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코로나 바이러스, 격리, 전자출판(1) : 프랑스 갈리마르 문학전문출판사의 전자출판총서 『위기의 트락트』

        류내영(Ryu, NaeYoung) 한국전자출판학회 2020 전자출판연구 Vol.15 No.1

        This study analyse and examine a digital collection which has diffused on-line under the name of 『Crisis leaflets (Tracts de crise)』 during the last sanitary confinement(2020.3.18.-2020.5.11.) in France against the Corona virus by the french literature publishing house Gallimard. During this total confinement never known until today enforced against the Pandemic disorder produced by the awful epidemic Covid 19 virus, the publishing house had transmitted 69 digital files (pdf files and e-pub files) passing the barrier raised by the confinement and the virus, which seems to us a successful result that this publishing house has well played with the dynamic digital information network which could be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subject of digital publication. Most of all, when we recognize that this new possibility for the development of the highest technological digital publication of 21th century seems to be deeply related to the fundamental literary basis of this publishing house, configured in his period of printing publication, this new possibility seems to show a historical continuity such as a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digital publication. This digital collection 『Crisis leaflets(Tracts de crise)』 looks like a literary publishing strategy of the french publishing house Gallimard on this age of digital publication, the house who focuses on his base of the ‘primordiality of words’ which will be the elementary tool of publication, and his literary history with great writers in the period of his printing publication. Thus, this study consist of two steps which will concentrate, in first step, to bring to light the raising background of the tract as a particular style of the french publication and the meaning of the tract as the literary style of the publishing house Gallimard, and in the second one will concentrate to argument a double character of proximity/enlargement of digital spatio-temporal playing, by examining the way of real-time transmission of tracts(files) of 『Crisis leaflets(Tracts de crise)』 as a new literary style of publication in the age of digital publication. Namely, in the first step that we will expose in this paper, we purchase two aspects of development of the french word tract of which the first one concerns his linguistic development in that we recognize the word was a neologism of 19th century inventoried in the french vocabulary to designate all the ancient words in the history of France concerning a 「ephemeral literature」 such as a lampoon(libelle), a pamphlet, a placard, a poster(affiche), a bill, a canard. And in the second one, we will argument a relation of this french tradition of tract and the invention of the expression 