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Lingua Franca or Language of Domination? : Implications of the Two Faces of English 영어의 두 얼굴이 갖는 함의

        Plumlee, Marilyn K.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 종합연구센터 언어연구소 2003 언어와 언어학 Vol.0 No.32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영어의 위상 문제나 영어구사능력을 취득하려는 열기는 단순한 사회교육차원의 토론거리를 넘어 중요한 정치적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이것은 영어 구사력을 갖춘 인력을 우선시하는 경제발전 목표 때문인다. 본 논문은 언어생태학적 패러다임(Tsuda 1997, Skuttnabb-Kangas 2000, Skuttnabb-Kangas and Phillipson 2001)과 세계 영어[World Englishes] (Kachru 1985, 1986, 1988, 1992 [1982])의 준거틀을 토대로 한다. 언어생태학적 패러다임은 서로 다른 언어를 구사하는 모든 화자(話者)들의 평등과 함께 언어문화적 다양성을 지지한다. 세계 영어 이론은 현지화된 다양한 변종 영어를 인정하는 한편 사용 규범의 유일한 결정권자로서의 영어원어민의 역할에 이의를 제기한다. 이런 배경에서 본 논문은 우선 영어 사용을 ‘현지화’함으로써 대다수 한국인 영어학습자가 경험하는 부정적인 정치?심리학적 측면을 최소화하는 것이 보다 폭넓은 계층의 영어구사력 향상을 이루는데 중요한 열쇠가 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러나 국제무대에서 표준적으로 통용되는 이해가능성을 희생하자는 의미가 아니라, 한국인들 스스로 사용하는 영어에 대한 ‘주인의식’을 주장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 주의를 환기시키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영어교습 모델과 내용 모두를 재조정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의 출발점으로 삼을 수 있도록 본 논문에서 몇 가지 대안 샘플을 제공할 것이다. 두 번째로 본 논문은 일본이나 유럽처럼 영어를 도구로 한 피식민경험을 갖지 않은 다른 국가들의 언어정책을 제시한다. 현대 한국은 영어를 공식언어로 공표하는 문제에 대한 공론이 심화되고 있는 시점에 있다. 이런 시점에서 본 논문은 언어학자, 정책결정권자 및 언론이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문제에 대해 한국과 유사한 입장에 있는 국가들의 언어정책 및 언어사용발전상황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일반대중들에게 제시함으로써 정확한 정보를 토대로 한 토론이 이루어지게 하는데 기여하여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 KCI등재

        Some Thoughts on Language Typology

        Lyovin,Anatol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 종합연구센터 언어연구소 1980 언어와 언어학 Vol.6 No.-

        근래에는 언어보편(language universal)에 대한 탐색으로 인해 형태론에 근거한 좀더 전통적인 언어유형학은 등한시되어있다. 그러나 전통적 언어유형학은 언어들간의 매우 의미심장한 차이점들에 대한 중요한 직관에 기초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이것은 단어구조의 복잡도(degree of complexity)와 상대적 불투명도(degree of relative opacity)라는 두가지 측면으로 축소될 수 있다. 이것의 예증은 각기 주요한 언어유형을 대표하는 고전중국어, 터어키어, 라틴어, 그리고 유삑(Yup'ik) 에스키모에서 인용했다. 결론에서 필자는 수행어휘집(performance lexicon)에서의 기본항목이 형태소가 아니라 단어라는 주장을 근본으로 하고, (촘스키의 언어능력(linguistic competence)에 대립하는) 언어수행(linguistic performance)과 언어습득에 관한 몇가지 가정을 세워보았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이러한 가정들의 외국어 교육과의 관련을 지적했다. 이것이 유용한 것으로 밝혀진다면, 각 언어유형은 각기 다른 언어교육 방법론과 전략을 요구해야 할 것이다. In recent years the more traditional morphologically based language typology has been neglected in favour of the search for language universals. However, the traditional language typology was based on some very important intuitions concerning what are the re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languages. Basically, these reduce to two aspects: the degree of complexity of word structure and the degree of relative opacity of that structure. By way of illustration examples are cited from the following languages each of which represents a major language type: Classical Chinese, Turkish, Latin and Yup'ik Eskimo. In conclusion the author puts forward several hypotheses concerning linguistic performance(as opposed to Chomsky's linguistic competence) and language acquisition, the basic claim being that word, not morpheme, is the basic entry in the performance lexicon. Finally, he points out some implications of these hypotheses for foreign language instruction: if they turn out to be valid, each language type will require a different methodology and teaching strategy.

