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여성의 생애 유형: 저출산과 M자형 취업곡선에의 함의

        박경숙(Keong-Suk Park),김영혜(Young Hye Kim) 한국인구학회 2003 한국인구학 Vol.26 No.2

        이 연구는 결혼, 출산, 취업 시기와 순서에 기초하여 한국 여성의 생애과정의 유형적 특성을 분석하고 있다. 또한 생애 유형의 변화와 집단간 차이에 유의하면서 결혼코호트와 여성의 가족ㆍ개인 특성에 따라 생애 유형의 차이를 설명하고 있다. 분석에 활용한 자료는 2002년 한국여성 개발원이 조사한 ‘제4차 여성 취업실태조사’이다. 초혼 경험이 있는 기혼 여성의 생에는 크게 다섯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결혼과 출산기간에도 쉬지 않고 계속 일한 여성(일ㆍ가족역할 중복형, 13.7%), 결혼 전에 일하였지만 출산/육아기간동안 일을 그만두고, 공백기 이후 다시 일자리로 돌아온 여성(M형, 18.6%), 결혼과 출산 직후 일을 그만 둔 여성(잠재 M형, 26.9%), 결혼 전에 일한 경험이 없지만 결혼/육아 이후 일자리를 처음 가진 여성(양육 후 입직형, 23.5%), 마지막으로 전혀 일한 경험이 없는 여성(17.3%)이다. 각 생애유형의 상대적 구성은 결혼코호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최근의 결혼코호트일수록 M형(잠재 M형 포함)이 지배적인 생애 유형이 되고 있다. 양육 후 처음 일을 하거나, 전혀 일한 경험이 없는 기혼여성의 비율은 최근 결혼코호트일수록 작아지고 있다. 또한 1990년 이후 결혼한 여성에서 일가족 중복형의 생애 패턴이 증가하는 경향이 확인된다. 동일 코호트 내에서 살펴보면, 생애 유형은 여성의 교육수준, 성장기 일하는 여성의 역할 모델의 존재(어머니의 취업), 남편과 여성의 성역할태도, 가구의 주 생업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여성의 생애유형별 일과 가족역할의 의미를 조망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discover patterns of Korean women’s life course in terms of their life time sequence of family roles and economic activity. Primary factors for the change and diversity of family-work role sequence are also examined. Data used in this study is the Fourth Survey of Korean Women’s Economic Activity which was conducted by Korean Institute of Women Development (KIWD) in 2002. According to the main results, five distinctive patterns of life course are to be disentangled for ever married women: First, doing simultaneously family and work roles with no maternal leave (13.7%); second, reentry into labor market after maternal leave (M type, 18.6%); third, no reentry into labor market after maternal leave (latent M type, 26.9%); fourth, first job entry after child rearing (23.5%); and finally, no work experience (17.3%). The relative composition of the respective life course has changed over marriage cohorts. M type including latent M type became a dominant life pattern among married women since marriage cohorts of 1980 and later. The share of married women who begin to work first after maternal role or have no work experience has declined with recent marriage cohorts. It is also noted that the share of women with simultaneous family and work roles has increased among marital cohorts of 1990 and later. Marriage cohort differences being controlled, life patterns significantly differ by women’s educational level, existence of role model of working mother at growth, women’s own and husbands’ gender role attitude, and family economy. Finally, some policy concerns for gender role division of family and work are raised.

      • KCI등재

        남녀 결혼시기 연장의 주요 원인: 계층혼, 성역할분리규범, 경제조정의 우발적 결합

        박경숙(Keong-Suk Park),김영혜(Young-Hye Kim),김현숙(Hyun-Suk Kim) 한국인구학회 2005 한국인구학 Vol.28 No.2

