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 교양교육에 수어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일고(一考)

        김언경 ( Kim Eon-kyeong ),김춘수 ( Kim Chun-soo )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양교육연구센터 2022 융합교양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현대사회에 공존하는 다양한 문화 중 하나인 농문화 속 수어에 대한 이해와 대학 교양교육에서 수어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일고(一考)이다. 2016년 2월에 ‘한국 수화언어법’이 제정되면서 수어가 농인이 사용하는 제1의 언어로 농인의 고유한 언어로서 한국어와 동등한 자격을 갖는 언어로 인정을 받았지만, 그 실효성에 있어서는 큰 역할이나 효과를 보지 못하다가 COVID19 감염증 보도 과정에서 농인들이 신속 정확하게 관련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확대 시행되었다. 또한 실시간 TV 정부 브리핑과정에서 수어 통역사의 위치 변화를 통해 농인들의 사회 위치가 주변부에서 중심부로 이동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농인의 사회 참여와 청각장애 학생들의 통합교육 확대 및 고등교육 기회 확대에 따른 수어 통역 서비스의 요구가 점차 커지고, 전문성과 다양성이 요구되면서 수어 통역사의 역할과 수어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수어를 배우고자 하는 사람뿐만 아니라 수어를 가르치는 곳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수어 교육에 대한 이해는 매우 개인적인 차원에서 머무는 것이 현실이고, 여전히 대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수어 교육은 개인의 취미 생활 등의 형태로 치부되며 환원되고, 모든 학생이 선택할 수 있는 ‘수어’ 교양강좌는 특수 목적을 가진 대학 이외에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톨릭 이념의 확산을 위해 노력하는 대구가톨릭대학교에서 수어 교육에 대한 인식이 없다는 것은 큰 문제이다. 이에 왜 대구가톨릭대학교에 수어 교육이 필요하며, 수어 교육의 방법에 대해 인근 대구대학교의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This study is an understanding of sign language in Deaf culture, one of the various cultures that coexist in modern society, and the necessity of sign language education 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With the enactment of the “Korean Sign Language Act” in February 2016, sign language was recognized as the first language used by farmers as a language equivalent to Korean, but it did not play a significant role or effect in its effectiveness, and expanded to allow the Deaf to receive related information quickly and accurately.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social position of the Deaf are moving from the periphery to the center through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sign language interpreters during the real-time TV government briefing. In addition, the demand for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s is growing due to the participation of the Deaf in society, the expansion of integrated education and higher education opportunities, and the interest and importance of sign language interpreters are increasing. However, despite this interest, understanding of sign language education remains on a very personal level, and sign language education in universities is still dismissed as a form of personal hobby and is rarely given to all students. In this situation, it is a big problem that there is no awareness of sign language education in Daegu Catholic University, which strives to spread Catholic ideology. Therefore, why sign language education is necessary at Daegu Catholic University, and I would like to examine the method of sign language education through the case of nearby Daegu University.

      • 대구가톨릭대학교의 말하기 교과 운영 현황과 교과목 개발 방향 탐색

        정효진 ( Jeong Hyo-jin )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양교육연구센터 2021 융합교양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대구가톨릭대학교의 말하기 교과 운영 현황을 살펴보고, 말하기 교과목 개발 방향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 주요 대학의 ‘말하기’ 관련 교과목 개설 현황을 살펴본 후, 대구가톨릭대학교의 ‘말하기’ 관련 교과목 개설 현황, 2017년 대학생핵심역량진단(K-CESA) 결과 분석, 그동안의 말하기 교육 과정 등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대구가톨릭 대학교 말하기 교과목 개발 방향 탐색에서는 크게 ‘말하기 교육내용의 다각화’, ‘적절한 수강 인원 배치’, ‘글쓰기와의 연계 방안’, ‘비교과 활성화를 통한 교과연계 학습 효과 증대’로 나눠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speaking subject at Daegu Catholic University and explores the direction of the speaking subject development. To this end, the author first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speaking’ related subjects at major domestic universities, then examined the opening status of ‘speaking’ related subject at Daegu Catholic University, the 2017 university student core competency diagnosis result analysis, and the speaking curriculum. Based on this, in the exploration of the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the speaking subject at Daegu Catholic University, discussion was made largely dividing into ‘diversification of contents of speaking education,’ ‘arranging appropriate number of students,’ ‘connection plan with writing,’ and ‘increase the effect of subject related learning through activation of comparative subjects.’

