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Hole Injection Enhancement by a WO<sub>3</sub> Interlayer in Invert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and Their Interfacial Electronic Structures

        Kim, Yoon Hak,Kwon, Soonnam,Lee, Jong Hoon,Park, Soon Mi,Lee, Young Mi,Kim, Jeong Won American Chemical Society 2011 The Journal of Physical Chemistry Part C Vol.115 No.14

        <P>The interfacial energy level alignment of hole injection layers with WO<SUB>3</SUB> insertion in an invert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structure and its influence on electroluminescence have been studied using in situ X-ray, ultraviolet photoelectron spectroscopy, and device measurements. The hole injection barrier for <I>N</I>,<I>N′</I>-bis(1-naphthyl)-<I>N</I>,<I>N′</I>-diphenyl-1,1′-biphenyl-4,4′-diamine (NPB) upon Al deposition was estimated to be 1.37 eV, which makes an Al anode unfavorable for hole injection. With a thin WO<SUB>3</SUB> layer deposited onto the NPB, the NPB 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HOMO) level bends dramatically to 0.15 eV below the Fermi level. This NPB HOMO level and WO<SUB>3</SUB> conduction band close to the Fermi level form a charge generation layer without an interfacial chemical reaction. This is why the WO<SUB>3</SUB> interlayer dramatically helps charge injection even with a low work-function Al metal anode. Indeed, the electroluminescence and current efficiency from this structural device were greatly enhanced by 3 orders of magnitude compared with that without a WO<SUB>3</SUB> interlayer.</P><P><B>Graphic Abstract</B> <IMG SRC='http://pubs.acs.org/appl/literatum/publisher/achs/journals/content/jpccck/2011/jpccck.2011.115.issue-14/jp111128k/production/images/medium/jp-2010-11128k_0007.gif'></P><P><A href='http://pubs.acs.org/doi/suppl/10.1021/jp111128k'>ACS Electronic Supporting Info</A></P>

      • KCI등재

        과정 중심 평가 개념 분석 및 적용 방안 탐색

        김순남 ( Kim Soonna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5

        이 연구는 2015개정교육과정에서 도입된 과정 중심 평가의 개념을 명확히 제시하고 과정 중심 평가의 핵심 요소를 도출하여 적용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내용으로는 과정 중심 평가의 도입 과정 및 과정 중심 평가의 개념 분석, 현 과정 중심 평가 개념 문제점 분석, 과정 중심 평가 개념의 핵심 요소 정립 및 적용 방안 제안 등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주로 문헌고찰과 현장 방문을 통한 교원 면담 등으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를 통해 과정 중심 평가와 수행평가 및 형성평가를 차별화하고 과정 중심 평가의 핵심 개념 요소를 설정하였다. 과정 중심 평가 개념의 핵심 요소는 학생의 학습 과정을 직접 평가, 수업 내 평가로서 수업에서 학생 활동을 포함한 수업 모델과 연계한 평가, 학생의 학습 성장 정도를 알 수 있는 평가로 설정하였다. 나아가 과정 중심 평가를 현장에 적용하는 방안으로 과정과 결과의 연속선상 적용 방안, 학생 학습 과정, 수업, 평가 연계 방안, 4세대 평가방법 통합적 평가 방안, 과정 중심 평가 지원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is to define and clarify the concept of the “Process-based Assessment” which was applying to Korean schools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reviews the introduction background and overall analysis of the 2015 Curriculum, preceding research analysis of the process-based assessment, and core element and application proposal of the assessment. The process-based assessment has the following three core elements. In detail, the assessment has to consider the process of student learning. Second, the process of student learning should be tested by class situation, Third, the process should provide the growth process of student learning. Lastly I propose the application of this evaluation : continuous application method of process and result, connecting method of student learning process, instruction, evaluation, a new extension assessment model, the integral method which combines the entire previous four generation evaluation model, support system for the growth of teacher professionalism and work reduction of teacher.

      • KCI등재

        창의경영학교 개념 구조 탐색

        김순남(Kim, Soonnam),이병환(Lee, Byunghwa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2 열린교육연구 Vol.20 No.4