        이 연구는 왜 많은 미혼 남녀가 결혼을 연기하고 있는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현재의 만혼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남녀가 어떠한 배우자를 원하는가, 그러한 배우자를 선택할 수 기회가 큰가, 또한 결혼에 부여하는 가치들과 배우자를 만날 수 있는 기회들의 형상이 상징하는 사회구조의 특성은 무엇인가와 같은 질문에 답을 구해야 한다. 요컨대 결혼에 기대하는 가치와 기회구조, 그것의 사회구조적 연관을 조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계층혼, 성역할 분리규범, 그리고 경제위기의 복합적 상황에서 1990년대 후반 남녀의 결혼의 가치와 기회구조가 어떻게 변하였는가를 추적하고 있다. 분석에 활용한 자료는 한국노동연구원이 조사한 1998년에서 2002년 기간의 한국노동패널조사이다. 결혼력과 직업력 자료를 구성하여 결혼 코호트와 성별에 따라 교육과 고용상의 지위가 결혼시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에 따르면 남성이 결혼할 수 있는 기회는 1990년 이후 교육, 고용상의 지위에 따라 크게 계층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일자리를 가지고 있을수록 결혼시기는 유의미하게 빠르게 나타난다. 여성의 경우, 1990-1997년 결혼 코호트에서는 고학력 여성의 결혼시기가 저학력 여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지만, 고용상의 지위와 결혼시기는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계층혼의 경향이 1990년대 들어 더욱 강화되고 있음을, 여성에서는 교육이 노동시장에서의 인적자원보다는 결혼을 통한 대리적 지위 획득 기제로 작용하였음을 시사한다. 한편 1998년 이후 결혼코호트에서는 여성의 결혼시기에 대한 교육의 효과는 약해지는 대신 취업상태의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일하는 여성일수록 결혼시기가 유의미하게 지연되고 있다. 이러한 결과에서 우리는 1990년대 후반부터 심화되고 있는 젊은 남성들의 취업기회의 제약은 ‘우발적으로’ 여성의 경제활동참여 동기를 크게 하였고, 결혼을 통한 대리적 지위를 획득하려는 기대를 약화시킨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current upheaval in marriage that many young Korean men and women postpone or deny their marriage. In order to explain the delayed marriage, we need to understand the taste by which men and women choose their partners, the opportunity by which they find their ideational half in reality, and the context in which these values and opportunities of marriages intersect. This study examines the way in which the value and opportunities of marriage among Korean men and women have intersected differently in the changing economic conditions. Using KLIPS(Korea Labor Income Panel Survey, 1998-2002), differential effects of education and occupational status on marital time according to marriage cohort and gender are analyzed. Results find that the opportunity of marriage among men turns out to have been stratifi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achievement and labor status since the 1990s. For women, education and economic activities are likely to influence marriage decision in a discordant way; during the period of 1990-997, highly educated women are more likely than their counterparts to be married earlier whil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economic activities. This implies that status homogamy has been intensified since the 1990s and many women with high motivation for social status are able to achieve a vicarious social status through marriage in a prosperous economy. For women married after 1998, however, the educational effect is insignificant but economic activity contributes to delaying marriage. This suggests that under the economic restructuring since the late 1990s, the constraint of opportunities finding decent jobs particularly for men results in the contingent change in women's perception about family roles and economic activities by reducing their expectation to achieve a vicarious status through marriage, but increasing their motive for their own economic activities.

