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글로컬 시대의 철학

        박치완(Tchi-wan PARK)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2 철학과 문화 Vol.25 No.-

        이 논문에서 우리는 글로컬 시대의 철학이 천착하고 또 지향해야 할 방향이 무엇인지를 거시적으로 제시하면서 한국철학의 정체성, 현주소를 점검해보는 자리를 마련해보는데 연구목표를 두었다. 이를 위해 서론에서는 현대철학의 지형도 변화를 설명하면서, 차이와 타자를 배제의 대상이 아니라 교류, 소통의 대상으로 포용할 수 있는 새로운 논리를 통해 철학이 일반적으로 기대고 있는 서구유럽적 보편성, 보편주의를 문화적 상대성, 특수성과의 관계 속에서 새롭게 조명해보았다. 그리고 본론에서는‘glocalization’(국내에서‘세계지역화’로 번역하고 있는)에 대한 새로운 번역과 해석(‘지역세계화’)을 통해 시장경제의 세계화나 문화의 세계화도 문제지만 특히 지식의 세계화를 미연에 막기 위해 대한민국의 철학계에서 고민하고 또 풀어야 할 과제가 무엇인지에 대해 적시해보았다. 마지막 결론에서는 모든 철학은 기본적으로 지역성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독일철학, 프랑스철학, 영미철학 등), 한국철학도 이제는 우리의 삶-생활 연관적 지역성을 살려야만 하고, 그렇지 못하면 보편성/특수성에도, 지역성/세계성에도 다다를 수 없다는‘화두’를 던져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는 모든 철학에도 문화적 색깔이 상존한다는 점을 확인할수 있었다. 미국, 프랑스, 독일 등 경제∙문화강국일수록 그렇다. 게다가 현대에 이르러서는, 19세기에‘과학’이 그랬던 것처럼,‘경제’가 모든 학문 영역을 좌지우지 한다. 사유-자유의 추구를 본질로 하는 철학이‘과거의 죽은 보편성’에 빠져 소일 할 수 없는 이유이다. 이 시대가 요구하는 보편성은 ‘로컬들’을 넘나들 수 있는 보편성이어야 하며, 그때 비로소 철학은 소수자에게만 이로운 것이 아니라 온 인류에게 봉사하는 공공성을 살릴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article, we intend to propound macroscopically the adequate direction of Korean philosophy, which is inquired in the age of glocalization, by presenting the identity and current position of it. Firstly, a new logic which embraces difference and other-ness as objects of exchange and communication, not objects of elimination, is proposed. In this perspective, the western european universality and universalism, in relation with the cultural relativity and cultural speciality, is also examined, along with explaining the change of the topographic map of contemporary philosophy. Secondly, we discuss the problem of glocalization (interpreted as 'localization of global' in Korea) of the market economy and culture, in order to highlight the danger of the globalization of knowledge. It is also argued that the task of Korean philosophy is to avoid this danger, through a new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of glocalization as 'globalization of local'. Finally, in conclusion, we argue that Korean philosophy must vitalize the locality related to life-living of its own, to establish the Korean indigenous perspectives of universality/speciality, locality/globality. It is imperative to consider that what we call 'philosophy' in the academic world, fundamentally, reflects it's own locality, as German philosophy, French philosophy, and Anglo-American philosophy, etc. Through this study, we find every philosophy connotes its own cultural color, as is remarkable in the economic and cultural super-power countries, like USA, France, Germany, etc. Moreover, as 19th century’s science did, economy overwhelms every region of studies. This is why philosophy, that pursues thought-freedom, should not flounder in the realm of dead universality. Thus, it is not until the concept of the contemporary universality crosses over locals that philosophy can revitalize its public nature by serving not a few but whole mankind.

