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표지디자인 시각적 구성 요인 변형이 선호도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진희(Xu, Chenxi) 한국소셜네트워크협회 2022 지속가능저널 Vol.1 No.1

        유아에게 지적, 정서적으로 영향을 크게 미치는 유아 그림책 표지디자인의 중요성의 인식과 관심이 낮은 편이다. 중국에 수출되는 한국 그림책의 표지디자인의 시각적 구성요인을 분석을 통해 표지디자인의 이미지 품질개발 등의 시사점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그림책 표지디자인의 시각적 구성요소의 선호도 차이와 고려수준을 분석하고, 신뢰도 분석과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각 구성요소 간 연관도를 검증하였다. 소비자 행동 검증을 위한 종속변수는 구매의도를 단순회귀분석을 통해 측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중국 내 최대 온라인서점인 당당왕(当当网)에서 판매 순위 10위권의 한국 그림책을 선정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그림책을 구입할 때 누적응답률 96.6%가 표지디자인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려수준이 그림책 선호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어 번역본의 표지디자인 변형을 분석한 결과, 타이포그래피가 60%로 가장 변경이 많이 되었으나, 설문조사를 통한 분석에서는 사진과 일러스트레이션을 포함한 이미지 요소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그림책 선호도가 높으면 그림책 구매 의도는 통계적으로 .628로 매우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표지디자인의 이미지 품질과 색채개발을 통한 선호도 향상이 구매의도의 제고에 영향을 크게 미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Recognition and interest in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picture book cover design, which greatly affects infants intellectually and emotionally, are low. Through analyzing the visual components of the cover design of Korean picture books exported to China, I would like to suggest implications such as the development of image quality of the cover design. This study analyzes the preference differences and the level of consideration of visual components of picture book cover design. We validate the association between each component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dependent variable for verification of consumer behavior was measured through simple regression of purchase intent. For the research, the largest online bookstore in China, Dangdangwang, selected the top 10 Korean picture books in sales and verified them. When purchasing picture books, 96.6% of the cumulative response rate was found to consider cover design, and the level of consideration was found to increase picture book preference. Analysis of cover design variations in Chinese translations showed that typography was the most changed with 60%, but analysis through surveys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for image elements. Moreover, the high preference for picture books has shown that the intention to purchase picture books is statistically very high at .628.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verify that the improvement of preference through image quality and color development of cover design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enhancement of purchase intent.