      • KCI등재

        식민지 시기(1910년-1945년) 조선의 인구 동태와 구조

        박경숙(Park Keong-Suk) 한국인구학회 2009 한국인구학 Vol.32 No.2

        식민지 시기 조선의 인구동태는 한반도 안과 밖에서 역동적으로 진행되었다. 한편으로 자연성장률이 크게 성장하였고, 국내외 이동도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이 연구는 식민지 시기 동안 정확히 얼마만큼의 조선인의 인구성장이 이루어졌고, 그 동태의 특성은 무엇인가를 밝히고 있다. 식민지 조선 인구 동태의 중요한 특성은 무엇보다 조선 안에서의 완만하거나 정체된 인구성장과 대비하여 만주와 일본에서의 조선인의 급속한 증가로 요약할 수 있다. 식민지 시기 조선내 인구의 지연성장율은 1910년-1915년 사이 10.57‰에서, 1935-1940년에는 20.4‰, 1940-1944년에는 24.4‰로 증가하였다. 그런데 식민지 시기 자연성장율이 실질적으로 크게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조선 내 인구성장이 1930년대 중반부터 떨어지고 이후 정체되었다. 이는 많은 인구가 만주와 일본에 이출한 때문이다. 식민지 기간 동안 조선의 인구는 1,260만 여명이 증가하였는데 그 중 약 69%인 870 만여 명이 한반도 안에 있고 31%가 만주와 일본으로 유출되었다. 집단적인 디아스포라의 경험은 해방 이후의 정치 역학과 사회 구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귀환하지 않은 해외 조선인들의 국적과 민족 정체성을 둘러싼 긴장은 지금도 해결되지 않고 있다. Korea underwent very dynamic population transitions, trespassing the Korea territory during the colonialization period; On the one hand, natural growth rate had increased greatly and at the same time migration, particularly international migration had been facilitated. This study aims to clarify exactly the way and the extent in which population dynamics had proceeded during the colonialization period, drawing on the quality and relevance of incomplete data sets collected by statistical apparatus of Japan and Manju state during the colonization period. Result shows that population dynamics was characterized by two main traits; the slow growth of population within the Korea peninsular and the very rapid increase outside the peninsular. Total natural growth rate of Korean population increased 10.57 ‰ between the years of 1910-1915, to 20.4 ‰ in 1935-1940, and 24.4 ‰ in 1940-1944. Despite the substantial natural growth rate, de facto population within the Korea peninsular had only a slow increase and even stagnation since the 1930s. This is due mainly to Koreans' outflow into Manju and Japan. While about twelve million Korean persons increased over the colonialization period, 69 percent of the total increase stayed in Korea peninsular and the rest were on the road of diaspora. The collective experience of diaspora among the large population and their return after liberalization had exerted crucial influences on the nation building in post colonial Korea.

      • KCI우수등재

        한국 노인의 사회적 관계

        박경숙(Park Keong-Suk) 한국사회학회 2000 韓國社會學 Vol.34 No.F

        이 논문에서는 어떠한 조건에서 노인이 가족과 지역사회에 연계되거나 고립되는지, 그리고 그 연계정도에 따라 생활만족도는 어떻게 다른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우리 사회 노인의 사회적 관계는 동거하는 자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떨어져 있는 자녀와의 ‘근거리내 교류’나 지역사회와의 교류정도는 약한 편이다. 가족과 지역사회에 동시에 연계되어 있는 노인이 그다지 많지 않은 것에 미루어 볼 때 노인의 주된 생활환경이 가족에 한정되어 있다고 사료된다. 상이한 유형의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노인은 거주지, 건강상태, 사회계층적 특성에 따라 서로 구분된다. 가족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는 농촌노인보다 도시노인에서 강하게 나타나 고 있다 또한 건강한 노인이 건강이 나쁜 노인보다 가족 및 지역사회에 연계된 경향이 강한 데, 이는 장애노인에 대한 가족 및 지역사회의 부앙기능이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자녀와의 동거경향은 경제적 자립력이 취약한 노인에서 유의하게 강하게 나타나고 있어서, 노부모에 대한 동거자녀의 경제적 부양기능이 여전히 중요하게 유지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사회적 관계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데, 지역사회보다 가족관계에서, 자녀와의 연락보다는 동거에서 노인은 더 큰 만족도를 보이고 있다. 한편 가족관계에 한정된 노인보다 가족 및 지역사회와 동시적으로 연계된 노인에서 삶의 만족도가 더 크게 나타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dition on which elderly Koreans tie to their family and community. Main subjects of the study are to develop a typology with regard to the elderly’s everyday based contact to family and community and to find factors and functions which differentiate various types of social ties from one another. Elderly Korean’s ties are classified into traditional extended family-based, modified family-based, community-based, multiple, and disengaged ones. The most prevailing type is based on the traditional family tie. Ties to children are made exclusively by coresidence not by geographic nearness. Also, most elderly Koreans fail to maintain a closely-knit tie to their community. The strength or weakness of social ties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elderly’s residence, health status,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Elderly Koreans living in urban areas are more likely than those in rural areas to preserve a close family and community network. Results show that the elderly in a poor health are more likely than those in a good health to be disengaged from both their family and community. This suggests that current family and community have only limited role providing care for the elderly in need of health care. It is also noted that elderly Koreans relatively poor in economic status are more likely to maintain the traditional family tie. Results also show that ties to family and community contribute to promoting the elderly’s subjective wellbeing in a hierarchical manner; the elderly maintain greater life satisfaction through family ties than community ties, through coresidence with children than contact in a nearness to them, and through multiple ties than single one.

