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 동궁의 구조와 범위

        이동주(LEE DONG-JOO) 한국고대사학회 2020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100

        동궁은 차기 왕위 계승자인 태자가 거처하는 독립된 영역이자 전각을 이르는 말이다. 신라의 동궁은 문무왕 19년에 창조되었다. 유교적 예제와 관련하여 장자상속을 공고히 하려는 조치로 보인다. 그간 동궁의 영역을 월지 일대로 보는 데는 이견이 없었다. 그런데 발굴조사가 진전됨에 따라 임해전을 동궁이 아니라고 하거나 경주박물관 남측 부지에 비정하는 견해가 제출되었다. 임해전은 온실전에 비견되는 국왕의 영역이므로 동궁이 될 수 없다. 그런데 동궁 산하의 관부 가운데 월지악전, 월지전이 배치된 것을 보면 동궁은 월지 일대에 있었던 것은 분명하다. 이와 관련하여 월지 동편 일대의 발굴 성과가 주목된다. (가) 지구에서는 月臺를 갖춘 건물지 2동이 확인되었다. 1호 건물지로 명명된 공간은 담장으로 격절 되어 있다. 궁역의 모퉁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186번 목간에 보이는 ‘隅宮’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7호 건물지 남서편 (나) 지구로 이어지는 공간에 月臺 일부가 노출되어 있다. (나) 지구의 발굴이 이루어지면 그 면모가 드러나겠지만, 이 건물은 1호 건물의 규모를 압도하는 가장 권위적인 공간이다. 따라서 태자가 정무를 보면서 후계자 교육을 받는 공적 공간일 가능성이 높다. 동궁의 범위는 동편은 남북 대로에 의해 구획되며 출입시설로 동문이 조영되어 있다. 서편은 월지와 건물군 사이를 격절하는 담장으로 구획되었을 것이고, 월지 방면으로 소통하기 위한 서문이 조영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남편은 (나) 지구의 월대를 갖춘 건물 앞까지로 추정된다. 북편은 발천이 자연 경계면을 형성하며, 그리 멀지 않은 공간에 흥륜사-황룡사로 이어지는 도로가 조영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The East Palace (Donggung) refers to an independent area and royal palace where the crown prince, the next successor to the throne, resides. The East Palace of the Silla Dynasty was established in the 19<SUP>th</SUP> year of King Munmu’s reign. It seems to be a measure for strengthening primogeniture, concerning the Confucian ritual protocol. Until now, there has been no opinion against the consideration of the Wolji Pond area as the East Palace area. And yet, with the progress of the investigation and excavation, some had an opinion that Imhaejeon might not be the East Palace or that it was located at the southern site of the Gyeongju National Museum. Imhaejeon is the King’s realm compared to Onsiljeon. From the placement of Woljiakjeon and Woljijeon of the government departments under the East Palace, it is certain that the East Palace was in the Wolji Pond area. Concerning this, the result of excavation at the east side of Wolji Pond attracts attention. In District Ga(가), two Woldae-style building sites were found. The space named Building Site No. 1 is isolated by the wall. Since it is located at the corner of the palace district, it is assumed to be ‘Ugung Palace’ seen in Wooden Tablet No. 186. Also, in the space connected to District B, part of Woldae is exposed on the south side of Building Site No. 7. If District Na(나) is excavated, the appearance would be revealed, but this building is the most authoritative space that overwhelm the scale of Building No. 1. On the east side of Wolji Pond, this building is very likely to be the public space where the crown prince receives successor education, managing political affairs. As for the scope of the East Palace, the east side is partitioned by Nambuk-daero, and the west side is partitioned by the fence built on the Wolji Pond. The south side is assumed to be in front of the building with the Woldae District Na(나) reaches. It is hard to know the northern border, Balcheon is the border, and it is possible that the road leading to Heungryunsa Temple-Hwangnyongsa Temple was constructed in a not far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