「calligramme」 by Apollinaire and his influence on the realization of modern publication. We will examine also the conflictual position against the former expression 「calligramme」 especially his visual characteristic, held by the publishing house Gallimard founded in the same time of the beginning period of 20th century(1911) and published later a tract collection 『Tracts of Nrf』(1934-1939) under the literary principal of house. Those two ‘tract collections’ 『Leaflets/Gallimard (Tracts/Gallimard)』 and 『Crisis leaflets (Tracts de crise)』 emphasize 「right words(mots justes)」 and present their literary favors. In the second step for whom we will consecrate in a second time, the way of the on-line transmission of 『Crisis leaflets (Tracts de crise)』 characterized as a 「literature of actuality」 by the Gallimard will be examined. Especially, those editing characteristic which tends to minimize the visual expression of letters will be examined regarding the ease of mouvement between media in the field of digital publication. 본 연구는 프랑스의 대표적인 문학전문출판사 갈리마르 출판사(Éditions Gallimard)가 지난 코로나바이러스 방역 격리 기간 중(2020.3.18.∼2020.5.11)에 온라인으로 전송한 디지털 총서(collection numérique) 『위기의 트락트(tracts de crise)』를 분석·검토한다. 신종코로나바이러스(COVID-19)의 가공할 세계적 유행병의 혼란에 따른 전대미문의 총체적 격리(confinement total) 기간 중에 매일, 무료로, 바이러스와 격리의 경계를 넘어 전송된 69개의 전자파일(pdf파일과 e-pub 파일로)로 이루어진 이 총서는 종이출판의 단순한 전산화 단계를 뛰어넘어 오늘날 전자출판의 가장 실험적인 주제라 할 수 있는 온라인 전자정보통신망의 역동성을 독창적으로 활용하는 데 성공한 것처럼 보인다. 특히, 21세기의 가장 전위적인 출판양식인 전자출판의 이러한 새로운 가능성이 인쇄출판시대에 구축된 출판사의 문학적 기반을 토대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여 역사적 연속성을 전자출판의 하나의 발전방향으로 제시하는 것처럼 보인다. 갈리마르 출판사의 디지털 총서 『위기의 트락트』는 출판의 기본도구인 ‘말의 근원성’을 기반으로 인쇄출판시대의 한 획을 그은 프랑스의 문학전문출판사가 전자출판시대에 다시 말의 위상을 강화하는 하나의 전략적인 문학출판양식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하나의 출판 양식으로서 「트락트」가 1920년대 프랑스출판계에 출현한 배경과 전자출판시대에 재 발굴되는 갈리마르 출판사의 문학출판양식으로서의 트락트의 의미를 밝히는 첫 번째 단계와 갈리마르 출판사의 문학적 『위기의 트락트』가 구현한 ‘온라인 실시간 전송’방식을 전자출판시대의 하나의 새로운 문학출판방식으로서 디지털 시공간의 확장성/근접성을 논의하는 두 번째 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본 고에서 다루어질 첫 번째 단계는, 「트락트」가 프랑스 역사에 출현한 모든 ‘‘당파적이며 선동적인 내용의 일회성 문학(littérature éphémère)’을 다룬 소책자(libelle), 팸플릿(pamphlet), 벽보(placard), 포스터(affiche), 민중 신문(canard)을 통칭한 19세기 초반의 신조어이며 20세기 초반의 혁명적 「칼리그람(calligramme)」으로 되살아나 하나의 근대적 출판양식으로 실현되기까지의 과정을 추적한다. 그리고 20세기 초반 동시대에 창립(1911)된 갈리마르 출판사의 문학전문출판사의 의미와 1930년에 출간한 총서 『신문학비평 트락트』의 문학적 특성은 문자의 시각적 특성을 드러낸 「칼리그람(calligramme)」과 대조되는 말의 위상임을 논의한다. 전자출판시대의 트락트 총서(『트락트/갈리마르』, 『위기의 트락트』)가 강조하는 ‘정확한 말’ 또한 갈리마르 출판사의 문학적 전통의 발현임을 밝힌다. 차후에 다루어질 두 번 째 단계에서는, 갈리마르 출판사가 ’시사문학‘으로 소개하는 『위기의 트락트』가 온라인 전자정보통신망으로 전송되는 방식을 검토한다. 특히, 문자의 시각적 표현 가능성이 극소화된 이 전자총서의 편집특징을 전자출판물의 특징적인 미디어간 이동의 용이성과 연관지어 살핀다. 갈리마르 트락트 역사에 언급된 대표적인 시청각미디어인 「시네-트락트(cine-tract)」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살피는 한 편 대표적인 시사매체인 ’전자신문의 온라인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기사전송방식’과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비교하고 분석한다.

