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세종 선생의 영성과 삶이 제시하는 기독교사회복지의 정신과 실천원리

        유장춘(Yoo, Jang Choon) 영성과 보건복지학회 2019 영성과 보건복지 Vol.6 No.1

        ‘이공(李空)’이라는 호를 가진 이세종 선생은 한국개신교의 성인으로 추앙받는 영성적 위인이다. 연구자는 이세종 선생이 그 삶을 통하여 오늘의 사회복지실천가들에게 중요한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고 보았다. 본 연구는 먼저 이공 선생의 삶으로부터 사회복지의 존재론적 기초로서 궁극적 존재와 절대적 관계맺기와 성서적 자아정체성 확립하기를 배운다. 다음으로 종말론적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며, 그 세상을 벗어나고, 다시 세상으로 향하여 들어가는 기독교 사회복지의 세계관적 방향을 살펴보았다. 더 나아가서 실천가는 이공으로부터 이타적이고, 영성적이며, 실존적인 가치체계를 설정함으로써 사회복지 활동에 임하는 진정한 이유와 목적을 이해하도록 하며, 마지막으로 그러한 가치지향을 향한 올바른 실천 방법과 원리로써 자기희생과 동등한 지위 부여, 인지적 재구조화, 당사자의 주체화, 솔선수범, 자기결정과 선택 등을 제시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Sejong Lee with the pen name “Yi-gong” is an honored man who is considered a saint by Korean Protestantism. With the life of Yigong, the researcher finds it implying a vital message that is fundamental to today’s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By examining Yigong’s life, this study investigates, first and foremost, the relationship with the ultimate being and the establishment of eco identity as the existential foundation of Social Welfare. Following the first point, the study explores the world view of spiritual social work that takes the apocalyptic perspective to the world, breaks out of, and re-enters the world. Furthermore, the study understands of the true ground and purpose of the social welfare practice by analyzing the altruistic, spiritual, and existential value system that could be learned from Yigong’s life. Therefore and lastly provides direction to the principle and practice as self-sacrifice, empowerment, reconstruction of perception, subjectivation of self, taking the initiative, and self-determination.

      • 인공지능시대의 영성적 자아실현과 상생복지

        도영인(승자)(Doe, Sondra SeungJa) 영성과 보건복지학회 2018 영성과 보건복지 Vol.5 No.1

        이 논문은 현재 글로벌 차원에서 일어나고 있는 엄청난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가장 주목해야 하는 두 가지 변수를 다룬다. 제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사회전반에 걸친 인공지능의 영향력 및 이와 관련해 사회복지적 관점에서 본 한국사회의 집단의식 수준의 방향성이다. 현 시대는 인공지능시대인 동시에 제도권 종교가 점점 힘을 잃어가고 있는 영성시대이다. 인공지능이 행사하는 물질적 영향력과 영성이 인간 삶의 전반에 미치는 눈에 보이지 않는 영향이라는 두 가지 상반된 힘은 불확실한 미래에 직면한 인간이 정체성, 공동체적 가치관, 공익중심 사회복지 발전에 대해 갖고 있는 생각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인공지능시대의 시대적 맥락 속에서 점점 더 기계에 종속된 삶을 살아야 하는 사람들이 고민하게 될 영성적 자아실현의 의미를 검토하고자 한다. 특히 한국사회가 당면할 미래 사회문제와 관련하여 상생적 사회복지의 가능성을 한국사회 고유의 정신문화적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This paper covers two variables that demand the utmost attention admist the tremendous whirlwind of changes currently occurring at the global level. They are the impact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on the society as a whole caused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ts related direction of the Korean society at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level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welfare. The current era is the time for AI and also the era of spirituality in which institutional religion is increasingly losing its influential power. The two contradicting forces are materialistic influences generated by AI and the invisible impacts of spirituality on the overall human lives. Confronting the uncertain future, these forces will exercise great influences on people’s thoughts about their identity, communal values, and social welfare development centered the public goo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spiritual self-realization that will be agonized by those whose lives will increasingly become subordinate to machines in the context of the AI era. From the viewpoint of uniquely Korean spiritual culture, the author particularly intends to examine the potentiality of ‘mutually-supporting’ (상생, 相生) social welfare in relation to future social problems that will be faced by the Korean society.