      • KCI등재

        북한의 출산력 변천과 사회적 요인

        박경숙(Keong-Suk Park) 한국인구학회 2013 한국인구학 Vol.36 No.1

        이 연구는 북한에서 어떻게 저출산과 소자녀가족이 보편화되었는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북한 출산율 변천과정은 몇 단계로 구분되는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1953년 이후 1970년까지 베이비 붐이 지속되었다. 그리고 1970년에서 1980년대까지 출산율이 빠르게 감소하고 이후 경제난 이후까지 안정되었다가 경제난 이후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출산율 변천이 이루어진 사회 구조적 맥락으로서 인구 압력, 북한 국가 당국의 노동 및 가족정책, 그리고 북한 여성의 사회적 지위 요인에 주목한다. 북한에서 베이비붐이 1970년까지 지속되었던 것은 인구 과잉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적었고 고도 공업화 전략 속에서 미래 노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출산을 장려하였던 사회 분위기의 영향이 존재한다. 또한 급속한 공업화 시기 여성들의 높은 경제활동 참여에도 불구하고 출산율이 높게 유지된 것은 국가권력과 전통적인 가족관계에 의해 여성의 출산 행위가 통제되었기 때문이다. 한편 유배우 출산율은 1970년에서 1985년 사이 집중적으로 크게 감소하였다. 이는 경제적 궁핍과 여성의 일과 가족 돌봄의 부담, 그리고 국가의 인구 통제 정책이 결합된 맥락에서 이루어졌다. Fertility of North Korean women has rapidly declined since the early 1970s and remained at the replacement level in the early 1990s. Fertility level slightly declined during the economic hardship period from the 1990s to the present time. This paper examines how low fertility and small family became universalized in North Korea and how North Korean women have devised conceptions and methods of fertility control. Data is based on various reports by North Korea including 1993 and 2008 census, and th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of North Korean immigrants conducted in 2007. In regard to social context of fertility transition, the extent of population pressure, labor and family policy of North Korean state authority, and North Korean women’s double burden on family and labor are examined.

      • KCI우수등재

        세대관계의 다양성과 구조

        박경숙(Keong-Suk Park) 한국사회학회 2003 韓國社會學 Vol.3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가족수준에서 다양하게 형성되는 세대관계의 구조적 특성을 밝혀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세대관계의 주요 하위 차원인 세대간 지리적 근접성, 지원관계, 가족부양관의 상호관련성에 초점을 두었다. 세대관계의 잠재유형을 분석하기 위하여 이산 변수들의 관계분석 기법인 LCA(Latent Class Analysis) 방법을 이용하였다. 세대관계에 대한 중년층과 노인세대의 시각차이를 고려하여, 중년층과 노인 입장 모두에서 세대관계를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에 따르면, 중년층의 입장에서 노부모와의 세대관계는 1)호혜성에 기초한 강한 지원관계(18.0%), 2)비호혜적 강한 지원관계(19.7%), 3)중간수준의 상황적 지원관계(12.8%), 4)중간수준의 규범적 지원관계(17.9%), 그리고 5)고립형(31.5%)의 다섯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각 유형에 속하는 중년층은 연령, 교육수준, 형제관계, 거주지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노인의 입장에서 세대관계는 1)전통적 세대관계의 이념형에 근접한 지원관계(49.7%), 2)호혜적 지원관계(19.8%), 3)고립형(30.5%)의 세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각 유형에 속하는 노인은 독립적 생활능력, 자녀로부터의 지원의 가용성, 사회활동 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Despite many studies about generational relationship, it remains difficult for us to clarify the meaning of apparently diverse and contradictory experience of family relationship. This study aims to uncover structural patterns underlying the association among the three sub-dimensions of generational relationship; geographic proximity, exchange of support, and norm of family support. The LCA method is used to find latent patterns of generational relationship. Concerning attitudinal and perceptional differences between middle adults and elderly parents, the analysis is employed from both perspectives. Main results show that generational relationship from the middle adults' perspective is composed of five distinct patterns; strong/reciprocal(17.9%), strong/one-sided(19.7%), intermediate/normative(17.9%), intermediate/circumstantial(12.8%), and weak relationship(31.55%). Middle adults in the respective pattern differ themselves from one another in terms of their age, educational level, sibling relationship, and place of reside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lderly, generational relationship is more or less simpler; traditional(49.7%), reciprocal(19.8%), and weak relationship(30.5%). The result was also found that self reliance, social activity of the elderly, and opportunity of family support influence significantly the prevalence of each latent pattern.

