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Martin Luther의 聖書飜譯이 新高地獨語의 形成에 미친 影響

        裵秉禧 西江大學校 獨語獨文學會 1977 훼닉스 Vol.- No.3

        16世紀初 獨逸에서는 商業上의 去來나, 官廳間의 連結 및 當時 支配하고 있었던 라틴어의 模範에서 오는 作用과 影響等으로 말미암아 하나의 統一語가 있어야 되겠다는 必要性이 대두하게 되었다. 當時 M. Luther는 言語의 創造者로서가 아니고 獨逸言語史에 있어서 新高地獨語(Nhd.) 文語의 開拓者로서 등장하게 되었다. M. Luther는 當時 開拓者다운 자태는 獨逸言語에 있어서 업적을 評價해 볼 때에 獨逸人의 精神과 獨逸民族의 모서리 기둥으로서 높이 드러나게 되었다. M. Luther는 言語學者는 아니다. 그에게 있어서 言語는 聖書번역을 위한 하나의 방편이었다. 獨逸에는 상당수의 獨逸語聖經이 있었다. 그러나 Straβburg에서 Job. Manthel이 맨 처음 獨逸語完譯聖書를 出版한 以來로 1520年까지 14個의 聖書가 出版되었으며 新高地獨語로 번역된 것은 4個가 있었다. M. Luther의 聖書는 결코 기교없는 단조로운 것이 아니다. M. Luther는 라틴語 수사학의 修學을 통하여 語學能力의 터전을 마련했으며 그것이 바로 M. Luther가 自身이 表現할 수 있는 獨逸聖書로 바꾸어 번역할 수 있는 수단이 된 것이다. 그의 聖書번역의 청신한 개선은 입증이 되고도 남았다. Luther聖經의 페이지마다 意味를 나타내는 것은 Luther以前의 獨逸聖書번역과 比較해 볼 때에 풍부한 言語의 수확이었다. M. Luther의 정서법은 1522年의 9月聖書에서는 처음에는 정말로 不足한 곳이 있었으나 1523年부터는 新高地獨語方向으로 明確한 진전을 보였다. 헤브라이어나 희랍어원전에서 번역해 낸 Luther의 번역술은 分明히 人文主義 方法을 取했으나 전혀 人文主義的인 것만은 아니었다. Martin Luther 言語에 있어서 單語의 形成이나 文章의 構成, 文體, 무엇보다도 Luther 言語의 어휘는 관청어의 世界를 초월하여 넓게 펼쳐 두드러지게 證明해 보여 주었다. M. Luther의 영향력은 統一語로서 뿐만 아니라 文學語, 藝術語로서의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경탄할만한 일은 Luther에 依하여 生動하고, 一般的으로 理解가 잘