      • 성공적 노화를 위한 자아통합과 영성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구금섭(Koo, Keum-Seob) 영성과 보건복지학회 2018 영성과 보건복지 Vol.5 No.1

        노년기는 비록 신체적으로는 쇠퇴해가지만 내면적으로는 보다 완숙해지는 시기로 자기실현과 자아통합의 발달시기로 보아야 한다. 특히 노인들은 노화에 따른 상실의 경험을 긍정적으로 수용할 때, 자아통합이라는 노년기 발달과업을 성공적으로 수행 할 수 있다. 노인들은 상실의 경험을 긍정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의미, 희망, 가치, 초월, 통합 등과 같은 영적인 요구들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 때 작용하는 것이 인간의 존재성 안에 내재되어 있는 “영성”이다. 영성은 인간의 발달과정에서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에너지로서 노인의 노화과정에서 수반되는 다양한 어려움에 대처하고, 의미 있는 삶을 살아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노인들의 성공적 노화를 통합적 관점에서 지지하기 위해서는 노인들의 영적인 측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실천에서 노인에 대한 전인적인 관점으로서 노인의 영성과 자아통합감에 대한 사회복지실천 개입 방안을 모색하고, 보다 다양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클라이언트의 영성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노년기 발달과업의 성공적인 수행을 돕는 탁월한 자원으로서 영성이 지니고 있는 의미를 인간발달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현대사회복지실천에서 강조되는 전체론적 관점의 영향으로 한국에서의 영성에 관한 연구들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사회복지학 분야에서 노인의 영성과 자아통합감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다룬 연구들은 매우 부족하다. 그러므로 노인들의 자아통합감 향상에 기여하는 자원들 중 내적인 자원인 영성과의 상호작용을 검증하는 연구는 성공적 노화를 지지하기 위한 통합적 서비스의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데 실천적 의의가 있을 것이다. Old age should be seen as the time of self-realization and self-integration, although it declines physically but becomes more mature internally. Especially, when the elderly positively accept the experience of loss due to aging, they can successfully perform the developmental task of self-integration. In order to positively accept the experience of loss, the elderly increase the spiritual demands such as meaning, hope, value, transcendence, and integration, which is the spirituality inherent in human existence. Spirituality is an energy that plays a positive role in the development of human being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ping with various difficulties accompanying the aging process of the elderly and living a meaningful life. Therefore, in order to support the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from an integrated point of view, research on the spiritual aspects of the elderly will be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e need to seek social welfare intervention for the spirituality and self-integration of the elderly as a holistic view of the elderly in social welfare practice and to pay attention to the spirituality of the client in order to provide more diverse social welfare servic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we examined the meaning of spiritu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development as an excellent resource to help the successful performance of the developmental task of old age. Research on spirituality in Korea is also increasing due to the influence of the holistic viewpoint emphasized in the practice of modern social welfare. However, there is still a very short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ity and self-integration of the elderly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Therefore, research that verifies the interaction with spirituality, which is the inner resource of the resources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self-integrity of the elderly, will have practical significance in providing basic data of integrated services to support successful aging.