        이 연구는 창의경영학교의 개념 구조를 분석하여 국가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는 사업에 대한 이해와 방향 정립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창의경영학교의 구체적인 정책 방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이 새로운 정책 추진과정에서 함의하고 있는 바를 국내의 사례를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창의경영학교의 지향점을 크게 창의•인성과 자율경영의 영역으로 나누고 실제 운영되고 있는 창의경영학교의 모델을 중심으로 그 사례를 분석하였다. 학교교육 활동과 학교 구성원의 역할과 기능으로 나누어 제시한 창의경영학교 개념 구조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인성 학교모형에서는 참여적이고 민주적인 의사결정과 관계 및 위임지향 리더십을 강조하였고, 자율경영 평가모형은 비전 및 목표의 수립과 공유를 강조하는 변혁적 리더십과 수업지도성을 강조하였다. 둘째, 교사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서 창의•인성 학교모형은 학습공동체 및 전문성과 상호신뢰를 강조하였고, 자율경영 학교모형은 참여적 의사결정, 학습조직 활성화 및 연구하는 교사를 강조하였다. 자율경영 학교모형은 목표지향적 수업,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학습조직활성화 등을 강조하였다. 셋째, 학생 및 학부모에 대해서는 창의•인성 및 자율경영 모형들 모두 학생에 대해서는 학생 자치활동 및 학교에 대한 소속감과 능동적인 학습 참여를 강조하였고, 학부모에 대해서는 학교교육 및 운영에 대한 의사결정 참여 및 학교 운영 지원 및 협조를 강조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oncepts models of Creative School. Its ultimate goal is to contribute to the effective school management by providing local schools with proper aspect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based on respective school management type. With this theme, this study cover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reative school and the model analysis of creative school management. Ultimately, the researchers exerted to provide management strategy to improve creative school management by developing proper school management model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presented as follows: At first, this study review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historical trajectories of creative school management. It pursues to explain the necessity and unique aspects of creative school from the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describe the historical trajectories through the previous Korean education policy. Secondly, this study developed the management models to operate creative school. Also, as an operational model, educational process was divided with five categories, 'participating curriculum', 'collaborative class', 'harmonious after-school activity', and 'interesting creativity activity'. Thirdly, the efforts from five agents, school principals, teachers, parents, community, and students were emphasized necessarily important to improve creative school management.

      • KCI등재

        행복학교의 학생 행복도 분석

        김순남 ( Kim Soonnam ),이병환 ( Lee Byunghwa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2

        이 연구는 행복학교와 일반학교 학생의 행복도 인식 수준을 비교하고 행복학교의 특징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모든 학생들이 더 왕성하게 행복을 체감할 수 있는 학교의 모습을 상정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학생들의 행복도 인식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광역시교육청관내 행복학교로 지정되어 운영되는 초등학교 12개교 289명의 학생과 일반학교 1,107명 학생의 행복도 4개의 하위요인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행복도에 대한 인식의 수준이 행복학교와 일반학교가 주목할 만한 차이는 볼 수가 없었으나 학생 자신에 대한 타인의 긍정적인 인식 수준, 교우관계, 수업에 대한 만족도 등에서 행복학교의 학생들이 좀 더 긍정적인 인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 학생들이 직접 행복을 체감하기 위해서는 행복학교에서처럼 일반학교에서도 평가의 부담을 줄여야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정규 교육과정 중에서 행복 관련 내용을 반영하기 위한 재구성 노력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학교의 노력 뿐 아니라 가정과 지역사회가 더불어 노력할 때만 행복교육에 좀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inquires the characteristics of happy school by comparing recognition standard of happiness degree between happy school and general school. Through this study, We propose the image of happy school which all the students could dream happier life. This study analyzed recognition difference of happiness degree about 4 subordinate perspectives of 12 elementary school, 289 students designated happy school and general school, 1107 students. As a result, there was no noticeable difference of recognition standard of happiness degree between happy school and general school. But this study showed that the more positive recognition in the happy school about friendly relations, self-esteem, satisfaction of class, etc. This study, above all, made certain that in the general school as happy school it is important to alleviate the burden of score evaluation. This study, also, made clear that it is necessary to redesign the regular curriculum containing happiness in the students` daily life. This study, above all, made clear that it is important to cooperate with school, family, community.

      • KCI등재

        사교육 발생 구조 탐색

        김순남(Kim, Soonnam),이병환(Lee, Byunghwa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1