      • 훨더린이 「휩페리온」을 通해 본 그의 通一的 世界

        崔姸淑 西江大學校 獨語獨文學會 1977 훼닉스 Vol.- No.3

        훨더린의 敍事드라마 「엠페도클레스」와 마찬가지로 그의 敍情的 편지小說 「휩페리온」을 포함한 그의 모든 作品은 그 時代의 文學的 조류에 전혀 흡수되지 않았다. 또한 浪漫主義的인 것에도, 古典主義的인 것에도 참여하지 않으면서 그의 作品은 이 두 조류를 넘어 自己의 獨特한 形而上學的 神秘主義를 만들어 내었다. 「휩페리온」 小說에서 볼 때 훨더린의 神秘主義는 하나의 時代制限的 問題點에서 나온 것이다. 프랑스大革命 以後 獨逸의 作家와 思想家는 祖國의 狀況에 對해 고민했다. 이러한 時期에 훨더린은 「휩페리온」에서 獨逸作家에게 向한 그의 固有한 요구와, 그러한 보기로서 祖國을 爲한, 훨더린이 제안한 理想國家를 썼다. 이 理想國家를 爲한 훨더린 所望의 原則은 단지 하나로 일치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完全한 一致感을 가지고 모든 民族들, 사람들, 정치적 정체는 自由를 要求하는 것으로 쓰고 있다. 그러나 무엇이 自由인가, 또 이 自由를 可能케 하기 爲하여 무엇이 必要되어 지는가를 볼 때 훨더린에 의하면 우선 그것은 하나의 태도의 요구로서 즉 自然앞에서 경건할 수 있는 요구로서, 가장 必要한 人間的 行動으로 요구하고 있다. 이 點은 루소가 影響을 끼친 쟈코벵당원으로서의 훨더린 思想이었다. 그러나 그의 思想은 出發點부터 理想主義的 存在와 가련한 市民的 生活에서 오는 모순점에 부딪쳐야 했다. 이러한 觀點에서 볼 때 「휩페리온」은 두가지 觀點, 즉 自我와 非自我, 理想과 現實에서 考察되어진 것을 볼 수 있다. 이 두 觀點은 그러나 서로 보완되어 지고 있다. a) 순수한 完全한 人間에서 볼 때 : 여기서는 無限한 完成에로의 동경과 아직도 만족치 못하는 作家的 自我사이의 대조가 있다. b) 行動的 作家로서의 보기로서의 그리이스 나라의 建立과 獨逸에서의 滿足되지 않는 社會 이 滿足되지 않는 狀況에서 오는 悲歌로부터 하나의 우주적이고 一回的이며 半神的 存在인 휩페리온은 이 만족할 수 없는 狀況 以前에 存在했던 理想世界를 一回하기 爲해, 또 神的인 것의 중개자와 民族의 敎育者가 되기 爲한 임무를 갖는다. 따라서 「휩페리온」은 獨逸的 性格이 매우 人工的이라고 꾸짖으며, 自然性이 결여된 人間的 內面的 世界를 그리는 獨逸 교양 小說을 배격하며, Sturm und Drang運動에서도 그들의 마적이고 인간적인 힘의 擴大에 對해 공격하고 있다. 훨더린은 이 小說에서 自然의 人間보다의 上位라는 그의 범신론 사상, 즉 하나의 自然的인 것을 抽出할려고 노력했다. 19C 전환기의 위대하고 문학적이고 일반정신적 시기에서 훨더린은 자기의 그리이스 精神과의 밀접한 연관에서 하나의 독일적 고향을 이끌어 내었다. 이 훨더린이 追求한 獨逸的 고향은 그의 목사적 과제에서 온 것이다. 이 과제는 그의 統一的인 世界 內에서의 自由와 美가 실현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또한 이 과제는 하나의 宗敎的으로 終末論的으로 理解된 미래를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 이 훨더린의 사상, 즉 自然의 人間보다의 上位는 훨더린硏究家들에 의해 그 당시 作家들 中 하나의 固有하고 가장 순수지향적 作家로서 하나의 社會學的 課題로서 硏究되고 있는 것이다.

      • 現代獨逸語의 間接話法에 있어서의 「Modus」硏究

        李翰洪 西江大學校 獨語獨文學會 1977 훼닉스 Vol.- No.3

        現代 獨逸語의 間接話法에 있어서의 「Modus」를 考察해 볼 때, 接續法의 使用이 直說法的 表規樣式으로 代置됨으로써 退潮의 傾向을 보이며 특히 通用語(Umgangsprache)의 間接話法에 있어서는 이러한 傾向이 두드러 진다. 또한 文學語(Dichtungssprache)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傳承되어 온 接續法의 使用이 잘 지켜지지 않고 있으며 間接話法에 대한 文法理論이 그 言語的 實際를 充分히 記述하지 못하거나 規範上의 混動과 不明確한 要素를 內包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本 論文은 共時的 立場에서 첫째, 間接話法과 「Moduswahl」에 關한 旣存의 一般的 文法理論을 綜合하여 여기에 있어서의 問題點을 把握하고 둘째, 戰後 獨逸文學의 主流를 이루고 있는 H. Bo¨ll의 作品을 現代獨逸語의 具體的 對象으로 삼아, 그의 間接話法的 用例를 蒐集하여 分析하였다. 세째, 이의 結果로서 間接話法의 「Moduswahl」에 있어서 다음의 重要한 現象이 發見된다. 卽 間接話法에 있어서 Konjunktiv Ⅰ/Indikativ의 選擇은 文型(Satzmodell) 내지 文章構造(Satzstruktur)에 依하여 크게 支配되고 있다. 어떤 一定한 文型에 있어서는 Konj. Ⅰ의 使用이 間接話法의 Kriterium으로서 必須的으로 要求되는가 하면 다른 一定한 文型에 있어서는 이의 使用이 전혀 隨意的이다. 또한 特定한 文型의 間接話法에 있어서는 Konj. Ⅰ가 그의 眞正한 話法的 價値를 喪失하고 오로지 他者의 言表(Aussage)를 話者 혹은 筆者의 그것과 區分하기 爲한 手段으로 쓰인다. 結論部에서는 이러한 文型과 「Moduswahl」의 相互關係를 中心으로 하여, 「Modus」의 選擇에 關한 文章論的 및 意味論的 觀點의 結論을 試圖해 보았다. 끝으로 특히 間接話法에 나타나는 直說法的 從屬文을 하나의 例外事項으로 돌리는 規範的 文法理論書들의 主張은 修正을 要할 것 같으며 그들은 現代獨逸語의 實際的 言語現象에 步調를 맞추기 爲하여서는 좀더 言語實際(Sprachwirklichkeit)에 가깝고 이에 適合한 規範의 設定을 爲해 努力해야 할 것임을 强調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