      • 중환자실 간호사의 영성, 영적 돌봄, 회복탄력성 및 임종 간호 스트레스와의 관계

        김민정(Kim, Min Jeong),용진선(Yong, Jinsun) 영성과 보건복지학회 2019 영성과 보건복지 Vol.6 No.1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영성, 영적 돌봄(연민어린돌봄), 회복탄력성 및 임종 간호 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이들 변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서울시에 소재한 C 대학병원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64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와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영성은 6점 만점에 평균 3.78점이었으며, 연민어린돌봄은 5점 만점에 평균 3.59점, 회복탄력성은 4점 만점에 평균 3.46점, 임종 간호 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평균 3.74점이었다. 영성과 연 민어린돌봄, 영성과 회복탄력성, 연민어린돌봄과 회복탄력성은 각각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영성과 임종 간호 스트레스, 연민어린돌봄과 임종 간호 스트레스, 회복탄력성과 임종 간호 스트레스는 각각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영성, 영적 돌봄(연민어린돌봄),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등의 개발을 통해 임종 간호 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ptive levels of spirituality, compassionate care, resilience, and terminal care stress for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s(ICU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s a method, descriptive correlation design was applied with self-reported questionaires among 164 nurses working in the ICUs in a university affiliated tertiary hospital in Seoul, Korea. These nurses agreed to voluntarily participate in the study from June 27 to July 23, 2019 when the data was collected. Spirituality, compassionate care, resilience, and terminal care stress were survey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 ANOVA, Scheffé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using the SPSS / WIN 22.0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Spirituality was 3.78 out of 6 points, compassionate care was 3.59 out of 5 points, resilience was 3.46 out of 4 points, and terminal care stress was 3.74 out of 5 point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following variables: Spirituality and compassionate care (r=.650, p <.001), spirituality and resilience (r=.694, p <.001), compassionate care and resilience (r=.663, p <.001).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following variables: Spirituality and terminal care stress (r=-.250, p =.001), compassionate care and terminal care stress (r=-.273, p <.001), resilience and terminal care stress (r=-.198, p =.011).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ity, compassionate care, resilience and terminal care stress of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three former variables were the lower the terminal care stress was.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terminal care stress of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s, an intervention program considering this relationship has been determined to be necessary. Endurance nursing stress is expected to be lower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intensive care units for nurse s spirituality, compassionate care, and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resilience.

      • 임상 간호사의 영적돌봄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희진(Hee Jin Lee),용진선(Jinsun Yong) 영성과 보건복지학회 2020 영성과 보건복지 Vol.7 No.1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들의 영성과 소진, 영적 돌봄 수행능력의 관계를 파악하고, 영적돌봄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지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서울시에 소재한 C대학병원에서 1년 이상 근무한 간호사 17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5년 1월 27일부터 2월 13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영성은 소진과 음의 상관관계(β=-0.49, p<.000)가 있었고, 영적돌봄 수행능력과는 양의 상관관계(β=0.31, p<.000)가 있었으며, 소진은 영적돌봄 수행능력과 음의 상관관계(β=-0.23, p=.004)가 있었다. 결과를 통해 간호사의 영성과 소진은 영적돌봄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적돌봄 수행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러한 영향요인을 고려한 중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간호사의 영성을 증진시키고, 소진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며,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는 지속적인 영적돌봄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간호사 자신 스스로를 영적으로 돌볼 수 있도록 영성 중진 교육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which aims to invest 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nurses' spir itualit y, burnout and spiritual care competence, as well as to ident ify factors that influence spiritual care competence.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January to February 2015, from a sample of 170 Clinical Nurses who have more than 1 year of work experience at 'C' Univer sity Hospital in Seoul. Self-reported quest ionnaires were used assess spi rituality , burnout, and s pir itual care compet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negat ive corr elations between spir ituality and burnout , burnout and spi ritual care compet ence. Yet ,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pi rituality and spir itual care competence. By analyzing the inter- influence of spir ituality, burnout and spiritual care competence through path analys is, it was discovered that the degree of spir ituality has a negative effect on burnout (B=-0.49,p<.000), while burnout had a negat ive effect on spir itual care compet ence(B=-0.23, p=.004). furthermore, the degree of spi rituality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 on s pir itual care competence(j3=0 . 31, p<.000). The study results above show that a clinical nurse's spir ituality and level of burnout influence his/her spi ritual care compet ence. In addition, burnout, degree of influence religion has on one's life, practice of spir itual self-care and whether he/she has received education on s pir itual care were identified as the pr imary factors that influence spir itual care competence. Therefore, in order to strengthen nurses' spir itual care competence, an intervention program that t akes all of these factors into consideration is much needed.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educate nurses on s pir itual growth to enable practice of s piritual self- care.