      • 한국 전자출판산업과 한글코드의 역사적 고찰

        이기성(Lee, Ki-sung) 한국전자출판학회 2012 전자출판연구 Vol.- No.1

        1980년대는 한국에서 전자출판이 시작된 시대 인데 한글코드 표준화 문제로 정부와 마찰을 빚었었다. 그러나 출판, 인쇄, 국어학계가 일치 단결하여 한글 1만 1172자를 지켜내는데 성공하였다. 한국전자출판연구회와 컴퓨터통신동아리(엠팔)의 활동으로 한글폰트, 한글통신 문제를 거의 해결하였다. 1987년에 보석글 워드프로세서를 개량하여 편집/제작된 한글 DTP가 영진출판사에서 최초로 시작되었다. 1990년대는 콘텐츠출판학회, 한국전자출판협회가 추가로 탄생하였고 국내 대학에 전자출판 관련 학과가 창설되었다. 문체부에서는 서체별로 한글 1만 1172개씩의 폰트를 개발하였다. 2000년대는 PC게임이 스마트폰게임으로, OS는 윈도OS에서 안드로이드OS로 변화가 시작되었다. 한글코드 표준화는 KS 5601-87, KS 5601-92, KS 5700을 거쳐 유니코드로 종결되었다. 이제부터는 스마트와 클라우드에 적응하고 이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해야한다는 것이 결론이다. 가장 중요한 대비책은 전자출판 관련 교육이다.두 번째는 저작권 보호 문제이다. 세 번째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다. 한글 입력 자판 문제도 하루 속히 해결하고 통일에 대비해야 한다. 103키 같은 데스크톱이나 노트북용 키보드는 한글 세벌식 자판으로 표준을 바꾸고, 태블릿이나 스마트폰의 자판은 좀 더 입력하기 쉽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는 과학적인 자판을 개발하도록 꾸준히 연구하여야 할 것이다 . The Eighties, CAP(Computer Aided Publishing) industry has begun in Korea but the industry was in trouble with the government because of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character code. Members of the CAP Society and Electronic Mail Pals found solutions about the CAP industry problems on computer communication and displaying method of Korean charcter fonts. DTP(DeskTop Publishing) edited in Korean character began in 1987 using Bosukgeul Word Processing software by Youngjin Publishing Co., Ltd. The CAP department of Kaywon college was established in the Nineties. The Ministry of Culture developed various style of 11,172 Korean fonts. The Noughties, personal computer games are slowly begun to replaced by smart phone games.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character code has been improved from KS 5601-87 code and KS 5601-92 code to Unicode via KS 5700 code. In conclusion, needless to say, CAP industry has to adapt the Smart and the Cloud circumstances.

      • 국내전자출판 기술지원정책 현황 연구

        손애경(Son, Ae Kyoung) 한국전자출판학회 2012 전자출판연구 Vol.- No.1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전자출판의 문화기술 지 원정책 현황을 살펴보고 매체융합으로 인하여 새롭게 패러다임을 형성하고 있는 전자출판의 개념 확장에 대하여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국제적 전자출판계의 지각변동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국내외 전자출판 생산, 유통, 소비 단계를 아우르는 국제 전자 출판 유통 시스템 동향에 맞는 문화기술 요소를 제안하였다. 또한,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기반의‘전자책’ 단말기들의 새로운 글쓰기 형태와 제작, 유통 및 책읽기 유형의 변화에 따른 트랜드 분석을 통하여, 새로운 출판산업 가치사슬 구조에 적합한 문화기술요소를 도출하였다. 이 외에도 소셜미디어 및 개인출판 기술 동향을 분석하여, 출판시장과의 연계성 및 관련 정책 지원 범위를 알아보고, 나아가 미래 클 라우드 출판산업의 중장기 발전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The goal of the study is to examine an extension of the notion of digital publishing that is now forming a new paradigm due to the media convergence based on the review of the present state of the Culture Technology support policies in the domestic digital publishing. The study suggests a number of culture technology elements that are suitable for the value chain in the new publishing industr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new working style for the smart phone, e-book device based on the tablet PC. In order to suggest the culture technology elements the study focuses on some culture technology elements that are appropriate for the current trend of the international digital publishing distribution system. In addition, the study investigates the connection between publishing industry, and social media and self-publishing technolog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urrent trend and explores some medium-long-term strategies for the next generation cloud publishing industry.

      • 전자교과서 운영 사례 분석 및 활성화 모델

        종명(Choi, Jong Myung) 한국전자출판학회 2015 전자출판연구 Vol.- No.5

        출판 산업은 시장이 매우 큰 산업이며, 전자책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향후 출판 시장의 큰 비중을 차지할 것이다. 전자책의 일종인 전자교과서는 학교 교육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큰 관심 분야이지만, 지금까지 진행된 시범 사업에서는 많은 문제점들을 노출시킴으로써 전자교과서 확산에 부담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L.A. 공립학교와 2014년 국내에서 진행된 전자교과서 운영 사례를 기존 연구 문헌들과 신문 기사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전자교과서 활성화를 위한 “교육환경-교육모델-교수자역량”의 삼각 모델을 소개하며, 활성화를 위한 각 요소들의 내용을 제안한다. The publishing industry is a big industry with large market. In the publishing industry, e-books is growing rapidly and it will account for a large proportion of the future publishing market. E-textbook, a kind of e-book, is believed to bring significant change in school education, so that many countries in the world have made policies to promote e-textbook market. However, some experimental adoptions of e-textbook in US and Korea have revealed some problems.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cases of e-textbook adoption, in L.A. schools and in Korea schools, and introduce our e-textbook promotion model, which consists of “education environment – education model – capability of lecturer.” We also propose our suggestions for promotion of e-textbook in schools.

