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AP 인증 수삼의 표적시장 연구

        김관후 ( Gwan Hou Kim ),이가순 ( Ka Soon Lee ),이두희 ( Doo Hee Yi ),홍승지 ( Seung Jee Hong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구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2011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18 No.5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ggest producers` marketing direction for GAP certified rawginseng using STP(segmentation, targeting and positioning). In order to fulfill this object, conjoint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ere us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Based on the results of part worth for attributes such as safety, size, and price, GAP certified raw-ginseng, large size, and low price were preferred to conventional ginseng, small size, and high price respectively. In the relative importance for each attributes, safety was 47.2%, size was 30.0%, and price was 17.8%. As a result of market segmentation, 3 consumer groups(large size preferred, safety preferred, lower price preferred) were classified. Among those groups, the safety preferred group was selected as a target market for GAP certified raw-ginseng and its market size was estimated approximately 2,968 tons which is 26.8% of total raw ginseng market.

      • KCI등재

        구기자청 제조 시 유리당의 변화

        이가순(Ka-Soon Lee),김관후(Gwan-Hou Kim),김현호(Hyun-Ho Kim),이희철(Hee-Chul Lee),오만진(Man-Jin Oh)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9

        생구기자를 수확 후 건조하지 않고 바로 가공용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데치기 처리 유무에 따라 생구기자 : 설탕을 1:0.2, 1:0.4, 1:0.6, 1:0.8 및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저온 (5oC)에서 5 및 10개월간 당침 숙성하여 구기자청을 만든 후, 유리당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구기자청의 가용성전분의 함량은 데치기 처리 유무에 관계없이 설탕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았으며 UPRGSL-4(데치기 처리를 하지 않은 구기자 : 설탕, 1:0.8의 비율로 처리한 구기자청)에서 가용성전분의 함량이 2.5%로 가장 높았다. Maltose의 함량은 PRGSL (데치기 처리를 한 구기자청)은 설탕첨가량이 증가할수록 maltose의 함량이 높아서 PRGSL-5(데치기 처리를 한 구기자 : 설탕, 1:1)에서 5, 10개월 담금 숙성 시 각각 11.52%와 12.66%이었고 UPRGSL은 1%내외의 함량을 보였다. Sucrose의 함량은 담금 10개월째 sucrose 함량을 측정한 결과 PRGSL-5에서 sucrose 함량이 4.22%이었고 UPRGSL-5는 1.36%의 함량을 보였다. Glucose의 함량은 PRGSL-4에서 담금 10개월째 glucose 함량이 7.86%로 PRGSL-5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UPRGSL은 설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glucose 함량이 높았으며 담금 숙성 5개월째 급격히 증가하여 UPRGSL-5에서 24.39%, 10개월째는 26.22%이었다. Fructose의 함량은 PRGSL-4 및 -5가 UPRGSL-4 및 -5보다 약 3~4%정도의 낮은 함량을 보였다. Sorbitol 함량은 1%내외로 적은 양을 함유하고 있었지만 UPRGSL에서 약간 높은 함량을 보여 UPRGSL-2, -3 및 -4에서 1.2~1.24%이었다. Glycerol 함량은 설탕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glycerol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5개월 담금 시 PRGSL-1 에서 4.58%, UPRGSL-1에서 3.01%를 보였다. Changes of free sugar on Gugija-sugar leaching were investigated by adding sugar on Gugija (Lycii fructus) raw fruit. Gugija were prepared by parboiling (40~50 sec at hot water of 85℃) and unparboiling. Gugija-sugar leaching were leached after preserving (5 and 10 months at 5℃) Gugija-sugar mixture (ratio of raw Gugija and sugar, 1:0.2, 1:0.4, 1:0.6, 1:0.8, and 1:1/w:w). Soluble starch content of Gugija-sugar leaching increased with increasing ratio of sugar without reference to parboiling treatment, having the highest content, 2.5% at UPRGSL-4 (unparboiling Gugija:sugar, 1:0.8 leaching). Maltose content increased with increasing ratio of sugar in PRGSL, being the highest at 12.66% in PRGSL-5 (parboiling Gugija:sugar, 1:1 leaching) at 10 months leaching periods. Most of the sucrose went out of existence with increasing leaching periods; content was 4.22% on PRGSL-5 and 1.36% on UPRGSL-5. Content of glucose and fructose increased with increasing ratio of sugar; glucose content was 7.86% on PRGSL-4 and 26.22% on UPRGSL-5, at 10 months leaching periods. Fructose content was 18.46% on PRGSL-5 and 22.51% on UPRGSL-4 at 10 months leaching periods. Contents of sorbitol and glycerol increased with increasing ratios of sugar.