      • 비전공자들의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전략

        이정아 ( Lee Junga )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양교육연구센터 2021 융합교양연구 Vol.8 No.1

        최근 인공지능, 빅 데이터(Big Data),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등의 기술 발전으로 인해서 살아가는 세상이 디지털화되고 있으며, 4차 산업혁명은 먼 미래가 아니라 이미 우리 생활 옆에 손만 뻗으면 잡을 수 있을 것 같은 위치에 와 있다. 소프트웨어의 교육을 통해서 미래 산업의 필수 경쟁력인 컴퓨팅 사고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 할 수 있어서 소프트웨어의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대학에서도 미래 산업을 대비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 컴퓨터 비전공자들의 컴퓨팅 사고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 교과목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컴퓨터 비전공자들을 대상으로 문제 해결 능력과 컴퓨팅 사고력을 향상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을 하기 위해서 블록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의 교수 학습 전략을 제시한다. 컴퓨터 비전공자들은 프로그래밍 문법에 대한 어려움과 이를 실제 상황에 맞게 해결하기 위한 프로그래밍 학습의 어려움이 많으며, 학습자별로 학습의 차이가 크고, 교수자가 다수의 학습자들에게 피드백의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비전공자들의 프로그래밍 교육 방법으로 블록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교수 학습 전략을 제시한다. 프로그래밍 교육을 통해서 문제 해결 및 효과적인 실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동영상 컨텐츠를 학습 후 면대면 수업에서는 상호 동료 교수법을 융합하여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 의견 소통과 협업을 할 수 있는 교수 학습 전략을 제시한다. 이러한 교수 학습 전략을 통해서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인 수업과 창의력이 발휘될 수 있는 수업이 됨과 동시에 학업성취도의 향상을 기대한다. In response to recent development of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AI), BigData, Internet of Things (IoT), Cloud Computing,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ICT), the world is getting digitalize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not the far future and it is already near us within our reach. Also, the importance of software education is getting spotlighted because software education enhances computational thinking and problem-solving ability which are essential competitiveness for the future industry. As a result, universities are providing more software courses to foster talents for the future industry and enhance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non-computer majors. In response, this study suggests th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for block-based programming courses designed for software education under the goal of enhancing the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of non-computer majors. The non-computer majors experience difficulties in learning programming-related grammars and learning programs for solving in the actual situation. Also, there is a huge learning gap between each student and the instructors have difficulty in giving feedbacks to multiple students. Thus, this study suggests th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for block-based program courses as a way of teaching programming for non-computer majors. For the problem solving and effective a practice in the programing course, the students are given video contents. Also, in face-to-face learning, peer teaching method is integrated together for the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instructor and student or between students. Such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is expected to encourage self-directed learning and creativity of students during the course