      •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이 조직몰입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경희(Shin, Kyoung-hee) 영성과 보건복지학회 2018 영성과 보건복지 Vol.5 No.1

        본 연구는 영성에 기반한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태도(전문성)가 사회복지사들의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직몰입을 매개로 하였을 때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경기도 소재 사회복지 관련 기관과 시설 및 공공기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문적 태도의 하위변인 중 개별적으로‘주요한 준거로서의 전문조직활용’,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 ‘자기직업에 대한 소명의식’, ‘자율성’ 등을 높게 지각할수록 이직의도는 감소했다. 둘째, 자기규제에 대한 신념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전문적 태도의 하위변인들 중에서 다른 변인들이 통제되었을 때에는 ‘자기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만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주요한 준거로서의 전문조직활용’,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 ‘자기직업에 대한 소명의식’, ‘자율성’은 조직몰입을 매개로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이 이직의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rect effects of social workers professional attitudes on turnover intention and to investigate whether professional attitudes influence turnover intentions through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suggests ways to increase professional attitude through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well as ways to increase professional attitude that directly affect turnover inten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higher the professional attitude, the mor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A sense of calling to the field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Among the sub-variables of professional attitude,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The use of the professional organization as a major , A belief in service to the public , Belief in self-regulation-Respectively.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found to mediate between professional attitude and turnover intention.

      • 삼 교대 근무 간호사의 영성, 건강증진행위, 수면의 질

        장안우(Jang An-Woo),용진선(Yong, Jinsun) 영성과 보건복지학회 2019 영성과 보건복지 Vol.6 No.1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C 대학병원에서 1 년 이상 밤근무를 포함한 3교대 근무를 하고 있는 간호사의 영성과 건강증진행위, 수면의 질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기로 동의한 236 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8 년 5 월 13 일부터 5 월 27 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영성은 건강증진행위와 정상관관계(r=.50, p<.000)가 있었고, 수면과는 역 상관관계****(r=-.17, p=.009)가 있었으며, 건강증진행위와 수면의 질은 상관관계가 없었다(r=-.05, p=.465). 본 연구는 영성이 건강증진행위와 수면의 질과 관계가 있음을 밝힌 것에 의의가 있다. 간호사의 영성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등의 개발을 통해 3 교대 근무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 및 수면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study is to review spirituality,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sleeping quality of the nurses working on the shift system and thereby, analyze the correlations among these variable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ampled 236 nurses who were working on a three shift system for more than a year at ‘C’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The researcher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for the period from May 13 through May 27, 2018.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Subjects’ spiritual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health promotion behaviors (r=.50, p<.000), while being inversely correlated with their sleeping quality (r=-.17, p=.009). Their health promotion behaviors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ir sleeping quality(r=-.05, p=.465). This study may be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the correlation among the 3-shift working nurses’ spirituality, their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sleeping quality, and thereby that it proved that their spirituality was correlated with their sleeping quality. Hence, it is deemed necessary to develop an intervention program in consideration of such correlations. Lastly, it is perceived that such a spirituality-reinstating program would serve to enhance the 3-shift working nurses’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sleeping quality.