      •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서 전자출판 서비스 모델을 위한 기술요소 분석

        임순범(Soon-Bum Lim),최자령(Ja-Ryoung) 한국전자출판학회 2012 전자출판연구 Vol.- No.1

        최근 스마트 미디어 환경이 되면서 미디어 소비의 패턴이 변하였다. 이에 따라, 스마트 기기와 소셜 미디어의 결합에 따른 스마트 미디어 시대가 되었다. 전자출판 서비스도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 맞게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변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 따라 생산자, 독서환경, 콘텐츠가 변화의 흐름을 파악하여 전자출판 서비스 모델을 6가지로 도출하였다. 또한, 이를 위한 기술 요소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서비스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 하기 위해 출판인, 일반인, 기술자 3개의 그룹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각 그룹간의 인식 차이를 분석하였다. As smartphone become more common, people can get lots of information rapidly and easily at any time and place. Also, technology and environment are changed continuously by a desire of obtaining the information. Recently, the era of smart media has arrived because smart device and social media was combined. And the pattern of media usage is changed by the environment of smart media. In other words, people are used to receiving contents by using smart device. For these reasons, there is a need for a new paradigm of digital publishing service in smart media environment. We suggest six service models of digital publishing according to the smart media environment and analyze technologies for finding service models. Finally, we conducted a survey to three groups that consist of publishers, General users and IT experts. And we analyzed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between the groups to verify the service model.

      • 글로벌 디지털출판과 전자책의 진화

        웨이췬(WeiQun),이형재(Lee HyungJae),이해성(Lee HaeSeong),이건웅(Lee GunWoong) 한국전자출판학회 2020 전자출판연구 Vol.15 No.1

        The global publishing market is on the decline overall, and digital publishing is showing growth. The market for print media and paper books has shrunk, and the rise in e-books has now become common knowledge. The situation became entrenched after the Corona crisis, and Internet bookstores saw their sales rise and their status rise further. Therefore, it is time to analyze the scale of digital publishing closely and to re-concept the publication of new digital publishing, including the concept and scope of new digital publishing. Based on such needs, the study analyzes the new status and direction of digital publishing. 전 세계 출판시장은 전반적으로 하락세지만, 디지털출판은 성장세를 보인다. 인쇄미디어와 종이책 시장은 위축, 전자책 상승은 이제 상식이 되었다. 오디오북이라는 새로운 영역이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코로나 사태 이후 이러한 상황은 고착화되었고, 인터넷서점의 매출 상승과 위상은 더욱 높아졌다. 따라서 디지털출판의 규모를 면밀히 분석하고, 새로운 디지털출판의 개념과 범위 등 출판의 재개념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는 그러한 필요성에 근거해 디지털출판의 새로운 위상과 방향성을 분석하고 있다.

      • 새로운 전자책 구매 모델의 등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승환(Lee, Seung Whan) 한국전자출판학회 2014 전자출판연구 Vol.- No.3

        한국은 세계 최고의 IT 강국이라고 여겨지면서도 전자책 보급에 있어서는 선진국 대열에 끼지 못하고 있다. 최근의 크레마와 sam 단말기 보급 경쟁 결과는 회원제 전자책 구매 플랜을 추가한 sam이 훨씬 더 잘 팔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디바이스 자체 보다 어떤 구매 플랜을 제공하느 냐가 사용자에게 더 어필한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해외에서 새롭게 개발되거나 등장하는 전자책 구매 모델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이다. 본 연구는 새롭게 떠오르는 전자책 구매 모델로 1) 정액 모델, 2) 대여(렌탈) 모델, 3) 무료 모델, 4) 중고 모델을 제시하고 각각의 발전 과정을 분석한다.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구매 모델들이 개발되어 이용자들의 구매와 이용 만족감을 높일 수 있도록 시장에서 활용되는 것이 한국 전자책 시장 활성화에 필요하다. Even though Korea is widely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advanced IT countries in the world, the level of diffusion and use of e-book is not a world class. The recent case of competition between Crema and sam devices ended with a landslide victory to sam which provided new membership purchase service in addition to the device, sam. This indicates that the purchase model of e-book may be much more important than the e-book device itself.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newly emerging e-book purchase plans. This study overviews four new models: 1) subscription model, 2) rental model, 3) ad-inserted free model, 4) used e-book model.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and introduce these new e-book purchase models as a way to boost Korean e-book industry.