      • 지역과 세계, 상대성 보편성의 경계에 선 철학

        박치완(Tchi wan PARK)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3 철학과 문화 Vol.26 No.-

        철학의 세계성(globality)은 실제 철학의 지역성(locality)이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는 지역성, 상대성이 높을 때 세계성, 즉 보편성에 다가갈 확률이 높다는 것을 증험(證驗)한다. 그런데 어찌된 일인지 사람들은 철학을 논할 때면 예외없이 비지역적이고 초시간적인 보편성만을 사유의 모범으로 고집한다. 보편성, 세계성은 물론 시공간을 초월하며, 누구에게나 적용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과연 그런 인문 지식의 보편성이 존재할까? 서구인들을 위한 서구적 보편성이 동양이나 한국에서도, 아프리카의 에티오피아에서도 타당한 담론일까? 본고에서 우리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지역학으로서 철학(philosophy as a localology, the study of localness)의 밑그림을 제시해보았다. 지역학으로서 철학은 기본적으로 철학에 대한 지리ㆍ문화적 해석에 기초한 것이며, 실제 우리가 구분하곤 하는 독일고전철학, 프랑스현상학, 영미분석철학, 한국불교철학 등도 이에 기초한 것이다. 이렇듯, 서로 다른 지역에는 서로 다른 철학이 존재한다. 한국철학도 결국 자신의 지역성, 상대성을 모태로 연구될 때 이제까지의 외부에 의해 강요된 타자의 시선으로부터 독립되어 자발적ㆍ창조적으로 (재)구성될 수 있다. '지역학으로서 철학'을 통해 본고에서 우리가 강조해보려고 했던 것은 다음 명제다: 철학이란 지역성에 도달하는 것이 목표가 아니라 지역성에서 출발한다. 즉 땅의 정령이 숨 쉬는 지역이 철학의 출발지요, 모태라는 것과 지역성의 표현이 철학의 최종 목적지라는 것은 구분되어야 한다. 지역의 독립은 결코 세계로부터의 고립을 의미하지 않는다.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the philosophical globality is controlled by the philosophical locality. This has proved that the provability to approach to the globality, in other words universality is getting higher when the locality, the relativity is higher. But for what reason, people stick to the non-local and trans-temporal universality as the norm of rational faculty of the mind without exception when discussing philosophy. Of course it can be said that the universality, in other word globality is transcend time-space, and applied to everyone. By the way, really can such a universality of the knowledge of humanities be existing? Can the western universality for Westerners be a rational discourse in the East, Korea and Ethiopia in Africa? In this study, under this critical mind, the rough sketch of the philosophy as the study of localness has been proposed. The philosophy as the study of localness is fundamentally based on the geographical and cultural interpretation of philosophy, and German classic philosophy, French phenomenology, Anglo-american analytic philosophy, and Korean Buddhism, practically classified by us are also based on this concept. So, every different region has its own philosophy. Eventually Korean philosophy, when its location, locality and relativity are the matrix of studies, can be independent from the forced external eye-line and spontaneously and creatively restructured. Through Philosophy as the study of Localness the propositions intended to emphasize is: "A locality is not the destination of/to philosophy, but the starting point." In other word, the fact that the region, where the spirit of the soil is breathing, is the starting point as well as the matrix of philosophy and the fact the expression of localness is the final destination of philosophy shall be segregated.

      • 도가 철학을 통한 몸의 주체성 회복

        임미정(Mi Jeong Lim)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24 철학과 문화 Vol.50 No.-