      • 빈곤의 밑바닥과 가난한 예수의 조우 : 노숙인의 해방적 영성을 중심으로

        탁장한(Tak, Jang Han) 영성과 보건복지학회 2018 영성과 보건복지 Vol.5 No.1

        이 논문은 빈곤층 중에서도 물리적, 사회경제적으로 가장 취약한 위치에 놓여있는 노숙인들과, 특별히 그들을 구제하기 위해 이루어지고 있는 교회차원 지역사회복지 간의 접점이 실천현장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구체화되고 있는지, 그리고 그것에 의하여 노숙인들의 인생이 어떻게 변화되어가고 있는지를, 노숙인의 영성을 중심으로 탐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노숙인과 종교의 결합이 긴밀하게 진전되어온 대표적 지역인 서울시 영등포역을 연구지역으로 설정하여, 그곳의 거점교회에서 운영하는 쉼터에서 생존하고 있는 노숙인 10명을 사례로 삼아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성의 맹아단계에서 노숙인들은 본인의 어두웠던 과거와 그로 인한 결핍상황 속에서, 자신들의 식사지위를 지키기 위하여 예배에 참석한다. 마중물단계에서 쉼터는 지속적인 예배의 자리를 보장하며 그 속에서 노숙인들은 자신의 역할을 부여받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기도 하고, 신의 사랑으로 인해 타인의 이목에 개의치 않는 자유분방한 모습으로 예배에 임한다. 열매단계에서 노숙인들은 성서와 사회적 이슈에 대한 공부를 하면서 눈이 뜨이게 되고, 그들이 나아갈 사회가 불평등한 곳일지라도 두려움 없이 나서겠다는 소위 ‘해방적 담력’을 얻게 된다. 이 과정을 영성의 성장단계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This study mainly explores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homeless who are physically, socioeconomically the most vulnerable and the church- based community social welfare for the homeless, in order to find out how the life of the homeless changes through it. This study set Youngdengpo station in Seoul as a study region, where the homeless and the religions coexist, and interviewed 10 people surviving in the church-operated shelter there.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In a starting phase, the homeless attends worship services because of their dark past and the following deprivations. They usually go there so as to maintain their so-called meal status. In a middle stage, the shelter guarantees lots of worship opportunities, and there the homeless grow confidence by preparing worship services. They worship freely, regardless of others gazes thanks to the love of God. As time goes by, the homeless study Bible and the social issues surrounding them, then get enough courage to go out to the unequal society they will face. This study tried to depict this journey, concentrating on the growth stage of spirituality.

      • 문학작품을 매개로 한 인문주의 영성의 고양

        고명수(Ko, Myeong Soo) 영성과 보건복지학회 2019 영성과 보건복지 Vol.6 No.1

        본 논문은 최근 상담과 심리치료 분야에서 인간의 전인적인 성장과 안녕에 관해 관심을 갖게 되면서 대두하게 된 인문주의적 영성이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고 자기를 초월하여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를 삶의 현실 속에서 조각나고 굴절된 영혼의 균형을 회복할 뿐만 아니라, 단절되고 소외된 자기와의 화해, 타인과의 화해, 자연과의 화해, 초자연적인 것과의 화해를 통해서 통합적인 자기실현과 영적인 자기종합에 이르게 하는 문학과 문학이 가지고 있던 이러한 기본적인 효능을 좀 더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임상심리치료의 차원에서 문학을 활용하는 문학치료와 연결시켜 그 효능 과 기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문학치료는 첫째, 무너진 대상 복구와 항상성, 카타르시스를 통한 외재화 등의 기제와 더불어 변증법적 정신의 종합기능을 통해 자아(ego)의 심리학적 치유와 영적 세계의 통합을 시도하는 전인적 차원에 대해 접근하는 하나의 인식과정이라는 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인간의 내면에 창조성과 신성이 내재되어 있다는 전제 하에 문학치료는 인간의 경험을 더 넓고 깊은 차원까지 확장함으로써 우리가 초월적이고 영적인 영역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본래의 자기(Self)를 만나고, 궁극적인 삶을 찾아가는 영적 여정의 매개로 사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우리를 발전시키고 성장시키는 치유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In the light of the recent interest in holistic human growth and well-being in the field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this paper try to revealed the mechanisms based on the ideas of the humanistic spirituality that research the aim and the meaning of life, and it helps to transcend the life, the literature not only restores the balance of disrupted and refracted souls in the real world of life, but also the reconciliation with disconnected and alienated self, and the reconciliation with others, reconciliation with nature and with the supernatural, and wanted to link literature to literary therapy utilizing literature in terms of clinical psychotherapy in order to make more effective use of these basic effects of literature and literature that led to integrated self-realization and spiritual synthesis. First, literary therapy has the mechanism of restoration and homeostasis of collapsed objects, and externalization through catharsis.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demonstrate that it is a recognition process that approaches the holistic dimension of psychological healing of ego and the integration of spiritual world through the function of dialectical synthesis of mind. Subject to the premise that creativity and divinity are inherent in man s inner self, literary therapy extends human experience to a wider and deeper dimension, allowing us to move forward into transcendent and spiritual realm. At the same time, it could be used as a medium for spiritual journey to meet the original self, to seek the ultimate life, and that it could be used as a healing tool to inspire and grow us.