      • ePub3의 적용현황과 시사점

        이은호(Lee, Eun Ho) 한국전자출판학회 2013 전자출판연구 Vol.- No.2

        최근 미디어의 발전과 ICT 환경의 변화 속에서 모든 분야의 산업들이 빠르게 진화하고 있는 상황이다. 출판시장도 예외는 아니며, 전자책 (eBook)에 대한 관심과 수요도 매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읽을 만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니즈(needs)는 계속해서 증가되고 있으며 이를 해갈하기 위한 서비스와 환경도 계속해서 발 전되고 있다. 사용자들의 소비 패턴도 소유(所有)에서 소비(消費)의 형태로 바뀌고 있다. 뿐만 아니라, 컨텐츠를 소비하면서 생산까지 하는 참여형 소비자인 ‘프로슈머(prosumer)’의 형태에서, 즐겁게 쇼핑하는 형태의 펀핑(fun-pping)을 원하는 즐기는 소비자인 ‘플레이슈머(playsumer)’로 진화하고 있다.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들이 대중화 되면서 전자 책의 파일 포맷도 발전해 나가고 있다. 단순한 텍스트만을 지원하는 형태에서 멀티미디어(동영상, 애니메이션 등) 요소들과 인터렉티브(interactive) 기능 추가로 리치 미디어(rich-media)이 가능한 형태로 말이다. 최근 국내.외에서 전자책의 표준 포맷으로 자리매김해 나가고 있는 파일 포맷이 바로 ePub인데, 본 논문에서는 이 ePub의 적용현 황과 향후 전자출판에 미칠 요소들을 예측해 봄 으로써 다가올 가까운 전자출판 시장의 변화를 예측하고 대응책을 마련하고자 한다. Speaking of which, as recent developing in media and ICT environment, all relevant fields of industry are in progress including printing market. Thus, interest and demand for eBook are increasing as well as the needs of readers for the good reading contents. In order to resolve the circumstances, service and environment are progressive as well. As matter of fact, the major patterns of the reading style has been changing from possession to consumption . Furthermore, the changing effects prosumer , a type of participant consumer who consume and produce contents, to playsumer , a type of fun-pping consumer who prefer fun shopping. As diverse smart devices get popular, the file format of eBook is progressive as well. For instance, from simply text comprised format to rich-media which enables added interactive feature and multi-media (video, animation, etc,) compatibility. In recent, ePub has been dominating as standard format of eBook in the digital industry. This paper would provide a proper counterplan by introducing analysis of ePub applications and anticipating the effects from upcoming changes of digital printing industry.