        본 연구는 장자 철학이 ‘억압에 대한 해방’이라는 현대적 맥락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입증하는 데 목표를 둔다. 이를 위해 노자와 장자 철학에서 찾을 수 있는 몸에 대한 함의를 찾으며 해석할 수 있는지 검토한다. 도가 철학은 특유의 은유법과 생명에 대한 가치 평가로 친여성적인 함의를 담고 있으며, 페미니즘적 담론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해석되곤 했다. 그러나 노자 철학 속 여성은 전통 사회의 틀 안에서 규정된 역할과 책임을 수행하며 선택권을 제한받는다는 점에서 페미니즘 관점에서의 해석과는 상충된다. 그래서 현대에 만연한 몸에 대한 상대적 기준을 해체하고 현상에 대한 비판적인 맥락을 이끌기 위해서 장자 철학에 주목했다. 장자 철학은 상대적 기준에 대한 탈피, 몸의 외적 형상에 대한 집착을 다루기 때문에 현대 몸의 억압 문제와 연관지어 생각할 수 있다. 이렇듯 장자 철학은 현대적 맥락에서 몸을 가변적인 형태로 이해하고, 몸의 아름다움 역시 고정되어 있지 않다는 내용으로 다시금 읽을 수 있다. 따라서 장자 철학은 몸의 억압과 아름다움의 억압에 대한 해방의 담론으로 작용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at the philosophy of Chuang-Tzu can be utilized in a contemporary context of 'liberation from oppression'. To this end, it makes a study how the implicatiions for the body can be interpreted, esaming the philosophy of Lao-Tzu and Cuang-Tzu. Taoist philosophy has been interpreted as pro-feminine due to its unique metaphors and valuation of life, which can lead to feminist discourse. However, Lao-Tzu's philosophy is at odds with feminist interpretations in that women in Lao-Tzu's philosophy are restricted in their subjectivity, fulfilling prescribed roles and responsibilities within the framework of traditional society. Therefore, we turned to the philosophy of Chuang-Tzu to deconstruct the relative standards of the body that are prevalent in modern times and to provide a critical context for the phenomenon. The philosophy of Chuang-Tzu can be thought of in relation to the contemporary issue of body oppression because it deals with the deconstruction of relative standards and the obsession with the external shape of the body. In this way, the philosophy of Chuang-Tzu can be re-read in a contemporary context as a way to understand the body as a variable form, and that beauty is not fixed. Therefore, Chuang-Tzu's philosophy can serve as a liberating discourse of the oppression of the body and the oppression of beauty.

      • 한국과 일본 정원문화에 함축된 철학과 미의식 : 일본의 '료안지'와 한국의 '부용지'를 중심으로

        김후련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문화연구소 2014 철학과 문화 Vol.27 No.-

        본고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는 일본 교토(京都)의 선사(禅寺)인 료안지(龍安寺)와 한국 서울의 창덕궁 후원(後苑) 부용지(芙蓉池)에 함축된 철학과 미의식을 분석한 논문이다. 일본의 료안지는 선불교 코드를 함축한 정원으로, 선(禪, Zen)의 정신을 고도로 함축한 정원이다. 따라서 료안지 정원은 돌아다니면서 감상하는 정원이 아니라, 한 곳에서 조용히 바라보면서 관조하고 사색하는 정적인 정원이다. 반면에 창덕궁 부용지는 성리학 코드가 함축되어 있는 정원으로 물경(物景), 정경(情景), 의경(義景)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정원이다. 부용지는 단순히 한 곳에서 조망하며 감상하는 정원이 아니라 학문과 정치 공간으로도 활용된 동적인 공간이다. 그런데 이들 정원에 함축된 철학과 미의식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발견한 사실은, 선불교 코드의 대표적 정원으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료안지는 선불교의 철학보다 이미지, 즉 미의식에 치중하고 있는 이미지텔링의 정원에 가까웠다. 반면에 자연과 동화되어 아무 것도 담지 않은 것처럼 보이는 한국 정원은 정원의 경물을 이미지텔링하여 당대의 철학을 완벽하게 인코딩(encoding) 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정원은 세계 정원사에 독보적인 지위를 차지하고 있는데 반해, 한국 정원이 차지하는 위상은 아직 미미하다. 그 이유는 한국 정원은 자연과 정원의 구분이 어려울 정도로 자연과 정원이 물아일체(物我一體)가 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 정원에 인코딩되어 있는 철학과 미의식을 우리 스스로 제대로 디코딩(decoding) 해내지 못하면, 한국 정원의 아름다움을 제대로 알릴 수가 없다. This thesis is an analysis of the philosophy and aesthetic consciousness implied in two UNESCO World Heritage sites - Ryoanji, a Zen temple in Kyoto, Japan and Buyongji, the Changdeokgung's main backyard landscape element which is located in Seoul, Korea. Japan's Ryoanji is a garden that poignantly portrays the spirit of Zen Buddhism. On the other hand, Buyongji of Changdeokgung is designed to accommodate three appreciations - object appreciation, landscape appreciation and psychological appreciation. During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philosophy and aesthetic consciousness implied in the these gardens, it was revealed that the Japanese garden, which is acclaimed worldwide as the most renowned Zen Buddhism code garden, is actually an image-telling garden that is lopsided toward the aesthetics consciousness, rather than focusing on the Zen Buddhism philosophy.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arden that looks somewhat desolate by being assimilated with the surrounding nature was actually perfectly "encoding" pertinent period's philosophy by image-telling its landscape elements.