      • 입학사정관제도를 통한 전공단위 선발방법론

        손종현 ( Jong-hyun Son )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양교육연구센터 2022 융합교양연구 Vol.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입학사정관제도를 통한 전공단위 선발방법론을 논의하는 것이다. 전공단위 선발이 가능하기 위해 전형방법론과 전형요소 평가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형자료에 대한 새로운 개념화가 필요하다. 대학 입학전형의 기본 자료는 학교생활기록부이고, 주요 자료는 수능시험(등급)과 면접이다. 그 밖의 보고자료는 자기추천서, 교사추천서, 프리젠테에션, 포트폴리오, 실험실습보고서, 학교 프로파일 등이다. 둘째, 전공단위 선발방법론은 다양한 전형요소에 대한 적합한 평가방안의 개발을 전제로 해서 성립한다. 전공단위와 입학사정관은 전형자료화에 힘써야 한다. 선발·사정의 주체는 전공단위이며, 전공단위 교육목적을 설정하고, 이것에 근거하여 선발모형을 개발해야 한다. 전형절차는 실력 분류의 6단계 과정을 거친다. 심층면접은 전공단위 선발에서 그 의의가 크다. 전공적합성, 창의적 사고력, 면접 태도 등이 평가항목에 해당한다. 전공단위 선발방법론은 전공학과(부)의 고유한 교육목적에 부합하는 다양한 재능을 가진 학생을 자율적으로 선발할 수 있게 하는 제도이다. 전공단위 인재(人材) 선발은 다원주의 시대의 흐름에 상응하여 다방면의 다양한 재능을 가진 인재를 선발하는 선발시스템으로 적합하다. 이런 시대 흐름과 요구에 대응하여 연구자는 대학교육체제 전반에 대한 체제적 개혁의 일환으로 입학사정관제도를 통한 전공단위 선발방법론을 도입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I suggest to introduce the institutionalizing of selection by major unit in university, as a mechanism to systematically reform university’s educational system. It requires establishing the educational goals of major units in university. That will be an important opportunity to enlarge the educational capability of major units. First, in the selection methodology, it is necessary to take the principle of multi-step procedure proceeded by multi-assessors’ evaluation. School records ought to be used as ‘basic’ material, academic test results and in-depth interview as ‘important’ materials, and other records as ‘subsidiary’ materials. Especially, evaluation methodology including selection criteria and in-depth interview ought to focus on judging the applicants' fitness for majoring study. It must be designed to go by way of three or four step for classification of capability and be able to secure the specialty and fairness of assessment by major units. University ought to organize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personnel, material and cultural condition) for introducing the ‘selection by major units’ system, such as preparation for administrative supporting system including the revision of school regulations, the establishment of TF team for university’s policy reformation, the confirmation of articulation between high school and university, and the establishment of major unit’s educational goals, etc. Second, in the middle of the change of university’s selection system, major unit’s professors need to act as the main body of selection with admissions officers, establishing the assessment apparatus in department, and leading to research and develop a proper selection model. Major units have to take the responsibility for the specialization and fairness of assessment, and for organizing the mechanism to reconstruct major unit classroom. Selection system by university major units is justifiable in that this system will serve to extension of systemicity between 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 in Korea education, raising the educational capability of major unit, enlarging selection autonomy, and normalizing public education in Korea. The procedure of selection and assessment should process four or five steps classifying the various capabilities of applicants.

      • 학습자 중심 교육 수업의 운영 사례 분석 -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교육환경의 전략적 설계 -