      • KCI등재

        Knowledge Structure and Language Units: color terms and task-oriented blacksmithing

        Kim, Hyong-Joo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 종합연구센터 언어연구소 2000 언어와 언어학 Vol.25 No.-

        이 논문의 목적은 자연에 있어서 분류법이 인간의 심증과 어떠한 접합점에서 일치를 보이는가를 살피는 것이다. 동식물학에서 주종을 이루는 Linnaeus의 분류법은 과(科)와종(種) 사이에 위치한 단계인 속(屬)에서 불연속성을 보이는 것은 외형은 비슷하지만 그 비교 대상의 상호교배가 가능하지 못하다는 점을 주시한다. 이것은 맥시코 남부의 고립된 지역에 거주하는 마야어족에 속하는 Tzeltal 족에서도 유사하게 분류법을 사용하고 있음으로 확인된다. 그러나, Dougherty 와Keller(1985)는 대장장이 일을 통하여 언어에 기초를 둔 지식의 조직체계가 일 중심으로 되어 있지 말의 단위인 형태소를 기준 하여 분류되지 않고 있음을 지적한다. 즉, 특수한 작업에 따라 연장을 새로 제작하면서도 자신만의 대장장이 일을 재조직하는 것이 통상적이라는 것이다. 이에 인간의 인지능력을 배제하여 객관적인 관점을 언어를 기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주장에 의문점이 나타나며, 이상적인 인지능력의 모델을 무엇인지에 관심이 모아진다. 여기에서 이러한 비교를 통하여 Lakoff(1987)의 논점을 다시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 KCI등재

        Novel Noun-Noun Compounds in Korean

        Kim,Hae-Yo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 종합연구센터 언어연구소 1999 언어와 언어학 Vol.24 No.-

        이 논문에서는 lexicon에 그 의미가 기재되어 있지 않은 새로이 생성된 합성명사의 의미해석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그리고 그 의미해석과정에 어떤 요소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한국어 합성명사를 통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우선 새로이 생성된 합성명사와 이미 어휘화된 합성명사의 의미해석 과정에 대해 비교하여 보고, 이러한 의미해석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언어내적, 언어외적 요소들을 바탕을 한 , 언어 사용자의 마음속에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상황을 근거로 하여 새로 생성된 합성명사의 의미해석 모형을 제안해 본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합성명사의 생산성과 예측성 실험을 통하여 이 모형의 여러가지 측면들의 타당성을 입증해 보도록 한다. This work is an attempt to explore how the meanings of novel noun-noun compounds in Korean are predicted and what factors affect this process. First, a comparison of the interpretation processes of novel and established nouns is made. A close examination is also made of various linguistic and extra-linguistic factors which influence the interpretation process. Finally, an interpretation model of novel noun-noun compounds is proposed that is based on what really goes on in a language user's mind. In support of this model, an experiment of predictability is also reported. (Chungkang College of Cultural Industry)

      • KCI등재

        한국어·터어키어 비교

        서재만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 종합연구센터 언어연구소 1986 언어와 언어학 Vol.12 No.-

        Ⅰ. 람스테드(Gustaf John Ramstedt )이후 한국어가 알타이어족에 속한다는 가설은, 물론 이에 반대하는 학자도 없는 바는 아니나, 이제 거의 정설로 받아 들여지고 있는 것 같다. 이 논문은 한국어가 알타이어족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가려내기 위한 증명을 하려는 데에 목적을 둔 것이 아니다. 언어학을 전공하지 않는 필자로서는, 단지 다년간 터어키어를 가르쳐 온 경험에서 현대 한국어와 터어키어 사이에 상당한 유사점들을 발견하게 되었고, 이들을 정리하여 두려는 데에 뜻을 두고 있을 뿐이다.