      • 중국철학에 대한 현대적 연구의 한 가지 가능 경로 : 맹자철학을 사례로

        안효성 (번역)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문화연구소 2005 인문학연구 Vol.10 No.-

        중국철학이 지금 처한 가장 중요한 문제는 ‘현대화’의 문제이다. 중국철학의 현대화는 중국철학의 발전 문제와 관계가 있다. 본 논문이 논하고자 하는 것은 중국 선진유가의 맹자와 서양철학 중의 아리스토텔레스와의 비교이다. 물론 이것은 논쟁의 여지가 다분하다. 하지만 필자는 단지 그들의 어떤 한 관점을 비교하는데 그치지 않고, 비교적 이 양가의 기본 관심과 근본적 주장, 계통의 완전성과 기본 성격을 고려하고, 다시 이 고려에 의거해 한 계열의 유기적이고 유관한 관점을 비교하였다. 비교관점의 선후 순서를 안배할 때에는, 특히 해당 철학가의 사상체계 속의 주종과 본말, 경중, 선후의 관계에서 양 관점에 주의를 기울였다. 우리가 모두 알고 있듯, 맹자와 아리스토텔레스는 동서 고전 윤리학의 양 대가다. 서양의 윤리학은 기본적으로 양대 전통이 있다. 하나는 아리스토텔레스 전통이고, 다른 하나는 칸트의 전통이다. 18C 칸트 출현 이전에 서양의 윤리학은 크게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을 위주로 삼아 발전하였고, 아리스토텔레스 전통의 영향하에 있었다. 중국 쪽은 공자로부터 촉발된‘인(仁)’이 생명의 이상적 발전 방향이 된 후, 맹자와 유가, 동시에 중국의 윤리학 기반 하에 의리의 구성체계가 되었다. 이 양대 철학가의 중서 고전 윤리학에서의 지위와 중서 윤리학 사상에 대한 영향은 이 때문에 하나의‘자욱’으로 볼수 있다. 이런 관점에 따라 볼 때, 이 양 대가의 윤리사상에 대한 비교작업은 절대의의가 없을 수 없다. 오히려 반대로 특별히 중대한 의의가 있는 것이니, 그것은 우리로 하여금 중서 윤리학 전통의 저층, 특별한 근본적 기초·근거 소재로 깊숙이 들어 가게 한다. 우리는 혹 완전히 상반된 듯 보이나 그 주요한 관심 혹은 논제가 오히려 중국철학이 앞으로 발전 또는 확충되어 나가는 데 필요하다면, 그 철학가의 사상을 가져와 중국의 어떤 한 철학가의 사상과 계통 있는 비교를 하는 쪽을 택할 수 있다. 中國哲學如今所面臨的最重要的問題或許就是「現代化」的問題。 中國哲學的現代化關繫到中國哲學的發展問題。 那本文所擬討論, 中國先秦儒家的孟子和西方哲學中亞里斯多德間比較。 勿論此富爭議性。 但筆者不是只就他們的某一觀點來作比較, 而是考慮到所比較的這兩家的基本關懷、 根本的主張、 系統的完整性與基本性格, 再依此考慮來作一系列有組織、 有關連的觀點之比較。 在安排比較觀點之先後順序時, 尤其注意觀點與觀點在該哲學家思想體系中的主從與本末輕重先後的關係。 我們都知道, 孟子和亞里斯多德是中西古典倫理學的兩大家。 西方的倫理學, 基本上, 有兩大傳統。 一個是亞里斯多德傳統, 在十八世紀康德出現之前, 西方的倫理學大致以亞里斯多德的倫理學爲主軸來發展, 是在亞氏傳統的影響下。 中國方面則自孔子揭發出「仁」爲生命的理想發展方向之後, 是孟子給儒家, 同時是中國的倫理學奠定下義理的間架的。 這兩大哲學家在中西古典倫理學的地位和對中西倫理學思想之影響, 由此可見一斑。 從這觀點來看, 對這兩大家的倫理思想作比較, 絶對不會沒意義; 相反地, 應有非常重大的意義: 它能使我們深入通透到中西倫理學傳統的底層、 非常根本的基礎/根據所在。 我們或可擇定一看似完全相反而其主要關懷或論題卻是中國哲學往前發展或擴充所需要的哲學家之思想拿來與中國的某一哲學家的思想作有系統的比較。