        정현숙 ( Jung Hyun-sook )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양교육연구센터 2021 융합교양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평생학습 시대에 부합하여 연구자가 진행했던 자기주도적 학습과 학습자 중심 교육 수업의 운영 및 경험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자는 2021년 1학기 00대학에서 21명의 4학년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15주 과정의 45시간을 진행하였다. 이 전공 수업 경험을 바탕으로 교수자는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의 신장을 위해 학습자 중심의 교육환경을 전략적으로 설계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이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는 평생학습 시대의 자기주도학습, 학습자 중 심 교육에서의 교사의 역할이다. 효과적 학습자 중심 교육을 위해 교수자와 학습자가 상호보완적 주체임을 인지하는 데 목적을 둔다. 교수자는 더 이상의 권위적 지식 전달자가 아니다. 학습자 스스로 유의미한 지식을 생산할 수 있는 교수자의 전략적 교육환경 설계가 시급하다. 이에 대학의 ‘교육 강의계획서’의 내용이 새롭게 인식되어야 함이다. 첫째, 해당 학기의 첫 시간인 오리엔테이션의 중요성을 재인식하여 교과목에 관한 동기부여를 높이기 위한 교육 설계가 필수이다. 또한 수업교재의 참신성을 부각하여 한 학기 내내 특정한 교재의 접근을 지양했다. 수강생들의 요구에 적절히 부응하여 시사적 가치가 있는 신문기사 텍스트를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창의적 질문을 통해 신문기사 텍스트의 핵심 정보를 파악하는데 주력 했다. 그 다음은 중간고사 피드백이다. 학습자의 셀프 평가는 문제해결능력과 자기효능감을 강력하게 만든다. 둘째, 학습자의 능동적 교육활동의 일환으로 일환으로 과제평가 비율의 상향이다. 즉 2가지 유형 과제 평가가 교육 활동 전략에 해당한다. 생산적 가치로의 프레젠테이션, 창의적 가치로의 미디어 리터러시로 융합하여 능동적 참여를 촉진했다. 이를 통해 기존의 지식을 재창조 할 수 있는 지식 생산자로 육성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그러므로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증진을 위해 교수자는 학습자 중심 교육환 경과 평가방식을 새롭게 모색해야 한다. 그와 동시에 학습자는 교수자의 지도 아래 적극적이고 성숙한 학업 자세가 요구된다. 미래지향적 자기주도학습 역량 실현은 교수자와 학습자의 끝임없는 동반성장에 좌우된다. Talents required in the digital era are ‘knowledge creators’ with creative capabilities. The student selection method in the field of education also has been switched to the selection of creative students with potential and self-directed learning test, instead of simply applying the uniform entrance examination. It is proven tha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s an essential ability in the era of life-long learning and an important capability that is required in the 21st centu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measures to improve university education. Based on the experience in major classes at 00 University in 2021, the researcher suggests that the role of the instructors should be transformed into learners-centered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instructors and learners are complementary actors for effective learners-centered education. Instructors are no longer authoritative knowledge transmitter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hould be structured in terms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so that learners can produce meaningful knowledge on their own. First, reflection on the evaluation elements of class syllabus, teaching medium, and the teaching method related to the design of educational environment. This means re-examination of orientation, real life-related materials, mid-term exam feedback, and adjustment of evaluation ratio. Second, the establishment of classroom environment centered on activity classes. This means opportunities for experience through task participation strategies, contextual presentations, social cooperative learning, and active thinking skills promotion tasks. Through this, learners should focus on internal change beyond whether they can achieve the educational goals that are already set by themselves. It is necessary to help learners in reinterpreting existing knowledge in context, rather than simply acquiring and memorizing information. Therefore, instructors should provide learners flexibl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evaluation methods in order to improve the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t the same time, mature and active learning attitude is required from learners. The realization of future-oriented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depends on continuous mutual growth of instructors and learners.

      •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면 ‘교육활동’이 되는가?

        김민남 ( Kim Min-nam )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양교육연구센터 2021 융합교양연구 Vol.8 No.1

        교육이 무엇인지 묻지 않고,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면 교육활동이 되는가를 묻는다. 교육의 본질에 대한 물음에서 출발하는 관념적 태도를 버리고, 교육적 관계를 개념화하는 실용적 태도를 취한다. 논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교육은 가르치는 활동 프로그램을 거쳐 이루어진다. 첫째, ‘지식활동’이 가르치는 일의 기본 자원이다. 지식활동을 자극함으로써 마음의 성장을 돕는다. 그것은 가르치는 자의 몫이다. 둘째, 지식활동을 자극하는 프로그램의 대상은 이해와 탐구(적용)의 행위방식이 될 것이며, 그 목표는 세계의 문을 여는 더 높은 눈(안목)이다. 사회학의 눈, 물리학의 눈을 가르친다. 지식을 넘어 지식활동(영감과 땀과 눈물)이 교육적 관심사이다. 셋째, ‘공동의 장’을 형성함으로써 가르친다. 다시, 교실을 학습경험의 장으로 만든다. 넷째, 인간 삶의 가치(공존)를 드러내 질문하는 일은 교육의 상수이다. 이 보편적 질문은 정치와 경제와 사회의 변수들이 개입하면서 훼손되었다. 그 가치의 복원을 교육문제로 출제하고 풀어야 한다, 교육의 목표(이념)은 인간 삶의 가치를 고민하지 않는 시대고착과의 싸움을 표명한다. 오늘 우리는 전혀 새로운 접근방식을 필요로 하고 있다. 교육제도의 개선을 넘어선 사회체제 변혁을 파고드는 접근방식을 필요로 하고 있다. ‘사회발전 프로그램으로서의 교육’이라는 개념에 대해 내내 생각하고 있다. The researcher does not ask what education is, but what and how teaching become educational activities. This researcher abandons the ideal attitude of starting from conceptualization of the nature of education, and takes a pragmatic attitude of conceptualization from the effect of education. The summary of the discussions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al activities are to improve the competency of well living. Teachers need to make the competency into a learning experience. In order to give the learning experience, teachers should create a program that stimulates ‘knowledge activity’ which is human nature. This knowledge activity is a fundamental resource for teaching. Second, teachers produce program their own to improve the competency of students’ well living. Pedagogy and educational activities aim to develop liberation of life through knowing. These focus on building capacity of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Third, education is the practice of educational methodology. Teachers teach by forming the learning community. Also, Teachers teach by constructing concepts and principles, having students act them as problems of life, experiencing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making context of the curriculum. And teachers teach by devising an educational method that stimulates knowledge activities