      • 영상아카이브로서 멀티미디어형 전자책 출판 시론 : <KBS 걸어서 세계 속으로>의 경우

        신춘호(Shin. Chun-ho) 한국전자출판학회 2020 전자출판연구 Vol.14 No.1

        본고는 방송영상콘텐츠인 <KBS 걸어서 세계 속으로>라는 프로그램 제작과정에서 생산한 영상물을 활용하여 2차, 3차 파생콘텐츠로 OSMU(원소스멀티유즈), OSMD(원소스멀티디바이스)를 지속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멀티미디어형전자책의 출판도 가능(혹은 필요)하다는 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프로그램의 특장점인 영상콘텐츠가 멀티미디어형전자책과 가장 밀접한 연계성이 있고, 이러한 영상콘텐츠는 전통적인 영상아카이브와는 다른 형태를 보이면서 하나의 완성된 콘텐츠로도 의미가 있다는 점을 상기하면서, 아카이브의 형식으로서 전자책의 출판을 제안하고, 그 가능성을 살피고자 한다. 이는 특정 방송프로그램의 콘텐츠전략과 파생콘텐츠 제작 사례가 여타의 경쟁, 혹은 유사 프로그램의 파생콘텐츠 확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사례연구로서 유의미한 측면이 있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is what seeks the specific realization of video archive using the broadcasting image contents from the publication of multimedia-typed electronic book on the assumption that an electronic book may be a form of archive. There is a current tendency that an electronic publishing market keeps on being spread, that an interest is getting higher in publishing multimedia-typed electronic book using screen image(photo, moving image, culture map, info-graphic, etc.), and that even the publishing cases are grow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even the publication of a multimedia-typed electronic book is possible(or necessary), with paying attention to continuing OSMU(One-Source Multi-Use), OSMU(One-Source Multi-Device) as the secondary and tertiary derived contents through applying image data, which were produced in the process of making a program titled <Walking into the World on KBS>, which is the broadcasting video content. The aim is to suggest the publication of electronic book as a form of archive and to inquire into its possibility while recalling a point especially that the image content has the closest correlation with the multimedia-typed electronic book as a special merit of the program, and that this image content has a significance even as one completed content with showing a different form from traditional video archive. This is thought to have a significant aspect as a result of a case research in that a content strategy and a derived-content making case in a specific broadcasting program may have influence even upon the extension of the derived contents in other rival or similar programs

      • 전자책 체험의 상호작용 양상

        박미희(Park, Mi Hee) 한국전자출판학회 2015 전자출판연구 Vol.- No.4

        전자책 프로젝트가 시작된 지 40여 년의 시간이 흘렀지만 여전히 종이책은 건재하다. 종이책이 오랜 시간 코덱스 형태를 유지했던 것은 그것이 갖는 형태적 특성은 물론 그 안에 내용을 서술하는 방식에 이르기 까지 최적화된 구성 방식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전자책 역시 전자책만의 변별성을 강화할 수 있는 미디어 요소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에 이 글은 전자책의 미디어 체험을 강화하는 상호작용 양상에 대해 주목하고자 한다. 종이책에서 기대할 수 없던 향유자의 적극적인 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상호작용이 전자책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드러나는지 살펴보았다. 전자책 체험은 물리적 조작에 의한 접촉을 시작으로 선형적 읽기에서 탈피한 내용의 인식을 통해 직접 내용을 조절하고 완성시키는 심화의 단계를 거치며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이렇게 향유자가 향유 과정에서 상호작용을 통해 직접 체험한 내용들은 내면화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면서 종이책보다 효과적인 결과를 도모할 수 있다. 향유자 개인의 차별화된 체험이 고착되고 이를 토대로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향유자에게 체험 내용을 공유하면서 저자와 독자로 제한되었던 커뮤니케이션 범위를 확대하며 체험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이러한 논의가 지속되면서 전자책의 최적화된 구성 방식을 구축하고 미디어로서 전자책의 변별성을 확립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eBook project has passed the time more than 40 years beginning. But still a paper book is alive and well. A paper book has maintained a form of Codex for a long time. Because it has optimized contents in a form of paper book. We must consider the components of ebook that to enhance the properties of the media. This article is focused on aspects of interaction of eBook to enhance the media experience. It had a look at aspects of interaction in the eBook. An eBook experience is started in interaction by the physical operation. An eBook is a outside in the linear reading. Interaction of eBook can be active experience that could not be expected in paper book. A person who enjoy eBook experience the stage of deepening by adjusting the content directly. As a result, it is easy to understand the contents. Also, it gives a positive impact on internalization. An individual experience by enjoyment of eBook is secured. Since then, A person who enjoy eBook shares the experience to others over the network. The communication range that is limited to the author and the reader is expanded. And the communication by eBook is intended to positively utilize the eBook experience. These discussions should be continued. It will be to build an optimized configuration of the eBook.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n eBook of characteristics as a med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