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모형식품의 열전도도에 관한 연구

        장규섭,전재근,윤한교,Chang, Kyu-Seob,Chun, Jae-Kun,Yoon, Han-Kyo 한국식품과학회 198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17 No.6

        일반적인 전분, 단백질, 수분 등으로 구성된 한국식품과 유사하도록 수분, 단백질, 전분의 세가지 성분을 조합하여 만든 모형식품의 열전도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들 조성과 열전도도와의 관계를 구명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즉, 모형식품의 열전도도와 구성분과의 관계를 분석 한 결과, 수분함량, 단백질 및 전분함량과 밀접한 관계를 보였으며, 이들 성분간의 교호작용은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열전도도는 수분함량에 비례하였고, 동일 수분함량에서는 전분질식품이 단백질 식품보다 낮았다. 모형식품에서 열전도도와 수분함량, 단백질 및 전분함량과의 관계식은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k_20=0.00421M+0.03152P+0.05181$ 윗 식에 의한 계산치와 측정치간의 상관계수는 $r=0.8418^{\ast}{\ast}$로 고도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The model foods similar to Korean typical foods were propared by combining moisture, protein and starch, and their thermal conductivities were investigated. Thermal conductivity of the model foods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food components such as moisture, protein and starch conten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hermal conductivity and food components was not found. Thermal conductivity was proportionally increased as the moisture content increased, and thermal conductivity of starch food was lower than that of protein foods under the same level of moisture content of the model foods. The regression equation between thermal condutivity of the model foods. The regression equation between thermal conductivity of the model foods and moisture, protein and starch content at $20^{\circ}C$ was as follows; k = 0.00421M + 0.03152P + 0.05181.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calculated by above equation and measured values showed highly significant ($r=0.8418^{\ast}{\ast}$).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가압취반시(加壓炊飯時) 미반(米飯)의 물성변화(物性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김동우,장규섭,Kim, Dong Woo,Chang, Kyu Seob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1981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8 No.1