      • 팬데믹과 교양교육의 방향 탐색 - 수리과학 교과를 중심으로 -

        김태희 ( Tae Hee Kim ),이미령 ( Mi Ryeong Lee )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양교육연구센터 2021 융합교양연구 Vol.8 No.2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국내 대학에서 전면 비대면 원격수업으로 전환된 2020년 1학기부터 2021학년도 현재 대면 또는 온라인 비대면 수업으로 운영되고 있는 대학의 변화된 교육환경을 살펴본다. 특별히 팬데믹으로 인해 급격하게 변화한 대학 교양교육의 운영에서 융복합 과목 <수리과학>의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수리과학>의 내용에서 학습자의 관심 분야를 집중적으로 탐색한다. 더불어 대학의 교양 교과목<수리과학>의 교육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살펴보고, 문제점에 관한 해결방안을 제안한다. 나아가 팬데믹 시대에 융복합 교과목인 <수리과학> 의 교양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we discuss the changed educational environment of universities from the first semester of 2020 when all classes of universities were alternated to online classe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o until 2021 when both offline and online classes are enforced. In particular, we investigate the curriculum of the convergence subject < Mathematical Science > in the opera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which has rapidly changed due to the pandemic. And we intensively explore areas of interest for students in the contents of < Mathematical Science >. In addition, we examine the exposed problems in the curriculum of the subject < Mathematical Science > in liberal arts education and suggest solutions to the problems. Furthermore, we suggest the direc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of the convergence subject < Mathematical Science > in the era of the Pandemic.

