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Establishing the Rules of Engagement

        Paul S. Cha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2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17 No.1

        이 논문은 개항기 치외법권과 불평등조약관한 문제를 재고찰하는 것이다. 이 두 용어는 조선정부와 선교사와 같은 외국인 사이의 강압과 분리의 이미지를 상기시킨다. 강압이 있었음을 부정하지 않지만, 이 논문은 개항기 미국 선교사, 미국 공사, 조선정부가 그들의 관계를 규정하기 위해 어떻게 경합했는지를 보여주는 것에 초점을 둔다. 19세기 후반에 조선에 들어온 상인들, 무역업자들과 달리, 선교사들은 조선에 정착하려고 했다. 이들은 지방 곳곳을 다니며 복잡한 관계망을 만들고 지방공동체의 일부로 완전히 편입되었다. 더욱이 선교사들은 조선정부에서 19세기 초부터 금지한 종교마저 전파시키려했다. 이런 이유로 선교사들은 종종 지방관료와 충돌에 휘말리고 이런 마찰은 종종 불평등조약과 치외법권 문제와도 연루되었다. 일반적 견해는 종교적 자유의 부재에 대해 불평하는 선교사들은 치외법권과 불평등조약을 통해 미국 공사가 조선정부로부터 선교할 수 있는 권리를 획득할 수 있도록 요구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해석은 미국 선교사, 미국 공사, 조선정부의 복잡한 관계를 단순화 한 것이다. 첫째, 미국 선교사와 미국공사가 비슷한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었지만, 그들은 그들 각자 별개의 목적을 가지고 있는 두 집단이었다. 미국 공사의 개입을 설득하기 위해 선교사는 애매한 종교적 자유에 대한 관념이 아닌 구체적인 법률을 근거로 제시해야 했다. 치외법권과 불평등조약은 선교사와 조선정부의 갈등을 미국 공사가 중재할 수 있는 중요한 근거가 되었다. 또한 조선정부에게 “문명화” 되고 “근대화”된 정부가 어떻게 운영되는지 가르쳐 주는 역할을 담당 할 수 있었다. 이런 방식으로 치외법권과 불평등조약은 선교사와 조선을 단순히 분리시키는 것이 아니라, 이 조선과 선교사과 같은 외국인 사이의 활동수칙을 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 역동적인 과정을 논증하기 위해 평양기독교 박해사건(1894)과 대구사건(1900)을 다룰 것이다. 이 두 사건은 선교사들이 개항장 이외의 지역에 거주할 수 있는 권리를 획득하는 것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두 사건에 대한 기존의 해석은 조선인들에게 기독교가 얼마나 영향력이 있었는지 보여주는 사건이며, 이로 하여 1984년 이후 평양에서 많은 사람들이 개종하는 주된 이유라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이 논문은 이 두 사건이 단순히 기독교의 영향력을 보여주는 것이 아님을 설명하는 것이다. 선교사들과 조선정부의 경합은 그들의 관계가 어떤 형식으로 가야하는지를 규정하기 위한 투쟁을 보여주는 것이다. 경합이라는 말이 제시하듯 이 논문은 선교사와 미국 공사가 그렇게 강한 권력은 가지고 있지 않았을 뿐더러 조선 정부가 흔히 생각하듯 약하지 않았다는 것을 증명할 것이다. This article revisits the issues of extraterritoriality and unequal treaties during the “open ports” period. These two concepts typically conjure images of coercion and of separation between the Chos?n government and foreigners like missionaries. While not denying the existence of coercion, this article directs focus to how American Protestant missionaries, the U.S. legation, and the Chos?n state engaged in a contest to define the terms of their relationships during the “open ports” period. To begin with, missionaries were unlike most other groups of foreigners coming to the country during the late nineteenth century. Unlike merchants and traders, missionaries aimed to settle down in Chos?n Korea as many spent years if not decades in the country. They traversed the countryside, created complex networks of relations, and became integral parts of many local communities. Furthermore, missionaries specifically attempted to spread a religion that the Chos?n government had banned since the start of the nineteenth century. For these reasons, missionaries often became embroiled in conflicts with local officials and these conflicts often involved unequal treaties and extraterritoriality. The conventional wisdom holds that missionaries, disgruntled over the lack of religious freedom, called on unequal treaties and extraterritoriality to have the U.S. legation intercede on their behalf to win from the Chos?n state the right to proselytize. This interpretation, however, simplifies a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American missionaries, the U.S. legation, and the Chos?n state. First, while they may have shared some common interests, missionaries and U.S. officials represented two distinct groups possessing two distinct sets of objectives. To convince the U.S. legation to intercede on their behalf, missionaries needed to base their claims on specific laws rather than abstract notions of religious freedom. Secondly, the significance of unequal treaties and extraterritoriality was that they allowed the U.S. legation to play a role in mediating disputes between missionaries and the Chos?n government and “teaching” the latter how a “civilized” and “modern” government operated. In this manner, rather than simple separation, extraterritoriality and unequal treati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rules of engagement between foreigners like missionaries and the Chos?n state. To demonstrate this process and dynamic, this article examines two disputes: the P’y?ngyang Persecution (1894) and the Taegu Incident (1900). Taken together, these two disput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ecuring the “right” of missionaries to reside outside of treaty ports. The conventional interpretations of these two events has been that they proved the power of Christianity to the Korean populace and was one major reason why so many in the P’y?ngyang area converted after 1894. This article demonstrates, in contrast, that the significance of the P’y?ngyang Persecution and the Taegu Incident extends beyond the issue of demonstrating the power of Christianity. These contests between missionaries and the Korean state represented a struggle to define the grounds on which their relationships would proceed. As the term “contest” suggests, this article will demonstrate that missionaries and the U.S. legation were not as powerful nor the Chos?n government as weak as is commonly believed.

      • KCI등재
      • AHCI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