        본(本) 연구(硏究)는 가압(加壓)솥에 의(依)한 취반시(炊飯時) 미반(米飯)의 물리적(物理的) 성상변화(性狀變化)를 조사(調査) 검토(檢討)하여 최적(最適) 취반조건(炊飯條件)을 구명(究明)함으로서, 효율적(效率的)이고 합리적(合理的)인 대량(大量) 취반방법(炊飯方法)을 개발(開發)하는데 필요(必要)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확립(確立)하는데 있으며, 시료(試料)는 국내(國內)에서 재배(栽培)되고 있는 대표적(代表的) 품종(品種)인 Japonica 계통(係統)의 밀양15호와 Indica 계통(係統)의 밀양23호를 7 분도(分搗) 및 9 분도(分搗)로 각각(各各) 조제(調製)한 것을 사용(使用)하였으며, 실험결과(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l. 일반(一般) 가정(家庭)에서의 취반미(炊飯米)의 평균(平均) 수분함량(水分含量)은 상압(常壓)솥으로 한것은 65.17%, 가압(加壓)솥으로한 것은 64.52%였다. 2. 쌀의 수화력(水化力)은 밀양23호가 밀양15호 보다 평균(平均) 4.5% 더 높았으며, 밀양23호의 최대흡수량(最大吸收量)은 29.14%였다. 3. 쌀의 팽장용적(膨腸容積)은 흡수력(吸收力), 가열온도(加熱溫度) 및 시간(時間)에 따라 비례(比例)하여 변화(變化)하였고, 최대팽장용적(最大膨腸容積)은 원료(原料)에 대(對)하여 평균(平均) 3.2배(倍)였다. 4. 품종별(品種別) 미반(米飯)의 호화도(糊化度)는 가수율(加水率), 가열시간(加熱時間), 가열온도(加熱溫度)에 따라 크게 영향(影響)을 받았으며 최적조건(最適條件) (가수율(加水率) 160%, 취반압력(炊飯壓力) $0.2kg/cm^2$, 취반시간(炊飯時間) 25분(分))에서 호화도(糊化度)는 밀양23호 9분도미(分搗米)가 0.44였으며 밀양15호 9분도미(分搗米)는 0.64였다. 5. 미반(米飯)의 경도(硬度)는 가수율(加水率), 가열온도(加熱溫度), 가열시간(加熱時間)에 따라 감소(感少)하였으며, 최적조건(最適條件)에서 취반(炊飯)한 밀양23호 및 밀양15호 9분도미(分搗米)의 경도(硬度)는 각각(各各) 2.35kg/wt, 2.0kg/wt였다. 또한 동일(同一) 경도(硬度)를 유지(維持)하려면 밀양23호는 평균(平均) 25%의 가수량(加水量)이 더 필요(必要)하였다. 6. 탄력성(彈力性)은 가수율(加水率), 가열온도(加熱溫度), 가열시간(加熱時間)에 따라 비례(比例)하여 변하(變)였고, 최적조건(最適條件)에서 밀양23호 및 밀양 15호 9분도미(分搗米)의 탄력성(彈力性)은 각각(各各) 15.7mm 및 19.2mm였다. 7. gumminess는 가수량(加水量), 가열온도(加熱溫度), 가열시간(加熱時間)에 따라 감소(減少)하였으며, 최적조건(最適條件)에서 밀양23호 9분도미(分搗米)가 60이었고, 밀양15호 9분도미(分搗米)는 73 이었다. 8. 압력별(壓力別) 최적취반(最適炊飯) 소요시간(所要時間)은 가수율(加水率) 160%에서 밀양15호 9분도미(分搗米)는 $0.2kg/cm^2$에서 25분(分), $0.4kg/cm^2$에서 20분(分), $0.6kg/cm^2$에서 15분(分), $0.8kg/cm^2$에 서 10분(分)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to develop the effective and desirable cooking method on large scale for investigat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s and studying optimum cooking conditions by pressure in kettle cooking rices. Milyang-15, local Japonica type and Milyang-23, high yielding Indica type major varieties cultivated in Korea were used as cooking sample after polishing 70% and 90% respectively, and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verage moisture content of cooked rice by open kettle and pressure kettle method in typical households were 65.17% and 64.52%, respectively. 2. In water absorption capacity of rice grain Milyang-23 was 4.5% higher than Milyang-15, and maximum water content after absorption in Milyang-23 was 29.14%. 3. The expansion volume of cooked rice was changed proportionally by water absorption, heating temperature and time, and maximum expansion volume of cooked rice was 3.2 times greater than rice grain. 4. The gelatinization degree of cooked rice intensively concerning in hardness of rice grain was increased as water-to-rice ratio, heating temperature and time increased, and it was 0.44 in Milyang-23 and 0.64 in Milyang-15 under the optimum cooking conditions as 160% water-to-rice ratio, $0.2kg/cm^2$ cooking pressure and 25 minutes cooking time. 5. The hardness of cooked rice was decreased as water-to-rice ratio, heating temperature and time increased, and it showed 2.35kg/wt in 90% polished Milyang-23 and 2.0kg/wt in 90 polished Milyang-15 under optimum cooking conditions. For maintaining the same level of hardness of cooking rice Milyang-23 required 25% much more water than Milyang-15. 6. The elasticity of cooked rice was changed proportionally by water-to-rice ratio, heating temperature and time, and it appeared 19.2mm and 15.7mm in 90% polished Milyang-15 and Milyang-23 respectively. 7. The gumminess of cooked rice was decreased as water-to-rice ratio, heating temperature and time increased, and it showed 60 and 73 in 90% polished Milyang-23 and Milyang-15, respectively. 8. The optimum cooking time on differerent pressure in kettle took 25 minutes at $0.2kg/cm^2$, 20 minutes at $0.4kg/cm^2$, 15 minutes at $0.6kg/cm^2$, and 10 minutes at $0.8kg/cm^2$.