      • 문화, 권력, 그리고 문화정책

        김기홍(Ki-hong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2 철학과 문화 Vol.24 No.-

        넓은 의미에서 문화정책은 정부 부처의 업무뿐만 아니라 문화와 권력이 관계 맺는 공적영역 전반을 일컫는 용어로도 볼 수 있다. 따라서 문화정책 연구 또한 경제, 경영, 사회, 행정과 같은 기존의 사회과학적 연구뿐 아니라 그 의미와 가치를 해석하는 인문학적 연구도 필요하다 할 것이나, 국내에서 그런 접근은 찾아보기 힘들다. 본 논문은 문화정책 연구의 지평을 넓혀보자는 취지에서, 문화정책 존립의 근거와 의미를 알아보고자 했다. 특히 문화와 권력의 관계라는 관점에서 문화정책의 형성을 역사적으로 고찰해보고 주요 쟁점들을 짚어 보았다. 무엇보다 서구 문화정책의 이면에 중앙집권적 권력의 도구로서의 문화와 ‘문명화의 사명(civilising mission)’이라는 배경을 전제하고 있음을 밝히고, 이것이 고급문화와 저급문화의 계서화적 관점에서 권력과 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계서화를 강화하는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아보았다. 이는 역사적 맥락에서 현대 문화정책의 주요 기저인 문화 민주화(democratization of culture), 문화 민주주의(cultural democracy)라는 서로 충돌하는 두 개념과 자연스럽게 연계되는데, 그 함의에 대해 알아보고 주요 쟁점들과 과제를 짚어보았다. In a broad sense, cultural policy refers not only to the administrative implementations of government, but to the public areas as a whole in which culture and power interact. Thus, it is generally taken for granted that the nature of cultural policy studies needs humanities and social scientific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culture and power, which cannot be observed in the empirical studies driven Korean cultural policy studies discourse. This essay, fundamentally aims to enrich the methodologies of the cultural policy studies, examines the foundational background of cultural policy in terms of the instrumental of the political power and its implication. Most of all, civilizing mission, which implie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high and low culture, and its specific influences on the Western society which formed and reinforced social stratification, are scrutinized. In this perspective, two most significant conceptions in the Western cultural policy discourse, democratization of culture and cultural democracy, which are not commensurate to each other, are examined.

      • 철학이란 무엇인가

        조형국(CHO, Hyung-Kook)(번역)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05 인문학연구 Vol.10 No.-

