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두식이가 흰쥐의 혈청 Thyronine에 미치는 영향

        조숙자 西原大學 基礎科學硏究所 1990 基礎科學硏究論叢 Vol.3 No.-

        대두식이가 흰쥐의 혈청 thyronine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기 위하여 Sprague Dawley계 흰쥐 35마리 (암쥐 : 25, 숫쥐 : 10)를 7군으로 난괴법에 따라 나누어 8주간 실험하였다. 실험 대두가공식이 중 볶은 대두분말 식이의 식이효율이 제일 높았으며(0.17) 이것은 혈청 thyronine과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대두가공식이는 혈청 triiodothyronine과 tetraiodothyronine의 양을 저하시켰으며 특히 생대두 식이에서 (120∼130±22.6∼30.3 ng/dl, 2.8±0.06∼0.2㎍/dl) 낮았다. 혈청 tetraiodothyronine의 양과 triiodothyronine uptake 비율과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기본식이를 제외한 전 실험 식이군의 혈청 thyroid stimulating hormone의 양은 정상수준의 2배가 넘었으나 T₄의 양은 정상수준의 63.6% 정도 밖에 되지 않았으므로 대두중의 어떤 성분이 triiodothyronine에서 tetraiodothyronine으로 합성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대두중의 thyronine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은 수용성 성분이며 열처리로서 그 활성을 다소 줄일수는 있었으나 완전하지는 않았다.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tudy how to the soybean product can effect the serum thyronine in rat. For this experiment, 35 Sprague Dawley rats, which were divided into 7 groups, were used for 8 weeks. The soybean diets reduced the serum triiodothyronine (T₃) and tetraiodo-thyronine (T₄) ; the raw soybean diet reduced the serum T₄(2.8±0.2㎍/dl) remarkably and showed T₃uptake has correlation with the serum T₄. Since, among the 7 diets, the quantity of thyroid stimulating hormone in 6 soybean diets has been doubled as contrasted with basal diet which has remained at the normal level whereas only 63.4% T₄has been found in 6 soybean diets as compared with the basal diet. It is argued that a certain component of the soybean product appears to have influence on the trapping and coupling from T₃to T₄. Also the soybean component which can affect the serum thyronine is water soluble and may reduce the activity to thyronine by heating although not completely.

      • Factorizations of Finite Groups

        Park,Ki Yang 西原大學 基礎科學硏究所 1989 基礎科學硏究論叢 Vol.2 No.-

        군 G=AB가 자신의 두 부분군 A,B의 곱으로 표현되면 군 G는 A,B로 분해된다고 말한다. 군의분해에서 중요한 문제는 부분군 A,B군의 구조가 알려졌을때 군 G도 같은 구조를 갖는가 하는 문제이다. 군의분해는 쉽게 G=AB=AK=BK, K는 군 G의 정규부분군으로 3쌍분해로 고쳐서 생각할 수 있다. 정리1. £가 유한군들의 Saturated formation이고, G=AB=AK=BK, K는 군 G의 정규부분군이라 하자. 만약 A,B가 £에 속하고, K가 nilpotent이면, 군 G도 £에 속한다. 위 정리는 B.Amberg가 1998년 부산에서 있었던 "Groups korea"에서 언급한 사항이다. 여기서는 몇개의 보조정리를 증명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정리1를 다른방법으로 증명하고자 한다.

      • 우리나라 쌀의 品種別 無機質 含量

        韓良一 西原大學 基礎科學硏究所 1989 基礎科學硏究論叢 Vol.2 No.-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쌀 중에서 일반계 쌀 34종과 다수확계 쌀 25종, 모두 59종의 無機質 含量을 玄米와 白米로 구분하여 分析하였다. 各種 無機質 含量의 平均値는 玄米 100g당 Ca 14.22㎎, P 316.20㎎, Mg 115.08㎎, K 246.61㎎, Fe 3.00㎎, Cu 0.50㎎, Mn 3.33㎎, Zn 2.64㎎이며, 白米 100g당 Ca 7.18㎎, P 149.71㎎, Mg 42.71㎎, K 111.53㎎, Fe 0.95㎎, Cu 0.65㎎, Mn 1.21㎎, Zn 1.50㎎으로서, 전체적으로 볼 때, 일반계와 다수확계 간에는 큰 差異가 없었으나 玄米에 含有된 無機質量에 比해 Cu를 제외하고는 白米에 含有된 量이 절반 정도였다. The basic and analytical study of mineral content of Korean rices ; 34 traditional and 25 high-yielding rices. The average mineral content of brown rice per 100g were Ca 14.22㎎, P 316.20㎎, Mg 115.08㎎, K 246.61㎎, Fe 3.00㎎, Cu 0.50㎎, Mn 3.33㎎, Zn 2.64㎎ and white-milled rice were Ca 7.18㎎, P 149.71㎎, Mg 42.71㎎, K 111.53㎎, Fe 0.95㎎, Cu 0.65㎎, Mn 1.21㎎, Zn 1.50㎎.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ineral content were found between 59 rice varieties. But mineral content of white-milled rices were half than brown rices exept Cu.

      • 小白山 管束 植物相

        李喜銑 西原大學 基礎科學硏究所 1989 基礎科學硏究論叢 Vol.2 No.-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on Mt. Sobaek was investigated during April to September 1988. In this survey trip, 3 phylla, 92 families, 321 genera, 494 species, 80 varieties, 4 formae and 2 subspecies of the vascular plants were collected and identified. Leading families were Compositae (11.4%), Gramineae (8.1%), Rosaceae(4.8%) and Leguminosae (4.5%).

      • Note on the 3-Dimensional Complex Algebras

        Park,Ki Yang 西原大學 基礎科學硏究所 1989 基礎科學硏究論叢 Vol.2 No.-

        이 논문은 3차원 복소수 대수의 분류에 관한 것으로, 표현 f : A → Hamc(A,A)=End?(A)?Mat(n,?)을 이용하여 n×n차원 대수를 얻었다. 그리고 Mat(3,?)와 Mat(2,?)에서 3차원 부분대수를 구하였다. 1-1 대응을 이용하여 표1과 같은 분류를 얻었다. 그 결과로 4개외 가환대수와 3개의 비가환대수가 있음을 알았다. 이중에는 5개외 banach대수가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