      • 뉴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ESG경영 동향 연구

        양찬열(Yang, Chan-Yeol) 한국소셜네트워크협회 2022 지속가능저널 Vol.1 No.1

        [Purpose] In this study, obligations related to ESG management and institutionalization at the national level are increasing around the world, centering on European countries, and Korean companies are also increasing the number of companies receiving ESG management evaluation along with the increase in ESG disclosure companies. ESG evaluation, which is performed as a standard for determining corporate value, may cause confusion in domestic ESG evaluation due to the indiscriminate proliferation of evaluation agencies and the lack of reliability and transparency,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different evaluation criteria, evaluation criteria and evaluation process, and evaluation points. Through analysis of domestic ESG-related research trends and ESG management trends, we present domestic companies' ESG performance and response direction, and draw implications for the growth of the domestic ESG market. [Research method] During the period from 2020 to 2022, when the government and domestic companies' will and discussions on ESG management were in full swing, analysis of domestic ESG management trends and ESG-related trends based on Big Kinds News big data provided by the Korea Press Foundation Key keyword trends and policy meanings are to be derived. [Research Results] The trend of research on ESG as a research topic is based on academic papers listed in the Korean Journal Citation Index. Along with discussions on the introduction of ESG management throughout the industry, related research is actively progressing in the academic world, and discussion topics are being specified. As with the research trends in the academic world, discussions are spreading in Korea focusing on the introduction of ESG management, the establishment of related organizations, the preparation of evaluation bases, and the preparation of Korean-style ESG management evaluation standards called K-ESG. ESG performance and risk management of SMEs and unlisted companies are important factors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ESG management in large listed companies that are leading the introduction and promotion of ESG management. SMEs, unlisted companies, and small business owners can enter the ESG market without any burden and improve ESG management capabilities will develop into healthy growth and expansion of business opportunities in the domestic industry as a whole. [연구목적]본 연구는 ESG 경영관련 의무와 국가적 차원의 제도화가 유럽 국가 중 심에서 전 세계적으로 늘어나고 한국 기업들도 ESG 공시 기업 증가와 함께 ESG 경 영평가를 받는 기업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기업가치를 결정하는 표준으로 수행되 는 ESG 평가가 평가기관들의 무분별한 난립과 평가 기관 별로 다른 평가 기준, 평 가 기준 및 평가과정 수립과 평가 가점 등 신뢰성과 투명성 미흡으로 국내 ESG 평 가에 혼란을 가져올 수도 있다. 이에 국내 ESG 관련 연구동향 분석과 ESG 경영 동 향을 분석을 통해 국내 기업의 ESG 성과 및 대응 방향을 제시하고 국내 ESG 시장 의 성장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정부와 국내 기업에서 ESG 경영에 대한 실행 의지와 논의가 본격적으 로 진행된 2020년 부터 2022년 기간 동안 한국언론재단에서 제공하는 빅카인즈 뉴 스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국내 ESG 경영 동향 분석과 ESG 관련 핵심 키워드 트렌드 와 정책적 의미를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ESG를 연구주제로 한 연구 동향은 한국학술지인용색인에 등재된 학술 논문 기준으로 산업계 전반의 ESG 경영도입 논의와 함께 학계에서도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논의 주제가 구체화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계의 연 구동향과 같이 국내에서는 ESG 경영 도입과 관련 조직 구축, 평가기반 마련 및 K-ESG로 명명되는 한국형 ESG경영 평가 기준마련을 중점으로 논의가 확산되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도적으로 ESG 경영을 도입하고 추진 중인 대형 상장사의 ESG 경영 성공적 정착을 위해서는 비상장사와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의 ESG 성과 및 위기관리가 중요한 요인이며, 중소기업 및 비상장사, 소상공인도 부담없이 ESG 시장에 진입하여 ESG 경영역량을 향상 시키는 방향이 국내 전반적인 산업계의 건강 한 성장과 사업 기회를 확대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관광 경험에 따른 도시이미지의 변화가 관광 만족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장신니(ZHANG, XINYI),양찬열(Yang, Chan Yeol) 한국소셜네트워크협회 2022 지속가능저널 Vol.1 No.1