      • KCI등재

        발칸어연합(Balkansprachbund)으로서의 슬라브어에 관한 연구 :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 세르보크로아티아어를 중심으로 Especially Emphasized on the Languages Bulgarian, Mazedonian and Serbo-Croatian

        표상용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 종합연구센터 언어연구소 2004 언어와 언어학 Vol.0 No.33

        This paper deals with the so-colled Balkanisms (=Balkan linguistic elements) in the Slavic languages of Balkansprachbund. The genetic method cf Slavic languages operates with kinship, the areal with affinity, and the typological with isomorphisrn The south slavonic languages, so-called Bulgarian, Mazedononian, Serbocrcatian and Slovenian have a lot in common with themself. They have also differentia. This paper makes it clear from a standpoint of Balkansprachbund. These Languages are in many respects closely connected with mutual and the most striking structural differences have come from Language contact. Bulgarian is one of the major Balkansprachbund, while it has the most of Balkanism s in itself. (1) the definite article - postposed article (2) the future marker (3) the "rnore/most" intensifiers (4) the short forms of the personal (and reflexive) pronouns (5) the interrogative particle (6) the numeral structure of 11-19 "one-on-ten" Mazedononian is proved to be in a similar linguistic situation as Bulgarian from the side of Balkansprachbund, but Serbo-Croatian in a some different appearance.

      • Radio and Television as the Media of Mass Communication

        Jocic, Mirjana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 종합연구센터 언어연구소 2003 언어와 언어학 Vol.0 No.32

        본 논문에서는 현재 가장 영향력 있고 널리 퍼진 대중 매체인 라디오와 TV를 통한 컴뮤니케이션의 성격을 고찰하여 보았다. 연구를 위하여 분석한 대상은 컴뮤니케이션 모델, 컴뮤니케이션 코드(특히 인간의 언어), 대중 매체 영향력의 사회적 구조, 컴뮤니케이션의 상호관계등을 협의와 광의 차원에서 분석하여 보았다.

      • KCI등재
      • KCI등재

        POTENTIAL COMMUNICATION PROBLEMS FOR KOREAN USERS OF ENGLISH

        Park,Nahm-Sheik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 종합연구센타 언어연구소 1983 언어와 언어학 Vol.9 No.-

        외국어로 의사를 소통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여러가지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본 논문은 우리가 영어를 사용할 때 겪을 수 있는 몇 가지 문제를 유형별로 고찰한다. 그 내용을 간략히 소개하여 보겠다. 첫째는 어떤 영어의 표현에 대한 우리의 해석과 영미인의 해석이 달라 오해가 생기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 처녀들이 마음에 듭니까?"라는 뜻으로 한국인들이 흔히 "How do you like Korean Virgins?"라고 하는데 영미인들은 이를 "한국 처녀의 맛이 어떻습니까?" 정도의 뜻으로 이해하기 때문에 한국인들의 의도와 영미인들의 해석 사이에서는 상당한 거리가 있어 communication이 제대로 되지 못할 수 있다. 둘째로 영어에서 온 것으로 잘못 인식되기 쉬운 외래어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리는 운동선수의 배번을 백넘버라고 하는데 영어의 back number는 잡지등의 과월호라는 뜻밖에 없으므로 우리는 배번이라는 뜻으로 back number라는 말을 사용하면 영미인은 이를 "엉뚱한" 뜻으로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다. 셋째로 영어를 존대법이 없다는 우리의 잘못된 생각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His father passed away라 하면 "그의 부친께서 세상을 뜨셨다"라는 뜻이 되고 "His old man kicked the bucket"라 하면 "그의 꼰대가 뒈졌다"라는 뜻이 되는 등 영어에도 존대법의 구분이 잘 되어 있다. 그런데 우리는 이런 구분을 모르고 있어 실수를 범하는 일이 흔히 있다. 넷째로 영미문학의 특수한 배경에서 생긴 표현들의 올바른 이해가 그리 쉽지 않는데 이것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 Horatio Alger story는 "입지전적인 이야기"라는 뜻인데 이는 Horatio Alger가 19세기 미국의 저명한 "입지전적 소설"의 작가인 데서 유래한 표현이다. 이러한 배경을 모르는 우리 한국인들이 이 표현을 제대로 이해하기란 지극히 어려운 것이다.