        이 연구는 사교육 발생의 이론적 구조를 탐색하고자 한다. 우리나라에서 사교육 문제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사교육 시장에 확대되면서 가정경제의 기반이 무너지는 병리적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심각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사교육 발생 원인에 대한 학술적인 논의는 미약했다. 이 연구에서는 사교육의 발생 원인에 대한 구조 변인을 다양하게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사교육 문제에 대한 대책 모색에 주력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사교육 발생 원인은 특정한 한두 현상에 국한되지 않고 학교 내적인 측면과 학교 외적인 측면이 혼재된 중층적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학교 내적인 측면에서는 부실한 수업과 합리적인 평가방법의 부재를 들 수 있고, 학교 외적인 측면에서는 학력주의 관행과 명문대학 선호 풍토, 사교육 시장의 팽창이 대표적 원인에 해당된다. 이 연구에서는 사교육을 줄이기 위한 가장 현실적인 방안으로 학교 교육의 내실화를 위해 창의성 교육을 핵심으로 하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과 학습공동체 학교체제로의 전환을 제안하였다. 둘째, 사교육 관련 기관의 역할 분담을 명확히 하고 사교육 대책에 대한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셋째, 학교교육의 다양화 정책이 시행되어야 한다. 사교육 발생 원인이 이렇게 다양한 요인이 혼재되어 있기 때문에 그에 따른 처방 모색도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앞으로 점증하는 사교육 문제에 대해서 더 심도 높은 학술적인 논의와 함께 실효성 있는 정책 대안들을 시급히 모색해야 할 때라고 본다. This study analyzes both the internal and external aspects of current public school education in order to provide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he causes and problems that lead to private education, and similarly looks at both the internal aspects and external aspects with the necessary policy measures against private education. First, the foundation for the policy measures are based on the idea of private education playing the role of supplementary public education, and it branches out to change public school programs in order to become more helpful for the creative students, strengthen public school education internally, enhance external supporting system, and establish strategies against private education. Secondly, the study suggests a number of internal aspects of school education and their policy measures. Thirdly, as for the managing side of education, the study suggests policy measures concerning higher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nd activating the afterschool educational programs. For strengthening internal public school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a new education paradigm that focuses on creativity education and a change in the school system to play the role of a learning community.

      • KCI등재

        고등학교 성취평가제의 諸문제와 정착 방안

        김순남(Kim, Soonnam),이병환(Lee, Byunghwa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8 열린교육연구 Vol.26 No.3

        This study attempted to diagnose problems resulting from the introduction of the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the most important issue in the future evaluation system for high schools, and seek ways to settle the problem. A study on the high school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is a key element of the two major educational reform measures, as the presidential pledge to introduce a new evaluation system for university entrance is being delayed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entrance system is imminent. The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in which the theoretical basis can be found in the complete learning of the social constructivism and Bloom of Vygotsky, evaluates the level of achievement of individual students by subject, unlike relative evaluations. The problems of the high school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re difficulty in setting achievement standards and achievement levels, questions related to the test, questions related to scoring and evaluation, problems related to the use of results, weakened connection between achievement standards and student evaluation, and policy over-assessment of performance. A plan to establish a high school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is a clear setting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level of achievement, improvement of the method of calculating partial scores and preventing excessive assessment of grades, improvement of the method of assessment rather than the achievement standard, and establishment of assessment centered on the result of university 이 연구는 향후 고등학교 평가체제에서 가장 중요한 쟁점인 성취평가제 도입에 따른 문제점을 진단하고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정착 방안들을 모색하고자 한다. 현재 대통령 공약사항인 대학입시 전체 과목 절대평가제 도입이 미뤄지고 있고 고교학점제 시행을 앞두고 있는 상황이어서 이들 두 가지 중요한 교육개혁안의 핵심 요소로서 고등학교 성취평가제에 대한 연구는 대단히 중요하고도 시의성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Vygotsky의 사회구성주의와 Bloom의 완전학습에서 그 이론적 근거를 찾을 수 있는 성취평가제는 규준참조평가와 달리 학생 개개인의 교과목별 성취 수준을 평가하고자한다. 고등학교 성취평가제의 문제점으로는 성취기준과 성취수준 설정의 어려움, 출제 관련 문제, 채점과 평가 문제, 결과 활용 문제 등 운영의 신뢰도 문제, 성취기준과 학생평가간의 연계 약화, 성적과대평가와 정책 자체의 불완전성 및 정책 추진의 일관성 미흡의 문제가 있다.고등학교 성취평가제의 정착 방안으로는 교과별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의 명료한 설정, 분할점수 산출 방식 개선과 성적 과대 평가 방지책 마련, 성취기준과 학생평가의 연계 강화, 과정 중심의 평가 정착, 대학입시에서 성취평가제 결과 활용 방안의 명료한 제시를 들 수 있지만 무엇보다 일선 학교 교원의 평가전문성 확립이 가장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 KCI등재

        창의경영학교 성공 요인 탐색

        김순남(Kim, Soonnam),이병환(Lee, Byunghwa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2