      • 혈액투석환자의 영적, 정서적 상태 및 삶의 질

        김혜선(Hye Seon Kim),용진선(Jinsun Yong) 영성과 보건복지학회 2020 영성과 보건복지 Vol.7 No.1

        본 연구는 만성신부전 환자 중 혈액투석을 받고있는 환자의 영적, 정서적 상태 잊 삶의 질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는 중 남 소재 9 개 개인의원에서 혈액투석을 받고있는 환자 250 명을 대상으로 2013년 1 2월부터 2014 년 2월까지 3개월간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즉정변수는 영적안녕 (Palouzi an & Ell ison, 1982), 영적요구f-(on g et al., 2008), 우울 CES-D(Radloff, 1977), 불안(S pi lebe rg er, 1 972)과 삶의 질 (SF - 36, 1992) 이었고,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t -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로 분석하였다. 영적안녕은 영적요구(r= .3 56, p < .0 1 )와 삶의 질 (r = .3 26, p <.01)과 순 상관관계를 보였고, 우울(r=-.3 56, p < .01)과 불안(r= -.467, p < .0 1 )과는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영적안녕이 높을수록 영적요구와 삶의 질은 높았고, 우울과 불안정도는 낮았다. 우울은 불안(r = .750, p < .01)과 높은 순 상관관계를 보였고, 삶의 질 (r=-.676, p < .01)과는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우울이 높을수록 불안이 높고, 삶의 질은 낮아졌다 불안은 삶의 질 (r=-.688, p < .0 1 )과 역 상관관계를 보여 불안이 높을수록 삶의 질은 낮아졌다. 본 연구를 통해 혈액투석환자의 영적안녕, 우울, 불안 맞 삶의 질과의 의미있는 관계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혈액투석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영성적, 정서심리적 측면을 지지해 줄 수 있는 영성기 반 간호중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examination research to understand the relations betwee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spiritual and emot ional state of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undergoing hemodialysis. The data were gathered from surveys of 250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in private clinics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in the period of three months from December 2013 to February 2014.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Spiritual well-being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spiritual needs (r=. 356, p<.01) and quality of life (r=.326, p<.01) and negative correlations with depression (r=-.356, p<.01) and aruciety (r=-.467, p<.01). In other words, higher spiritual well-being meant higher spiritual needs and quality of life and lower levels of depression and anxiety. Depression showed high positive correlations with aruciety (r=.750, p<.01) and negative correlat ions with quality of life (r=-.676, p<.01). In other words, higher depression levels meant higher aruciety levels and lower quality of life. Aruciety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quality of life (r=-.688, p<.01), meaning that higher levels of anxiety. led to lower quality of life. Through this research, meaningful relations between the spiritual well-being, depression, anxiety and quality of life regarding the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were understood. Upon this basis, spir ituality-based peacemaki ng programs in nursing to support the spiritual,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ides of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to improve the qualities of their lives are considered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