        Es wird der Teil (Einfü hrung in dem Kapitel 1/2) ausgezogen, der als die Vorlesung im Winter Semester, am Anfang von 1921/22 in Freiburg, in dem Band 61 geschrieben ist. Bei dieser Vorlesung stellt Martin Heidegger die ursprü ngliche Frage "Was ist die Philosophie?", wä hrend er die Geschichte des aufnahms der Philosophie von Aristoteles in der abendlaendischen Philosophie Geschichte durchsieht. Bei Philosophierenden ist wahrscheinlich diese Frage eine Spannung des Lebens, das sich von dem Anfang bis zum Ende des Philosophie Gedankens durchzieht. Aber es wird unterschä tzt, wenn diese Frage und ihre Lö sung nicht ernstlich akzeptiert werden. Und die Frage und ihre Lö sung werden ü berschä tzt, wenn wir bei dieser Frage zu lange bleiben und sich deshalb die Frage selbst plö tzlich ä ndert. Zuerst sagt Martin Heidegger 2 Fehler in der Ü berschä tzung von der Philosophie; er betont, das es bei der Ü berschä tzung 'Die unkritische Idee der Definition' und 'Die Verkennung des Sinnes von Prinzip' gibt. Martin Heidegger hä lt es in der Aufgabe der Definition von der Philosophie, jedenfall, posotiv, fü r nö tig, dass man feststellt, in was fü r Aristoteles die Tendenz der Fehler missverstanden wird. Auf diese Art und Weise kö nnte es mö glich sein, dass man aus den verschiedenen Aspekten zu der Frage zukommt, was die Philosophie ist. 이 글은 하이데거의 1921/22 초기 프라이부르그 겨울학기 강의로서 전집 61권(Vittorio Klostermann Frankfurt a.M., 1985)에 수록되어 있는 부분(제1부/제2부 도입)을 옮긴 것이다. 이 강의에서 하이데거는 서양철학사에서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수용의 역사를 살펴보면서‘철학이란 무엇인가’라는 근원적인 물음을 던지고 있다. 철학을 하는 자에게 이 물음은 철학적 사유의 처음과 마지막을 이어가는 삶의 긴장이기도 하다. 그런데 이 물음과 그에 대한 해결이 진지하게 받아들여지지 않을 때는 과소평가(unterschätzt)된다. 그리고 이 물음에 빠져 너무 오래 끌어서 물음 자체가 갑자기 변해버린다면 물음과 그것의 해결이 과대평가(überschätzt)된다. 먼저 하이데거는 철학에 대한 과대평가에서 두 가지 과오를 말하고 있는데, 과대평가에는 정의의 무비판적 이념(Die unkritische Idee der Definition)과 원리의 의미에 대한 오해(Die Verkennung des Sinnes von Prinzip)가 있다고 강조한다. 하이데거는 철학에 관한 정의의 과제에서 각각의 경우에 긍정적으로 과오들의 경향이 어떠한 관점에서 오해되었는지를 명확히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양한 측면으로부터 물음(철학이란 무엇인가)에 관한 이해에 접근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 철학적으로 가르침(philosophically teaching)에 관한 몇가지 제안

        이은주(Lee Eun-Joo)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08 철학과 문화 Vol.16 No.-