      • 플라톤의 Protagoras와 The Republic: 교양의 결과로서 철학과 교육

        임태평 ( Lim Tae-pyeung )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양교육연구센터 2021 융합교양연구 Vol.8 No.1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Past Masters라는 총서 중에서 하나인 R. M. Hare의 Plato라는 책에는 편집장인 Kaith Thomas의 서평이 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비록 플라톤이 가장 초기의 철학자이고 그의 작품이 아주 광범하게 잔존하지만 23세기 후 사상가들은 여전히 그의 사상을 무시할 수 없다. 논리학에서, 형이상학에서, 그리고 도덕철학과 정치철학에서 플라톤은 여전히 출발점이다. 철학이란 무엇인가? 이 물음에 우리가 쉽게 연상할 수 있는 철학자는 특히 서양에서는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이다. “대부분의 철학자들은 철학이 놀람에서 시작하며, 인간 본성 그 자체 내 어딘가에 그 뿌리를 갖고 있다고 믿는다. 인간은 아마 놀랄 수 있는 유일한 피조물이다. 이러한 놀람에서 고대 그리스에서 두 사람이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실재의 본질과 인간의 실재와의 관계로서 철학을 창시했다(Rauch, 1965: 5). 플라톤의 많은 대화편들에서 교육과 관련하여 경험과학적인 측면에서 쓰인 대화편은 『프로타고라스』(Protagoras)라고 한다면 철학적 측면에서 쓰인 대화편은 『국가』(The Republic)이다. 전자에서 플라톤은 경험과학 철학인 소피스트인 프로타고라스의 철학과 ‘덕의 교육 가능성’을 기술하고 있다고 한다면 후자에서는 소크라테스의 영향을 받는 플라톤은 자신의 교육개념인 인격형성으로서의 교육을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양자의 철학적 입장은 전자가 경험과학 철학에서 덕의 교육가능성을 논증하려고 한 반면에 후자는 전자의 경험과학적 입장에 비판적이었던 소크라테스의 입장에서 플라톤은 인격형성으로서 교육을 논증하고 있다. 이러한 경험과학적인 교육개념과 철학적 교육개념과의 대비에 의한 두 대화편인 플라톤의 Protagoras와 Republic에서 교양의 결과로서 철학을 논구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의 그 주요한 주제는 다음과 같다. In this paper, I shall try to consider philosophy as ‘result of culture’ and education from three important viewpoints of Sophist’s philosophy and Socrates’, or Plato’s philosophy. What is philosophy? Most philosophers believe that philosophy begins in wonder, and thus has its roots somewhere in human nature itself. Men are probably the only creature who can wonder. They can wonder at the mystery of man’s existence, and at the fact that the world exists or, finding no such “mysteries,” can wonder about the nature of the world and the nature of man’s knowledge of it. Out of this wonder, two men in ancient Greece created philosophy as we know it today. By Rauch’s Indication, Plato’s philosophy have had impact and influence on Western philosophy and educational theory(Rauch, 1965: 5). Thus Plato regarded the human soul as a complex whole, consisting of three ‘forms’, ‘kinds’, or ‘parts’, as he variously calls them. The first of these, beginning at the lower end in the scale of worth, is ‘appetite’. The second element in the Platonic analysis of the soul is not quite so easily described or understood, but commonly translated ‘spirit’, and the third element in Plato’s mind the highest, is that which he call ‘philosophic’(Nettleship, 1951: 9-14). Therefore, Plato was not only an unsurpassed philosopher and a brilliant author but a great philosopher of education whose practical vocation in life was that of an educator. In a Dialogue of Plato’s works, Protagoras begins by maintaining that virtue can be taught(he is a professional teacher). Socrates holds that virtue cannot be taught. By the time the dialogue ends. the two men have apparently reversed their positions. Protagoras now says that virtue cannot be taught, Socrates now says that virtue can be taught. This is not, however, a genuine reversal of position. Socrates has merely re-fined what we are to mean by virtue. His position was consistent from beginning to end: if what we mean by virtue is the conventional morality of society, then this is not taught. But virtue is something entirely different from conventional morality. Virtue is knowledge, and in this sense alone can we say that virtue can be taught(Rauch. 1965: 104-105). In this article “virtue can be taught” sophistic and Plato’ points of view shall be considered the following subject. To sum up: I. Socratic concept of Education. II. Sophism and Education 1. Sophistic Concept of Education 2. Sophistic Education of Virtue. III. Plato’s Philosophy and Education 1. Plato’s Concept of Education. 2. Education as Character Training 1V. Conclusion: Sophistic and Plato’s Philosophies as Result of Culture.

      • 신앙이 꽃피운 중세의 보물 - 스페인 베아투스 필사본

        박성혜 ( Park Sung-hye )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양교육연구센터 2021 융합교양연구 Vol.8 No.1