      • KCI등재

        구기자생과를 이용한 구기자청 제조시 당첨가량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이가순(Ka-Soon Lee),김관후(Gwan-Hou Kim),김현호(Hyun-Ho Kim),이희철(Hee-Chul Lee),백승우(Seung-Woo Paik),이석수(Sox-Su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6

        생구기자를 수확 후 건조하지 않고 바로 가공용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데치기 처리 유무에 따라 저온(5℃)에서 5개월간 당침 숙성하여 구기자청을 만든 후, 첨가당량에 따른 구기자청 제조시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데치기 처리를 하지 않은 구기자청에서 구기자에 대하여 첨가당량이 80%일 때, 77.5%의 회수율로 가장 높았다. 색도에서는 당첨 가량이 많을수록 L값(밝기)이 증가하였으며 pH는 첨가당량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으나 총산도는 첨가당량이 많을수록 감소하였다. 생구기자 장명의 주된 유기산은 tartar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및 succinic acid로 각각 0.63, 0.57, 0.54 및 0.3%를 함유하고 있었으며, 구기자청 제조 시 당첨 가량이 증가할수록 citric acid와 succinic acid는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tartaric acid와 malic acid는 증가하는 경향으로 특히 malic acid가 눈에 띄게 증가하여 UPRGSL-4(당 80% 첨가 구기자청)에서 가장 높았다. 폴리페놀성 물질과 베타인 함량은 데치기 처리를 하지 않은 구기자청에서는 당첨가량에 따라 비례적으로 낮은 함량을 보였으나 사용된 생구기자량과 비교해보면 거의 같은 수준으로 함유하고 있었으며, 데치기 처리를 행한 구기자청은 당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베타인 함량이 급격히 감소하여 80%와 100% 당첨가 청액에서는 정량되지 않았다. 생구기자의 유리아미노산은 총 15종이 검출되었으며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아미노산은 serine으로 218.1 ㎎/100 g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총유리아미노산 함량이 601.6 ㎎/100 g이었다. 데치기 처리를 한 구기자청(PRGSL-4)은 총 6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지 않아 총량이 383.3 ㎎/100 g으로 약 반량이 감소되었고, 데치기 처리를 하지 않은 구기자청(UPRGSL-4)은 17종 모두 검량되었고 생구기자보다 약간 높은 함량을 보여 총유리아미노산 함량이 705.7 ㎎/100 g이었다.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ugija-sugar leaching were investigated by adding sugar ratio on Gugija (Lycii fructus) raw fruit. Gugija were prepared by parboiling (40~50 sec at 85℃ and unparboiling. Gugija-sugar leaching were leached after preserving (5 months at 5℃) Gugija-sugar mixture (20, 40, 60, 80 and 100% sugar based on raw Gugija). The yield increased with UPRGSL-4 (Gugija-sugar leaching adding 80% sugar) having the highest yield at 77.5%; in contrast, total acidity decreased with increasing ratio of sugar. The main organic acids of raw Gugija are tartaric acid (0.63%), citric acid (0.57%), malic acid (0.54%) and succinic acid (0.3%). Citric acid and succinic acid decreased with increasing ratio of sugar but malic acid and tartaric acid increased on Gugija-sugar leaching. Polyphenolics and betaine content of unparboiling Gugija-sugar leaching decreased as increase ratio of sugar but in term of used Gugija amount, betaine content of each Gugija-sugar leaching was equal to raw Gugija. Also, parboiling Gugija-sugar leaching decreased quickly with increasing ratio of sugar, especially PRGSL-4 and PRGSL-5 (parboiling Gugija-80 and 100% sugar leaching, respectively) was not determined. 15 types of free amino acids were detected in raw Gugija; the total content was 601.6 ㎎/100 g and the highest amino acid among them was serine, 218.1 ㎎/100 g. In PRGSL-4 prepared by parboiling, 9 kinds of free amino acid were detected and the total content was 383.3 ㎎/100g. Also, in UPRGSL-4 (unparboiling Gugija-80% sugar leaching), all 17 kinds were detected and its total content was 705.7 ㎎/100 g.

      • KCI등재

        인삼정과 제조과정에 따른 품질학적 특성

        이가순(Ka-Soon Lee),김관후(Gwan-Hou Kim),김현호(Hyun-Ho Kim),송미란(Mi-Ran Song),김미리(Mee-Ree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5