        철학교육(teaching Philosophy)는 말 그대로 철학을 가르치는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서 철학이란 텍스트 안에 놓여 있는 철학에서의 여러 학파나 철학자들의 이론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다. teaching Philosophy에서 Philosophy를 굳이 풀어내자면, 영어로는 doing Philosophy이며 독일어로는 philosophieren이다. 즉 이는 학문적 혹은 지식적 철학을 교육하는 것이 아니라, 철학함을 교육한다는 말이다. 그러나 학습자들은 무엇을, 어떻게 하는 것이 철학함이라는 것을 모르고 있다. 그럼에도 가르치는 이는 무턱대고 철학교육이란 철학함을 가르치는 것이라고 이야기 한다. 따라서 철학교육을 말하기에 앞서 제기되어야 할 것은 가르치는 이가 얼마나 철학함에 대하여 이해하고 있는 가를 살피는 일이다. 모든 교육에는 가르치는 이와 배우는 이가 있다. 그렇다면 철학교육에서 중요한 것은 가르치는 이가 철학 학습에 임하는 태도이다. 나는 기존의 철학교육 방법론에서 진정한 철학교육의 대안을 찾을수 없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나는 철학교육에 있어 철학적으로 가르침(philosophically teaching)을 제안한다. 철학교육은 그야말로 열린 교육이어야 한다. 자유롭게 열린 교육 안에서 학습자는 비로소 스스로 자기 자신과 세계를 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자기 스스로의 지평을 마련할 수 있고 그 지평을 넓혀갈 수 있는 것이다. 열린 교육의 장을 펼쳐내는 것은 가르치는 이가 우선 해내야 할 일이다. 열린 교육으로서 철학교육은 ‘놀이’를 요청한다. 철학적 놀이는 학습자들이 자신의 눈으로 본 세계를 자신의 마음으로 이해하도록 할 수 있다. 철학적으로 가르치는 것은 강요하지 않는 놀이를 통하여 학습자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스스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힘을 길러내 줄 수 있다. The education of Philosophy means ‘teaching Philosophy’. But the term‘Philosophy’ here does not refer to various schools or philosophers studied within the philosophical text. The term can be defined as ‘doing Philosophy’ in English and ‘philosophieren’ in German. That is; it’s not an education of scholastic or intellectual philosophy, but an teaching of ‘doing philosophy’. However, the learners do not know what ‘doing philosophy’ is, let alone how it’s done. Nevertheless, the teacher emphasizes that ‘teaching Philosophy’ should teach ‘doing philosophy’. Therefore, before further discussing ‘teaching Philosophy’, a clarification of how well the teacher must understand ‘doing philosophy’ is required. All teaching consists of learners and teachers. The essence of teaching Philosophy lies in the teacheror’s approach toward Philosophical studies. I’m ascertained that the present Methodology of teaching Philosophy does not provide an alternative for genuine teaching Philosophy. Hence I propose the ‘philosophically teaching’ method. teaching Philosophy should be an open education. Under the liberal and open approach, learners will finally be able to face themselves and the world, and this way, they might break open and expand their own horizons. It is up to the teachers to provide the field for an open education. To become an open education, teaching Philosophy needs to adopt‘plays’. Philosophical plays can lead learners to view the world with their own minds. ‘Philosophically teaching’ can train learners to think and solve problems on their own through unforced plays.

      • 프랑수아 줄리앙 François Jullien의 철학적 방법론과 그 의의

        강상림(Sang-Lim, Kang)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0 철학과 문화 Vol.21 No.-

        F. 줄리앙은 다양한 문화들의 개별성이 부대끼고 공존 하는 21세기 세계화 시대에 그에 걸맞는 새로운 철학이 요구됨을 말한다. 이는 줄리앙에게 기존과는 전혀 다른 철학적 답 내지는 해결에 대한 문제가 아닌, 새로운 문제에 대한 요구이며 더 나아가 다르게 철학해 보기에 대한 요구이다. 그럼으로써 글쓴이는, 줄리앙의 새로운 철학에 대한 부르짖음은 합리적 이성을 통해 존재 형이상학적인 진리의 ‘앎’을 향한 시선의 전환이 아닌, 새로운 형태의 시선의 전환을 요구함이라고 보며, 이를 위하여 줄리앙은 다음 세가지의 과정을 수행하고 있음을 논거로 설명한다 : 이타성 l'alterite, 의미의 전환 le changement de signe. 서양 전통의 목적 존재 지향적 세계관과 도가의 내재적 세계관의 드러냄. 이타성인 중국 문화를 통해 자신의 문화와 사유틀을 반추해보는 줄리앙의 작업은 사고의 고착화와 정체됨을 막고 환기할 수 있는 사유의 창을 마련하고, 이는 21세기의 - 전체화가 아닌 - 세계화 시대에 걸맞는 철학함의 하나의 이상적인 방법론 내지는 자세를 제시한다. 그리고 이러한 줄리앙의 작업은 프랑스인이 아닌 우리에게도 의미가 있는데, 줄리앙의 작업을 통하여 자신의 문화와 사유틀의 익숙함에서 나와 그들을 새로이 반추해 보며 그의 시선의 이타성 속에서 우리의 정체성에 대해 다른 시선으로, 새롭게 고민하여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F. Jullien réclame qu'il est nécessaire d'avoir une philosophie neuve au 21ème siecle, digne de ce nom. Avec ce demande de F. Jullien et face à la diversité interculturelle où on est aujourd'hui, j'envisage ici d'entrevoir le methode de sa facon de philosopher. Je lance donc le sujet en dévéloppant ainsi : savoir ce que signifie l'altérité qui est la Chine, changer le signe commun et voir une autre manière de concevoir des choses ou le monde sur le taoïsme; Par exemple, le bonheur n'est pas quelque chose à tendre comme un but mais comme une voie à découvrir ou accueillir en pleine vie. En effet, ces operations de F. Jullien ne sont rien d'autre que d'essayer de convertir le regard de manière autre et de philosopher autrement. Autrement dit, on peut prendre conscience que, pour sa philo neuve, comme le dit Jullien, il s'agit pas d'une réponse qui n'a jamais été proposée pendant toute histoire philosophique mais des problèmes qui n'ont jamais été posés. Et en ce qui concerne sa façon de philosopher, on peut aussi certainement savoir qu'il est aussi valable pour nous, coréens, parce que'une double vision prise par elle fait aussi réfléchir de façon neuve sur l'identite qui est à nous, fâce à notre propre réalité. C'est que son essai de s'appuyer sur le choix culturel d'une autre civilisation et ses propres partis pris anthropologiques à travers l'altérité fait communiquer les diversités intercultirelles, et, par là, fait place de philosopher autrement.