      • KCI등재

        서울과 나고야 노인의 생애사와 가족 변화

        박경숙(Keong-Suk Park)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7 아시아리뷰 Vol.6 No.2

        이 연구는 19세기 후반 이후 급변하는 근대화 과정을 거치는 동안 한국과 일본에서 근대가족이 어떻게 구성되고 변화되었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그 방법으로 설문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통해 현재 서울과 나고야에 거주하는 1920년대에서 1940년대에 태어난 노인의 유소년기, 청년기, 장년기, 노년기에 걸쳐 가족의 특성이 어떻게 변화했는가를 고찰했다. 가족관계는 가계, 가산, 가업의 계승과 상속, 부부관계, 자녀부양과 노부모부양, 가족의식 등의 복합적인 차원을 포함하므로 각 차원에서 어떤 특징과 변화가 나타나는가를 고찰했다. 분석결과 두 사회 노인의 생애 전체를 통해 직계 · 부계가족과 부부가족의 절충 양상이 확인되었다. 성 역할분업, 자녀양육에 대한 태도, 노인부양에 대한 태도는 생애와 시대에 따라 달랐지만 가족관계의 변화는 직계 · 부계가족과 부부가족의 절충 논리 속에서 이루어졌다. 직계 · 부계가족과 부부가족의 절충은 두 사회의 가부장적이고 발전중심적인 정치 · 경제적 조건과 연결되어 젠더와 세대 관계의 독특한 타협과 각축 과정 속에서 이루어졌다. 그리고 직계 · 부계가족과 부부가족의 절충과 혼융으로 구성된 가부장적 근대가족의 내적인 균열에서 탈가족현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강조했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familial changes and modernity embedded in the life history of the Korean and Japanese elders born between 1920s and 1940s. The elderly born between these periods experienced very rapid social change such as imperialism, political turmoil after liberation, ferocious nation building, wars, diaspora, and rapid economic development. Modern families have developed and transformed in such a vortex of social change. Survey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2009 to 2001 in Seoul, Korea, and Nagoya, Japan. Several important conceptual changes in the modern family were extracted from the life histories of the Korean and Japanese elders. A mixture of kinship care and modern institutional care, gendered education during childhood, relation with extended and conjugal families, ideas of gender role division, attitudes about inheritance, and family support during adulthood and later life were examined and compared. The survey results combined with interviewees’ recalled memories of family relations highlight the eclectic formation of patriarchal and conjugal families. The ideas of gender role division, attitudes toward child rearing, old age support, and family succession had changed through the course of their lives. Nevertheless, patriarchal and conjugal family relations had been enacted and has led to the formation of an overarching ideology of family centeredness within the distinct relations and conflicts between gender and generations, between the authoritarian regime and the resistance of the citizens, and in the collective anxiety about economic developments. This study also emphasized that the eclectic formation of patriarchal and conjugal families has been an important mechanism of de-familial phenomenon in present Japan and Korea. Despite romantic notions about family life and persistent patriarchal influence in social relations and institutions, strict definition of family roles, the increasing gap between expectations about family and real conditions, and the exacerbating conflicts in gender identities suggest that the dominance of the eclectic extension of patriarchal and conjugal families have come to an end.