        본 고(稿)에서 다루게 될 중세의 스페인은 잦은 외세의 침략과 충돌이 있었다. 그 과정에서 그들 간의 문화 유입과 흡수도 있었지만 서로 다른 종교 때문에 빚어진 저항으로 인해 새로운 문화의 탄생을 보게 된다. 새로운 문화 예술작품 중에서 이 시기에 창작된 성경에 관한 필사본들, 그중에서도 채색된 삽화는 서유럽의 필사본들과는 달리 양식이나 색상이 도드라져 서유럽의 것과 구별된다. 이슬람이 정복한 지역을 알-안달루스(Al-Andalus)라 하며 스페인 남부에 있는 코르도바는 이슬람 스페인의 수도로서 중세 유럽에서 가장 크고 부유하며 발달된 도시였다. 지중해 무역과 이웃나라 사이의 문화교류가 꽃을 피우고 아랍과 북아프리카의 풍부한 지적 유산들이 코르도바를 통해 유럽으로 전해졌다. 알-안달루스에서 그리스도교인들과 유대인들은 “성지의 사람들”로 불리며 이곳이 비록 이슬람권이었지만 이슬람의 관용정치에 의해 자신들의 종교를 지킬 수 있었다. 무슬림과 유대인 학자들은 서유럽의 고전 그리스 문화를 되살리고 발전시키는데 기여했으며, 이런 활동을 통해 스페인의 로마화 된 문화가 무슬림과 유대문화와 섞여 ‘모사라베 Mozarab’라 불리는 독창적인 문화가 형성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정치적 배경과 함께 이슬람의 집권이 길어지자, 이슬람교와 그리스도교의 갈등이 표면화 되었다. 그들의 갈등은 가톨릭이 우세했던 스페인의 북쪽 지방에서부터 이슬람교에 대항하여 그리스도교에 대한 정체성을 확고히 함과 동시에 자신들이 주장하는 근거를 성경에서 찾았다. 성경 중에서 묵시록을 고대의 교부(敎父)들이 썼던 주해서와 함께 필사하여 그리스도교를 믿어야 하는 필연성을 전하고 있다. 스페인 북부 리에바나 지역의 산 마르틴 데 투리에노(San Martin de Turieno)수도원의 베아투스 수사에 의해 제작된 베아투스 묵시록 주해서가 그 시작이었다. Medieval Spain, which will be covered in this article, was subject to frequent foreign invasion and conflict. In the process, there were also the influx and absorption of cultures between them, but due to the resistance posed by different religions, we see the birth of new cultures. Among the new cultural art works, the manuscripts of the Bible created during this period, especially illuminated manuscripts, are distinct from those of Western European in their style and color. The region conquered by Islam is called Al-Andalus, and Cordoba, in southern Spain, was the capital of Islamic Spain and was the largest, richest and most developed city in medieval Europe. Mediterranean trade and cultural exchanges between neighboring countries blossomed, and the rich intellectual heritage of Arabs and North Africa was brought to Europe through Cordoba. In Al-Andalus, Christians and Jews were called “people of the Holy Land” and, although this place was in the Islamic world, they were able to defend their religion by Islamic tolerance. Muslim and Jewish scholars have contributed to the revitalization and development of classical Greek culture in Western Europe. Through these activities, the Romanized culture of Spain was mixed with Muslim and Jewish cultures, forming a unique culture called ‘Mozarabs’. With the political background of the times and the prolonged Islamic rule, the conflict between Islam and Christianity surfaced. Their conflict, from the northern provinces of Spain where Catholicism prevailed, solidified their identity for Christianity against Islam, and at the same time found their arguments in the Bible. It conveys the necessity to believe in Christianity by transcribing the Apocalypse in the Bible along with the commentary written by the ancient fathers. It started with the Commentary on the Apocalypse, written by a monk Beatus of the monastery of San Martin de Turieno, Liebana, northern Spain.

      • 대학생의 자기 성장을 위한 기질과 성격의 이해

        김수아 ( Kim Sua )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양교육연구센터 2022 융합교양연구 Vol.9 No.1

        대학생 시기는 내외적 역할 변화에 따라 상당한 스트레스를 경험하지만, 성인 초기 발달과업 성취를 위한 성숙의 과정을 통해 진로준비행동과 참자기 형성을 위한 인성함양을 이루는 때이다. 현재의 코로나와 같은 위협과 AI시대를 살아가는 이들을 위해 인간력에 초점하는 전인적 대학교육을 준비하여 바르고 나은 미래세대를 지원하는 목적으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주도적인 자기이해와 적응을 위한 ‘타고남과 성장’의 통합적 고찰을 ‘기질과 성격’을 주제로 논하였다. College students experience significant stress due to changes in internal and external roles. Self-awareness and mental energy are important resources for holistic growth, and in the current corona-like uncertainty and control situation, the lack of experience from the social environment prevents the development of the nervous system and growth in social situations in early adulthood. threatened In particular, if the understanding of inner feelings or self-expression is immature, emotions and behaviors are expressed in an unhealthy way, and the consumption of mental energy to form an identity within the community of the university, develop independence, initiative, and career exploration, etc. becomes a lot In this regard, this study intends to discuss the understanding of individual tempera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ment and personality, and subjective well-being. In addition, the innate self does not grow within a set limit, but considers growing through a process of proactive self-understanding and adap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