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iachronic Analysis of the Accusative Marker in Korean Language

        Olivier Bailblé 중동유럽한국학회 2016 중동유럽한국학회지 Vol.16 No.-

        한반도는 역사적으로 여러 침략을 경험했다. 그 중 첫 번째는 중국에 의한 것으로, 한족이 BC 108 에서 AD 313 년까지 400년 넘게 지속된 4개의 군사 본부를 만들었을 때이다. 이 시기가 바로 한국인들이 한자를 쓰는 것에 익숙해진 때이다. 공식적으로는 한국 역사에서 유리왕의 시를 한국문학의 시작으로 표시한다. 하지만, 우리 연구는 진정 한국문학의 초석이라고 할 수 있는 광개토대왕의 비석으로 시작한다. 엄격하게는 이 비석에는 어떠한 대격 형태도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우리는 향찰, 이두, 궁극적으로는 신라말의 구결과 같은 쓰기체계가 나타나는 6세기까지 지켜봐야 한다. 2000년 세상을 놀라게 했던 고바야시요시노리의 운문제로 된 고려시대 불교 경전의 발견은 문법표지의 새로운 재현형태들을 명확하게 밝혔다. 거의 1500년동안 한자의 형태로 대신했던 대격은 특히 15세기의 한글 창제를 포함해서 여러 주요 변화들을 겪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통시적 관점에서 대격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다양하고 복잡한 과정을 거치는, 한자의 도입부터 현대 한국어에서 한자의 소실까지 한글에서의 모든 대격 표지의 변화를 보여주는 것이다. The Korean peninsula has experienced several invasions through its history. The first of these came from China, as the HAn established four military command posts that lasted for more than 400 years, from B.C.108 to A.D. 313. It was during this period that the Koreans became familiar to the use of Chinese writing. Officially, Korean history records that the poems written by King Yuri mark the beginning of Korean literature1. However, it is with the stele of Kwanggaet’o (built in 414) that we begin our study, since it really does constitute the foundation stone of Korean literature. This slab does not have, strictly speaking, any accusative forms. For that, we have to wait until the Sixth century and the advent of several writing systems like the Hyangch’al, the Idu and eventually the Kugy"&"#335;l at the end of Silla. The sensational discovery in 2000 by Kobayashi Yoshinori of Kory"&"#335;-era Buddhist sutras with stylus-induced interpretive rhymed formulas has clearly revealed new forms of representations of the grammatical markers. Represented in the form of Chinese characters for nearly fifteen hundred years, the accusative forms underwent several significant changes, particularly with the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 in the Fifteenth centu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the evolution of all the accusative markers in Korean, from the introduction of Chinese writing to its disappearance in contemporary Korean, passing through multiple and very complex processes that have been put in place to express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