      • SCIESCOPUSKCI등재

        분쇄방법에 따른 고려홍삼분말의 품질특성

        서창훈(Chang-Hoon Seo),이종원(Jong-Won Lee),도재호(Jae-Ho Do),장규섭(Kyu-Seob Chang) 고려인삼학회 2002 Journal of Ginseng Research Vol.26 No.2

        홍삼 분쇄의 신 가공 기술로서 비충격(非衝擊) 분쇄방식인cell cracker의 공장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홍삼분말의 품질고급화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기존의 hammer mill(충격분쇄방식)과 cell cracker에 의한 분쇄방식으로 홍삼분말을 제조한 후 색도, 밀도 및 관능적 특성을 비교 조사한 결과를<br/> 요약하면 홍삼분말의 색도는 cell cracker로 분쇄한 홍삼분말의 경우 색의 밝기를 나타내는 L값은 68.18로 hammer mill로 분쇄한 홍삼분말 72.08 보다 낮았으나 a(적색도) 와 b(황색도)값은 각각 4.21과 5.73, 26.56과 28.36으로 높게 나타났다. 물 추출물의 색도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두 가지 시료<br/> 모두 흡광도가 증가하였으며 전반적으로 hammer mill로 분쇄한 홍삼분말이 cell cracker로 분쇄한 홍삼분말보다 흡광도가 높게 나타났다. 밀도는 분말의 유동성 특성을 나타내는 이완겉보기밀도, 충<br/> 격겉보기밀도, 체적감소율은 hammer mill로 분쇄한 홍삼분말보다 cell cracker로 분쇄한 홍삼분말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미끄럼각은 쌓임각 보다 낮았으며 이 두 가지 모두 hammer mill로 분쇄한 홍삼분말보다 cell cracker로 분쇄한 홍삼분말이 낮게 나타났다. 관능검사결과 촉감에 있어서는 두 시료간<br/> 에유의차가없는것으로나타났지만, 홍삼분말제품의 품질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색도는 cell cracker가좋게평가되었으며, 전체적인 선호도에 있어서도 좋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볼 때 홍삼분말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요소로서 분쇄방법이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홍삼분말의 제조에는 분쇄기 선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특히 색깔 등 관능적 품질이 강조되는 홍삼분말 제품을 제조할 경우는 기존 충격식 분쇄보다 비충격식 분쇄시스템을 적용하는 것이 품질향상 효과가 클 것으로 생각된다. In this study, cell cracker method as a non-collision method was evaluated for the possibility in manufacturing red ginseng powder. In color value of red ginseng powder, the L values indicating brightness were 68.18 for hammer mill(group A) and 72.08 for cell cracker (group B). The a values (redness) and b values (yellowness) were 4.21, 26.56 for group A and 5.73, 28.36 for group B, respectively. As an extraction time increased, the absorbances at 420 nm of water extract of both groups were increased. In the loose bulk density, tapped bulk density and volume reduction ratio indication the of powder in group A were less than those in group B. In both groups, the angles of side of red ginseng powder were shown less value than the angles of side of the powder. These two angles in group A were less than those in group B. In sensory evaluation, the touchness between both groups was not observ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rary, the color and flavor, main factors affecting the overall quality of red ginseng powder product of group B were shown superior to those of group A. The overall preference of group B was shown higher than that of group A.<br/> Key words : Red ginseng, Pulverizing methods, Density, Color, Sensory evaluation

      • KCI등재

        농산물(農産物) 건조(乾燥) 및 저장(貯藏)을 위(爲)한 태양열(太陽熱) 저장고(貯藏庫)의 개발(開發)에 관(關)한 연구(硏究)

        김만수,장규섭,김성래,전병선,Kim, Man Soo,Chang, Kyu Seob,Kim, Soung Rai,Jeon, Byeong Seon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1982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9 No.1