        이 연구는 창의경영학교의 성공 요인을 학교 요인과 제도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국가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는 학교경영 개선 사업에 대한 이해와 방향 정립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창의경영학교는 창의와 인성을 바탕으로 자율적인 교육과정 운영과 혁신적인 학교경영을 시도하는 학교를 총칭하는 개념이다. 이 연구에서는 창의경영학교 성공 요인을 분석하여 다른 창의경영학교의 성공적인 길잡이로 안내하고자 하며 나아가 일반학교의 혁신적 경영의 방향과 세부 방법을 안내하는데 의의가 있다. 창의경영학교 성공 요인은 컨설팅 결과 보고서와 수시 모니터링 결과를 토대로 정리하였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창의경영학교의 성공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경영학교 운영은 창의ㆍ인성을 갖춘 자기주도적 학생과 자율적, 창의적 학습공동체 달성을 위해 자율적 교육과정, 맞춤형 수업, 학습 중심의 통합 평가가 실시되어야 한다. 둘째, 창의경영학교 운영 주체인 교원의 전문성 계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창의경영학교가 성공적인 학교 혁신 모델로 지속되기 위해서는 단위 학교의 노력 이외의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 창의적 인재를 요구하는 사회 풍토가 조성되어야 하며, 대학입시와 취업 등에서도 창의와 인성의 덕목이 강조되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onditions of success in the creative school. Its ultimate goal is to contribute to effective school management by providing local schools with proper aspects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based on respective school management type. With this theme, this study cover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reative school, the model analysis of creative school management. Ultimately, the researchers endeavoured to provide a management strategy to improve creative school management by developing proper school management model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ly, this study review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historical trajectories of creative school management. It pursues to explain the necessity and unique aspects of creative school from the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describe the historical trajectories through the previous Korean education policy. Secondly, this study developed management models in order to operate creative school. Also, as an operational model, educational process was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participating curriculum’, ‘collaborative class’, ‘harmonious after-school activity’, and ‘interesting creativity activity’. The efforts from five agents, school principals, teachers, parents, community, and students, were emphasized as being necessarily important to improve creative school management. Finally,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f success were carefully reviewed and further conditions to lead successful creative school were also discussed in regard to curriculum, educators, community and collaboration among relevant institutions.

      • KCI등재

        사립학교 학교운영위원회 운영성과

        김성열(Kim Seong-Yul),도순남(Do Soonnam),이정열(Lee Jeong-Yul) 한국교육행정학회 2004 敎育行政學硏究 Vol.22 No.2

        학교운영위원회는 단위학교의 교육자치를 활성화하고, 지역의 실정과 특성에 맞는 다양한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로 국·공립학교에는1996년부터, 사립학교에는 2000년부터 도입되었다 사립학교 학교운영위원회는 심의기구인 국·공립학교 학교운영위원회와는 달리 필수적 자문기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기에 그동안의 운영 성과를 살펴보고 앞으로 발전방안을 모색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경남지역 중등 사립학교 학교운영위원들이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성과를 어떻게 평가하고 인식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립학교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성과는 학교운영의 민주화, 학교경영의 투명성 제고, 의사결정의 질 제고,학교공동체 형성, 단위학교의 자율성 보장 등 영역에서 보통 이상인 것으로나타났다. 자문기구로서의 역할을 감안한다면 사립학교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성과는 대체로 성공적이라 할 수 있다. 앞으로 사립학교의 학교운영위원회는 이사회와의 관계를 적절하게 정립하면서 모델의 다양화 전략을 탐색해야한다. 또한 다양한 모델이 적용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 학교단위책임경영제의 성공모델로 발전해나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purports to uncover the effects of school council in private school by analyzing school council members' perceptions, and to explore ways of enhancing effectiveness and of solving various issues of school council. The results shows that school council members' perception about school council's effects,<br/> especially in the aspects of democratizing school management, enhancing the quality of decision making process, developing autonomous school community, are above the average. Despite school council's role is limited to the role of consultation, the effects of school council in private school is large sufficient to affect school management.<br/> In the future, school council in private school should make more conscious efforts to develop relevant relation with a board of trustees of private school. School council-based model should be expanded in order to foster successful development of school-based management.

      • 일 병원 진단검사 정보안내를 위한 전산화 프로그램 모형 개발

        홍순남(Hong, Soonnam),강명숙(Kang, Myungsook),송미선(Song, Meesun),이경옥(Lee, Kyungok),조영애(Cho, Youngae),강미숙(Kang, Meesook),김순연(Kim, Soonyeun),이미화(Lee, Mihwa),이희주(Lee, Heejoo) 계명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4 계명간호과학 Vol.18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 model for computerized information system (CIS) based on nurses' demand for CIS. Methods: The process involves two steps: First, analysis of nurses' information requirements from which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30 nurses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MS-Excel Program. Second, designing a model for CIS to be utilized for diagnostic tests based on nurses' information requirements. Results: The results from questionnaires were scored using 4-point Likert scale and data analysis revealed that nurses use computerized system 2.66+0.58. and 3.37+0.52, respectively. The majority of the subjects(228/230) showed that CIS is highly needed and useful. The second step of the process include the information requirements of diagnostic tests were classified in to 3parts: obtaining clinical specimen, examination requests and reports of examination results. Operation process was classified into 2 parts: data entry and data inquiry. The model for CIS was designed under the principle of convenience and unified single screen. Conclusion: The new CIS will provide more convenience and satisfactory results to users in clinical situation and further improve the quality of medical care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