 3-dimension distance(i.e., Xc=X coordinate, Yc=Y coordinate, Zc=Z coordinate, where Z is equal to the height of the transaction house; for example, the height of second floor house can be calculated approximately as 2.8meter × 2nd floor = 5.6m) between houses in order to reflect the true reality in the housing price analysis. Due to the influence of spatial autocorrelation with respects to the housing price in the housing market, the estimation of the OLS(ordinary least squares) is not preferable. Then the spatial econometrics models reflecting spatial dependence and spatial heterogeneity are the first choice, probably. Specifically, the elaborate spatial weight matrix is constructed to predict the spatial relevance. It is the Euclidean distance() matrix which is composed of real distance between two houses with zeros on the diagonal; namely, the elements of the weight matrix(=, where α=1,2,3…) are equal to N by N. This is the very simple and logical weight matrix reflecting the spatial influence with each other; though, there is few relevant articles considering the real 3-dimension distance at all, in our short literature reviews. Therefore, this study clearly shows that the model improvement can be achieved by the elaboration of composing the more realistic distance weight matrix.

      • KCI우수등재

        한국경제지리학 연구 틀로서의 공간관계론

        韓柱成(Ju-Seong Han) 대한지리학회 2017 대한지리학회지 Vol.52 No.4

        본 연구는 한국경제지리학 연구 틀의 내용을 재정립하고 이를 현대경제지리학의 주요 이론과 관련지어 살펴보며, 21세기 한국경제지리학을 전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경제지리학의 재정립된 연구 틀의 구성내용과 현대경제지리학 관련 제이론과의 관련성은 매우 높다. 연구 틀인 경제의 공간관계론에서 한국경제지리학은 최근 정보와 지식연구의 영향을 받아 그 연구영역이 확대되어 미래에 새롭게 검토해야 할 내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늘날 글로벌화와 국지화가 동시에 진행되어 국민경제 관점의 중요성을 재검토하는 경우 연구대상과 그 공간적 스케일을 어떻게 설정해야 할까라는 점이다. 둘째, 정보와 지식을 기반으로 한 경제사회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지식유동 등의 가시적이 아닌 비물질 재화의 생산과 유동에 관련된 공간적 관점이나 새로운 방법론 등을 어떻게 조직하는가라는 점이다. 셋째, 사회나 정치, 지식, 제도와 문화로 시야를 넓혀 넓은 의미에서 경제현상의 지역성이나 지역사회의 동태를 밝히는 경향이 강하게 된다. 이러한 움직임은 경제지리학의 내용을 풍부하게 할지 모르나 경제지리학의 구심력을 약하게 할 위험성이 있다. 넷째, 제4차 산업혁명인 지능정보기술에 지능이 발달하면서 연결을 한층 증진시킴으로 초연결과 초지능이 특징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기존 산업혁명에 비해 더 넓은 범위에 더 빠른 속도로 영향을 크게 끼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new research frameworks of Korean economic geography. The frameworks were evaluated in relation with major theories of contemporary economic geography. The direction of Korean economic geography of the 21st century was then be discussed. It was found that the new frameworks are highly compatible with major theories of contemporary economic geography. Economic system and network theory, however, increasingly have more demand to be reexamined for reasons as follows; First, defining study subjects and spatial scales could be debatable on studies of national economics because of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occurring simultaneously. Second, spatial perspectives and study methodologies need to be reexamined due to change in economic activities such as production/flow of invisible goods (e.g. information and knowledge). Third, study scopes of economic geography are expanding to various fields such as social, political, cultural, legislative, and technological areas. This shift in study scopes may enrich contents but may also weaken the identity of economic geography. Fourth, hyperconnectivity and superintelligence, promoted by added intelligence into information technology, will change economic activities faster and wider than during the previous industrial revolutions.

      • KCI등재

        경제공간에서 신뢰형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성신제(Sin-Je Sung),이희열(Hee-Yul Lee) 대한지리학회 2007 대한지리학회지 Vol.42 No.4

        본 연구는 경제공간에서 신뢰형성의 개념적 틀과 발전단계를 제시하고, 신뢰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찰하였다. 경제공간에서 신뢰형성의 개념적 틀은 세 가지 접근, 즉 규범적ㆍ규제적 요인(법, 규범)과 사회적 위치 및 경제적 시스템(믿음, 정치, 제도)을 포함하는 거시적(구조적ㆍ제도적) 접근, 외적장치(표현요인, 사회적 역할, 중요한 상징)와 배경(물리적 공간, 매개자인 기술ㆍ지식 등)을 포함하는 중시적(상호주관적) 접근, 그리고 경제행위자의 의지(가치의 내재화)와 계산(모험 및 불확실성 분석)을 포함하는 미시적(주관적) 접근이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경제행위자 간 상호협력이 지속됨에 따라 신뢰형성은 거시적(구조적 및 제도적) 수준에서 중시적(상호주관적) 수준, 미시적(주관적) 수준으로 점차 발전한다. 또한, 경제공간에서 경제행위자 간 신뢰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경제행위자 간 장기적ㆍ반복적 상호작용, 정보공유와 호혜성, 상호의존과 자산특유성, 불확실성, 근접성, 기업의 문화 및 규범과 공식적 제도 등 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conceptual framework and a stage of development of trust building and to study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trust building in economics space. Conceptual framework on trust building in economics space is combined of in the three approaches. The macro(structural and institutional) approach includes normative and regulative factors(laws, norms), and positionality in social and economic systems(beliefs, political ideologies, institutions). The meso(intersubjective) approach contains the personal fronts(expressive factors, social cues, significant symbols) and settings(physical space, intermediary such as technologies & knowledges). The micro(subjective) approach comprises the willingness(internalization of value) and calculation(risk and uncertainties analysis) of economic actors. According to sustainable cooperation among economic actors, trust building to the macro(structural and institutional) level, the meso(intersubjective) level, and the micro(subjective) level develop by stages. The factors such as long-term and repeated interaction, information sharing and reciprocity, interdependence and asset specificity, uncertainty, proximity, and culture & norm of corporate and formal institution are determinants on the trust building across economic actors in economic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