      • KCI등재

        Сопоставительный аналиэ обраэования слов в русском и якутском яэыках

        Оконешникова, А. В.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 종합연구센터 언어연구소 2003 언어와 언어학 Vol.0 No.32

        야쿠트어는 터키 어족의 언어로서 교착어의 특성을 보인다. 교착어는 모든 어휘 구성이 접사와 어근의 일관적 결합으로 되어 있다. 어근은 변하지 않고 독립적인 어휘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어 suruj “쓰다”에서 새로운 단어 “우리의 작가들” surujaaccyil arbit가 형성된다. 이 단어는 어근에 3개의 접사 - aacci - lar - bit가 결합되어 만들어진다. 여기서 각가의 접사는 고유한 의미를 나타낸다. 어근 어휘 suruj- 는 “써라”의 의미이다. 여기서 접사 -aacci는 활동성을 부여하고 -lar-는 복구, -bit-는 소유의 “우리의”를 나타낸다. 야쿠트어에서 단어 구성 요소는 어간과 접사이다. 접사는 항상 어간 뒤쪽(오른쪽)에 붙는다. 야쿠트어에 접두사는 없다. 이 언어에 접미사와 어미 사이에 개념적 차이는 없다. 그것은 모두 어간에 붙는 접사일 뿐이다. 야쿠트어에서 어간은 독립적 의미를 갖는다. 예를 들어 baliksit “어부”는 어간 balik과 접미사 -sit로 구성된다. 어간 balik은 “물고기”를 의미한다. 야쿠트에는 기본어와 파생어가 있다. 기본어는 어간으로서 어근이 된다. 파생어는 접사에 대해 형성되는 어간이다. 예) inax ‘암소’ - inaxtaan ‘암소주인’ kel ‘오다’ - kelii ‘도착’ 야쿠트어에서 파생어는 일련의 접사를 가진다. 다형태소 어휘의 의미는 기본어와 접사들의 의미가 합성되어 만들어진다. 문법적 특성은 마지막 접사에 의해 결정된다. 예) inax-sit-tar-daax 여자 목동이 있는(형용사) 야쿠트에서는 접사의 모음과 첫 자음이 변화한다. 예) taba-lar ‘사슴들’ ehe-ler ‘곰들’ oro-lor ‘아이들’ bo¨ro¨-lo¨r ‘늑대들’ at-tar ‘말들’ ular-dar ‘멧닭들’ kulun-nar ‘망아지들’ kiis-ter '흙담비들' kuter-der ‘쥐들’ 복수 접사 -lar-는 16개의 음성적 변이형을 갖는다. 이것은 모음조화법칙과 순행자음 동화원칙에 따른다. 야쿠트어에서 조어접사와 어미접사는 구분된다. 조어접사는 어근에 새로운 의미를 부가하지만 어미접사는 문법적 의미를 덧붙인다. 예) kus ‘오리’ - 조어접사 -cˇrt : kuscˇut '오리 사냥꾼' - 어미접사 -put : kuscˇupput '우리의 오리 사냥꾼' 접사는 품사의 전환도 일으킨다. 예를 들어 -ii(-ii, -uu, -u¨u¨)는 자음어간과 결합하여 행위지칭명사를 만든다. 예) bar '떠나가다' - barii '떠나기' tur'일어서다' - turuu'일어서기' kel'오다' - kelii'오기' ku¨l'웃다' - ku¨lu¨u¨'웃기' 야쿠트어에서 분석적 어휘들은 독립적 의미를 갖는 단어들이 병렬적으로 결합하여 만들어진다. 예) lis kurduk 무거운 sek kurduk 가벼운 bil kurduk 끈적끈적한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