      • 한중 단오 풍속문화 비교연구

        위군(魏群)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1 철학과 문화 Vol.22 No.-

        단오는 유사한 역사와 문화를 가진 한국과 중국이 모두 지니고 있는 전통명절이다. 한국 강릉단오제가 유네스코에 등재한 기간에 단오의 소유가 한중 양국 문화계의 하나의 주요한 이슈가 되었다. 이에 대해서는 중국 전문가들이 부정적인 태도에서 출발하였지만 갈등을 해결하는 과정 중에서 서로의 전통 풍속문화차이점에 대해서 깊이 생각했고 한국의 단오제와 중국의 단오절의 비교연구를 시작했다. 다툼에서 시작했지만 같은 유교문화권에 속하는 나라로서 전통문화의 공유 및 개발하는 방향으로 추진하고 있다. 필자는 이 논문을 통해서 한국과 중국 단오의 풍속문화를 중심으로 연구를 전개했고 연구 내용을 앞으로 한국과 중국 단오, 심지어 기타 전통 명절 문화를 비교할 때에 하나의 바탕 내용을 될 수 있도록 단오제와 단오절에 대해서 전반적인 비교를 해보았다. 传统节日文化是文化产业的重要组成部分,它是维系国家统一、民族团结和社会和谐的重要精神纽带,作为同在东亚地区的韩国与中国有着相似的传统节日,而其中由于申请非物质文化遗产而引发的争论更使传统节日成为了一个重要的讨论话题.因此,本文选择了传统节日中的端午节作为研究对象,从两个国家端午起源的比较开始入手,对其发展的过程进行概述后,集中对两国端午风俗文化的比较进行了分析. 节日是按照一定的历法或季节顺序,在每年特定时间或季节举行的仪式或庆典.它是一年当中由种种传承线路形成的固定的或不完全固定的活动时间,以开展有特定主题的约定俗成的社会活动日.作为人类文化的一个重要组成部分,节日文化最能集中而全面地体现民族文化的风采和底蕴.由于全球一体化进程的加剧了中国国的传统节日文化受到了很大冲击,有的甚至正在面临消失.而正在这种时候,出现了韩国把端午祭申请为非物质文化遗产一事.虽然这件事情在中国的学术界引起了轩然大波,但是作者确认为恰恰相反,这件事情反而引起了中国对传统节日的重视,反而大大有利于促进开发中国传统的文化节日. 韩中两国的端午活动,虽然都是在同一天举行,但是究其发展历程和风俗文化,以及活动内容则是不尽相同的.简单来讲对其的称呼而言中国称之为端午节,而韩国称之为端午祭;从其现今的主要节日活动性质而言中国主要以赛龙舟为主,而韩国则是以祭天活动为主等等的实例颇多.因此作者在这里以韩中两国端午的风俗文化为中心进行了整理以及对比,借此希望为以后对两国的传统节日风俗文化的更深一步地对比打下基础.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