        At present, big cities with population over one million in the world have developed into important tourist destinations and part of middle and small cities are also developing toward the goal of becoming tourist city. City image has great influence on the selection of tourist destination no matter in all the information attained through various methods before travelling or the overall image formed for destination city during travelling. The changes for the image of destination city before and after travelling affect the satisfaction, intention of re-visit as well as city tourism marketing. Positive change can improve the satisfaction of tourists; on the contrary, negative change will decrease the satisfaction of tourists. This study has taken pilot study and literature material as basis, attained measuring item applicable for this study through sorting out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city tourism, city image, city tourism image, satisfaction, intention of re-visit and made questionnaires to Chinese tourists through travel guide. The simple frequency analysis of total preparation;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eans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of total preparation, first visit group and multiple visit group have been applied. The conclusions attained by theoretical exploration and practical investigation in this study are: positive difference exists in the city image for Seoul among Chinese tourists before and after travelling to Korea, which presented more obviously in the first visit group. But this positive difference has no influence on tourist satisfaction; while the city image after travelling has greater influence on tourist satisfaction, at the same time, it also has great influence on the intention of re-visit for tourists. Based on these conclusions, this study hopes to provide some marketing enlightenments for the market positioning of the tourism image for Chinese tourists visiting Seoul. 도시 관광이미지는 도시를 방문하기 전에 얻은 여러 가지 형태의 정보나 도시에서 실제 경험을 통 해 형성된 전체적인 인상으로써 도시라는 관광목적지를 선택할 때 상당한 영향력을 미치게 된다. 관광경험에 따라 도시이미지의 변화는 관광객 만족도와 재방문 그리고 도시 관광마케팅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긍정적 불일치는 관광객만족을 증가시키는 반면, 부정적 불일치는 관광객만족을 감 소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을 방문하는 중국관광객 중심으로 방문 전-후 지각한 관광이미지의 변화를 바탕으로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 도시 관광이미지의 파악과 활성화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광객이 방문하는 전과 후에 느끼는 서울의 관광이미지에 대해 살펴보고, 관광객 기대 와 경험의 불일치가 관광만족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검토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도시 관광 상 품으로써 중요성을 확인하고 도시 관광에 대한 만족도와 재방문의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을 토대로 도시 관광, 도시이미지, 관광이미지, 관광만족도, 재방문 등에 대해서 이론적 체계화를 하고 문헌고찰을 통해서 도시 관광이미지 구성요소와 측정항목을 추출하여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서울을 방문한 중국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여행사 가이드 를 통해 관광하는 과정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총 231부의 설문지를 연구에 활용하고 분 석을 위해 SPSS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했으며, 빈도분석과 전체표본과 첫 번째 방문한 그룹, 여러 번 방문한 그룹으로 나눠서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차이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중국관광객들이 서울의 관광이미지에 대한 방문 전-후 간의 긍정적 불일치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처음 방문한 관광객 그룹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방문 전-후 간의 긍정적 불일치는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방문한 후 느끼는 관광이 미지가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재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서울의 중국관광객에게 관광이미지를 효과적으로 포지 셔닝 하는데 마케팅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기업의 ESG 경영과 ‘착한’기업 딜레마에 대한 연구

        노진화(Ro, Jin-Hwa) 한국소셜네트워크협회 2022 지속가능저널 Vol.1 No.1

        본 연구는 기업의 ESG 경영에 있어 ‘착한’ 기업 딜레마에서 벗어나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기 위해 ‘착 한’ 기업의 개념을 살펴보고 딜레마 유형을 4가지 범주로 나누어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기업의 ESG 가치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첫째, ‘착한’이라는 기업의 이미지는 오히려 기업의 딜레마가 되고 있었다. 기업이 이러한 딜레마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주주에 대한 경제적 책임과 다른 이해 관계자에 대한 사회적 및 환경적 책임의 균형 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딜레마 유형을 분석한 결과, Levi Strauss & Co, New Balance 및 Patagonia는 ESG 이니셔티브 에 투자하는 것과 다른 비즈니스 목표를 달성하는 것 사이에서 강력한 트레이드 오프 딜레마에 직면해 있었으며, McDonald's, Best Buy 및 Tesla는 단기 또는 장기 지속 가능성 딜레마에 직면했음을 알 수 있었다. Pfizer, P&G 및 Unilever는 서로 다른 이해관계자의 상충되는 요구에 직면한 이해관계자 딜레 마에 직면했으며, Apple, British Petroleum(BP) 및 Amazon은 정부 규제 및 법률을 준수 및 자발적 조 치에 대한 딜레마가 나타나고 있었다. 셋째, 지속가능한 기업의 ESG 가치를 경제적 가치, 사회적 가치, 사회/환경적 가치, 이미지적 가치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SK Corp, Ben & Jerry's 및 Patagonia 등은 ESG 성과를 개선하기 위해 사회적 가치의 평가를 새롭게 재편하는 등의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의의는 기업의 ESG 경영에 있어 기업이 ‘착한’ 기업에 딜레마에 빠질 수 있다는 사례를 분 석함으로써 기업을 바라보는 이분법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기업의 목적과 방향성을 재고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기업 사례 분석에 있어 제한된 데이터와 기업의 긍정적인 이슈와 부정적인 이슈를 바라보는 실증 데이터의 부족으로 인해 객관성을 담보하지 못했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자 료를 기반으로 학제간의 연구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of a "good" company and analyzed the case by dividing the types of dilemmas into four categories to study how to escape the "good" corporate dilemma in ESG management, and examined the ESG value of a sustainable company. First, the image of a company called 'good' was rather becoming a corporate dilemma. In order for a company to emerge from this dilemma, it is important to balance its economic responsibility to shareholders with its social and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to other stakeholders. Second, analyzing the types of dilemmas revealed that Levi Strauss & Co, New Balance, and Patagonia faced a strong trade-off dilemma between investing in ESG initiatives and achieving other business goals, while McDonald's, Best Buy, and Tesla faced short-term or long-term sustainability dilemmas. Pfizer, P&G, and Unilever faced a stakeholder dilemma facing conflicting needs from different stakeholders, while Apple, British Petroleum (BP), and Amazon were facing a dilemma over compliance with government regulations and laws and voluntary action. Third, SK, Ben & Jerry's, and Patagonia were taking active measures such as reorganizing their social value assessment to improve ESG performance as a result of dividing the ESG value of sustainable companies into economic value, social value, social/environmental value, and image valu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reconsider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the company, away from the dichotomous view of the company, by analyzing the case that the company may fall into a dilemma for a "good" company in ESG management.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was that objectivity was not guaranteed due to the lack of limited data in corporate case analysis and empirical data that looked at positive and negative issues of companies. In future studies, interdisciplinary research is expected based on various data.