      • KCI등재

        일제의 인구 조사와 인구 통치

        박경숙 ( Keong-suk Park ) 한국사회사학회 2012 사회와 역사 Vol.0 No.95

        이 연구는 1908년에서 1936년에 걸쳐 재만 일본영사관이 만주에 체류하고 있는 일본인, 조선인, 중국인, 기타 외국인을 집계한 목적과 집계방식을 일본 제국주의의 인구 통치와 연관하여 분석하고 있다. 재만 일본 영사관의 인구집계는 일본, 조선, 중국에 걸쳐 일본제국의 세력확장을 위해 실시되었다. 일본인의 입식을 주도하고 조선인과 중국인의 이동을 유동을 통제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치외법권 지역을 확대해가면서 집계대상지역도 만주 전지역을 포괄하였다. 일본 제국주의가 점령한 지역은 만철부속지, 상부지, 개방지등의 이름으로 표시되었고, 그 경계는 전쟁과 불평등한 조약의 전리품으로 계속해서 확대해갔다. 제국의 권력이 들어간 공간은 상업, 산업, 행정, 교통, 전략적 요충지가 되고, 교육, 문화, 금융, 편의 시설이 전시된 문명의 공간으로 변모되었다. 개발과 국방으로 기획된 지역은 다민족을 유인하였다. 치안도 조사의 중요한 이유의 하나였다. 재만 조선인과 중국인의 유동성과 항일운동 그리고 외국인의 존재는 치안을 위협하는 난제로서 인식되고 주의 관찰되었다. 영사경찰은 관동군 경찰, 만철 경찰, 그리고 만주국 경찰과 함께 전투, 보안, 치안을 관장하고, 민을 통한 민을 통치하고 감시하는 자위조직을 지원하면서, 기층주민들의 삶을 조사하고 감시하고 등록하였다. This study illustrates how Japan``s diplomatic embassy in Manchu made the population enumeration during the period of 1909 and 1936. The Japan embassy``s enumeration in Manchu area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extending economic and military extension of Japan``s imperialism. Enumeration was done to bring Japanese people into the Manchu development and to control mobility of Chosun and Chinese people. Enumeration areas had covered the entire of Manchu area as Japan extended extraterritoriality in that region. The occupied areas were developed as the main places of industry, imperial administration, railway stations, and defense, as result enticing huge migration of peoples from diverse ethnicities. Defense is another important purpose of population enumeration. The population enumeration in Manchu was conducted by the massive police apparatus affiliated in Japan``s embassy, Manchu rail way, and Kwandongkun(關東軍). With the help of pseudo civil organizations, police investigated the suspicious people and anti imperial movement. Enumeration reflects there were confusions in the way on which Japanese and colonized Chosun people were differentiated in the enumeration until the legislative basis of the imperial eclecticism of assimilation and exclusion has been set up in the 1920s. Under the ambiguous eclecticism of nationality, Chosun people in Manchu were exposed to the double discrimination by both Japanese people and Chinese people(Manchuguk people after the establishment of Manchu state in 1932). It is the imperial rule of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in which modern population enumeration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formation of Asia``s modern states and ethnic boundaries.

      • KCI등재

        55세 이상 고령자의 노동시장 이탈 과정; 은퇴의 유형화에 대한 함의

        박경숙(Keong-Suk Park) 한국노동연구원 2003 노동정책연구 Vol.3 No.1

        자영부문 노동력의 높은 비중, 노동시장의 분절화, 그리고 최근에 가세된 노동유연화의 결과 전형적 은퇴 개념에 부합하지 않는 과정으로 비취업상태에 이른 고령자의 비중이 상당히 클 수 있다. 이 연구는 우리 사회 55세 이상 고령자의 노동시장 이탈 과정에 은퇴제도, 노동시장의 불평등, 가족 조건과 같은 요인이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있다. 공식적인 은퇴 경로뿐 아니라 다양한 노동조건에서 진행된 노동이탈 과정의 특성을 규명함으로써, 은퇴 유형화의 이론적 기준들을 탐색하고 있다. 분석을 위하여 1998∼2000년 3개년도에 걸친 노동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High proportion of self-employed workers, segmentation of labor market, and labour flexibility adversed recently are likely to bring about the increase of old retiree whose labor exit does not conform to the typical process of retirement.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way in which retirement institution, inequality within labor market, and family condition influence the path of labor exit among older workers aged 55 and over. Drawing on diverse paths of labor exit not in accordance with formal retirement process, this study explores some theoretical issues for typology of retirement. KLIPS over three years are employed for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