        태양열(太陽熱)을 이용(利用)한 곡물(穀物)의 건조(乾燥)와 저장(貯藏)을 겸할 수 있는 농가용(農家用) 태양열(太陽熱) 저장고(貯藏庫)의 개발(開發)에 필요(必要)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기 위(爲)하여 구조(構造)가 간단(簡單)하고 가격(價格)이 저렴한 콘크리트 벽체의 저장고(貯藏庫)와 그 지붕을 대신(代身)한 태양열집열기(太陽熱集熱器)를 설계(設計) 제작(製作)하여 집열기(集熱器)의 성능(性能)을 실험(實驗)에 의(依)하여 구(求)하였으며 집열기(集熱器)에서 가열(加熱)된 공기(空氣)와 상온통풍(常溫通風)에 의(依)한 벼의 건조특성(乾操特性)을 비교(比較) 분석(分析)하였다. 건조(乾操)된 곡물(穀物)의 저장시(貯藏時)에 그 온도(溫度)를 예측(豫測)할 수 있는 simulation model을 개발(開發)하여 그 적합성(適合性)을 검정(檢定)하고 저장곡물(貯藏殺物)의 각(各) 부위(部位)에 대(對)한 온도(溫度)의 변화(變化)를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들을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본(本) 실험(實驗)에 설계(設計) 제작(製作)된 태양열집열기(太陽熱集熱器)의 효율(效率)은 평균(平均) 26%였으며 총열전달계수(總熱傳達係數)는 약(約) $25kJ/hr.m^2\;^{\circ}K$였다. 2. 태양열(太陽熱)을 이용(利用)한 건조(乾燥)에서는 공시(供試)벼의 함수율(含水率) 23.5%에서 15.0%까지 건조(乾燥)시키는데 7일(日)이 소요(所要)되었으며 상온통풍건조(常溫通風乾燥)에서는 함수율(含水率) 20.0%에서 15.5%까지 건조(乾燥)시키는데 12일(日)이 소요(所要)되었다. 3. 건조소요시간(乾燥所要時間)은 태양열(太陽熱)을 이용(利用)한 건조(乾燥)가 배(倍) 정도(程度) 빠르나 하층부(下層部)의 곡물(穀物)의 과건현상(過乾現象)의 방지책(防止策)이 철저히 구명(究明)되어야 할 것이다. 4. 저장곡물(貯藏殺物)의 온도(溫度)를 예측(豫測)할 수 있는 simulation model을 finite difference method에 의(依)해 개발(開發)하였으며 검정(檢定) 결과(結果) 실측치(實測値)와 잘 일치(一致)되었다. 5. 저장곡물(貯藏殺物)의 온도(溫度) 변화(變化)는 벽체와 접촉(接觸)하고 있는 부위(部位)에서 컸으며 곡물(穀物)의 손상(損傷)도 이곳에서 심(甚)할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Recent concern regarding price and availability of fossil fuels has spurred the interest in alternative sources for farm crop drying. Among the available options such as biomass energy, wind power, nuclear energy and solar energy etc., the increasing attention is being directed to the utilization of heat from solar energy especially for farm crop drying. Even though solar energy is dispersed over a large land area and only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energy can be simply collected, the advantages of solar energy is that the energy is free, non-polluting. The study reported here was designed to help supply the inform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imple and relatively inexpensive solar warehouse for farm crop drying and storage. Specificall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performance of the solar collector fabricated, to compare solar supplemented heat drying with natural air drying and to develop a simulation model of temperature in stored grain, which can be used to study the effects due to changes in ambient air temperature. For those above objectives, solar collector was fabricated from available materials. Corrugated steel galvanized sheet, painted flat black, was used as absorbers and clear 0.2mm polyethylene sheet was the cover material. The warehouse for rough rice drying and storage was constructed with concrete block, and the solar collector was used as the roof of warehouse instead of original roofing system of it.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solar collector was average 26 percent and the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the collector was approximately $25kJ/hr.m^2\;^{\circ}K$. 2. Solar heated air was sufficient to dry one cubic meter of rough rice from 23.5 to 15.0 percent in 7 days and natural air was able to dry the same amount of rough rice from 20.0 to 5 percent in l2 days. 3. Drying with solar heat reduced the required drying time to dry the same amount of rough rice into a half compared to natural air drying, but overdrying problems of the bottom layer were so severe that these problems should be thoroughly analyzed. 4. Simulation model of temperature in stored grain was developed and the results of predicted temperature agreed well with test results. 5. Based on those simulated temperature, changes in the grain-temperature were a large at the points of the wallside and the damage of the grain would be severe at the contact area of wall.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