      • 한국 기업의 필란트로피 커뮤니케이션 특성에 관한 연구

        한세현(Han, Se-hyeon) 한국소셜네트워크협회 2022 지속가능저널 Vol.1 No.1

        최근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관심이 커져왔다. 하지만 선행연구들은 기업들이 규제와 시민단체 감시를 피 하고, 부정적 여론을 피하기 위해 진행한 측면도 있다고 지적한다. 이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제시된 개념이 ‘기업의 필란트로피(corporate philanthropy, CP)’다. 자선, 박애 등으로 정의되는 필란트로피를 기업경영에도 적 용한 것으로, 사회와 긍정적인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제고하자는 취지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기업 114곳을 대상 으로 필란트로피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인식과 현황 등을 7개월간의 심층면접을 통해 파악했다. 그 결과, 기업들 은 CP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지출과 투자를 늘리고 있었다. 하지만, 상당수가 중장기적 전략을 수립하지 못했고. 활동에 대한 평가체계도 부실한 것으로 파악됐다. 아울러 CP를 단순히 취약계층이나 교육, 응급재난 구호 등에 기부금를 납부하는 차원으로 이해한 경우도 많았다. 사회적 이슈 영역에 대해서만 지원할 경우, 반기업 정서가 강한 국내 소비자에게는, 보여주기 식의 활동으로 인식돼 진정성이나 일관성, 지속성에 대한 의심으로 이어져 오 히려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높아진 사회적 CP 기대에 부합하기 위해, 실증적인 전략 분석에 대한 참 고를 제시한다. Recently, stakeholders such as consumers, investors, and NGOs worldwide are starting to expect higher standards from corporate philanthropy activities/programs and the society is also anticipating greater value from companies, thereby showi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and corporate philanthropy as a corporate practice. CSR is now perceived as a strategy required for sustainable growth beyond just improving the reputation or image of the company. However, while many companies in Korea are widely aware of the term “CSR,” they lack awareness regarding the term “corporate philanthropy. It is also necessary to evaluate the process and outcomes of conducting philanthropy activities, based on which new business strategies can be established. This will enable Korean companies to be more clearly aware of philanthropy, which is relatively at a lower level compared to advanced countries and companies.to decreas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vestments in the companies. Therefore, in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4 domestic companies first. we very rigorously selected and interviewed executives and employees who are actually conducting corporate philanthropy at the company or who can make decisions related to it. Many of the interviewees were executives including the CEO. It is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what the companies think about corporate philanthropy, and it can be explained as a kind of diagnosis from a medical point of view. Through this, we tried to analyze the thoughts, strategies and performance levels of companies regarding corporate philanthropy communication. It is because such a process must be preceded in order to analyze the basic perception framework, limitations, expectations, and development potential of compan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