        당액에 수삼을 넣고 졸이는 횟수에 따라 얻어진 인삼정과 및 정과액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여 인삼정과의 품질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인삼정과는 수삼 8 kg을 2배량의 물 16 ㎏을 넣어 5분간 삶은 후 삶은 물 8 kg을 제거하고 설탕 10 ㎏을 넣어서 60분간 졸여서 24시간 당침하는 작업을 5회에 걸쳐 행하였다. 졸임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정과와 정과액 모두 수분함량과 pH는 낮아졌고 정과액의 ˚Brix는 상대적으로 높아졌다. 정과 내 조사포닌 함량은 원료삼의 4배가 증가하였으며 구성사포닌 중 Rf와 Rd의 함량이 많이 증가하여 각각 원료삼의 77배 및 16배가 높아졌으며 기타 검량된 구성사포닌은 감소하였다. 정과액에서도 정과에서와 같은 경향으로 인삼의 사포닌이 용출되어 마지막 정과액(GJS 5)에서 Rf와 Rd 및 조사포닌 함량이 각각 15.05, 3.54 및 61.88 ㎎/g이었다. 또한 졸임 과정 동안 수분증발에 의하여 정과 및 정과액 모두 총 당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졸이는 동안 glucose와 fructose의 함량도 증가하였다. 정과의 유기산 함량은 당을 첨가하여 졸이기 시작하면서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정과액은 졸임 횟수가 증가할수록 malic acid와 citric acid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정과 및 정과액의 색도는 졸임 횟수가 증가할수록 L값은 낮아지고 a값과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inseng Jung Kwa and Jung Kwa solution prepared according to boiling frequency on Jung Kwa process. Ginseng Jung Kwa was made as follows: washed ginseng 8 kg was boiled 5 min with water 16 kg and then boiling water 8 kg was removed. Sucrose 10 ㎏ was added to boiled ginseng soaking in hot water. Jung Kwa was boiled down for 60 min in sugar syrup and soaked for 24 hrs. According to the above process, Jung Kwa was boiled down 5 times. Moisture and pH of Jung Kwa and Jung Kwa solution decreased as the number of boiling time increased and oBrix of Jung Kwa solution increased. Crude saponin content of last Jung Kwa (GJ 6) increased to 4 times of raw ginseng. Content of Rf and Rd, component of ginsenosides, increased 77 and 16 times on Jung Kwa, respectively and content of crude saponin on last Jung Kwa solution (GJS 5) was 61.88 mg/g. The other ginsenosides on Jung Kwa decreased. As the number of boiling time increased, concentration of total sugar, glucose and fructose of Jung Kwa and Jung Kwa solution increased. Content of total organic acid on Jung Kwa decreased, especially, succinic acid, main organic acid of ginseng, decreased rapidly. L value of Jung Kwa decreased whereas a and b values increased.

      • SCOPUSKCI등재

        신품종 갈색양송이 ‘다향’의 화학성분과 항산화활성 및 α-Glucoamylase 저해활성

        김홍규(Hong-Kyu Kim),양의석(Euy-Seog Yang),박기문(Gi-Moon Park),김관후(Gwan-Hou Kim),김현호(Hyun-Ho Kim),이가순(Ka-Soo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8

        신품종으로 개발한 양송이 ‘다향’의 우수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총 폴리페놀성 물질, 유리당 및 β-glucan의 함량과 항산화활성 및 α-glucoamylase 저해활성을 기존 유통되고 잇는 705호 양송이와 비교 분석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189±12 ㎎%로 기존 705호 양송이 168±8 ㎎%에 비하여 더 높았고, 유리당은 mannitol, xylose 및 trehalose의 3종이 각각 3.11, 0.12 및 0.08%로 mannitol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β-glucan의 함량은 건조물에 대하여 28.34%이었고 705호 양송이는 26.55%의 함량을 보여 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함량을 보여주고 있었다. DPPH용액에 의한 전자공여능은 다향은 물 추출물과 80% 에탄올 추출 각각 52.14% 및 57.81%, 705호는 각각 45.27% 및 46.93%를 보였으며, α-glucoamylase 저해활성은 물 추출물에서는 다향이 705호 양송이보다 저해활성이 더 높은 경향이었으며 80%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거의 비슷한 저해활성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tioxidant activity, and α-glucoamylase inhibitory activity of Dahyang, a Chungnam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newly bred cultivar of brown button mushroom.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s of Dahyang and the no. 705 mushroom were 189±12 ㎎% and 168±8 ㎎%, respectively. The major free sugars in Dahyang were mannitol (3.11%), xylose (0.12%), and trehalose (0.08%). β-Glucan content was 28.34% in Dahyang and 26.55% in the no. 705 mushroom, respectively. Electron donating ability by DPPH in Dahyang and the no. 705 mushroom was 52.14% and 45.27% for the water extract, and 57.81% and 46.93% for the 80% ethanol extract, respectively. α-Glucoamylase inhibitory activity in a 10 ㎎/㎖ concentration of water extract were was 33.25% in Dahyang and 29.22% in the no. 705 mushroom, respectively.

      • KCI등재

        맥문동 열수추출액을 이용한 인삼정과의 품질 특성

        이가순(Ka-Soon Lee),김관후(Gwan-Hou Kim),성봉재(Bong-Jae Seong),김현호(Hyun-Ho Kim),송미란(Mi-Ran Song),김미리(Mee Ree Kim),이규희(Gyu-Hee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12

        인삼정과 제조 시 이용되는 당 용액 대신에 올리고당 함량이 높은 맥문동의 열수추출액을 이용하여 인삼정과를 제조한 후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맥문동 추출액으로 제조한 인삼정과는 가용성 무질소물인 탄수화물의 함량이 76.40%로 설탕으로 제조한 인삼정과의 80.01%에 비하여 약 4% 정도 낮았고, 조단백질 및 조회분 함량은 각각 1.46% 및 3.49% 로 일반인삼정과의 0.59% 및 0.96%에 비하여 약 3배 이상 높았다. 맥문동 열수추출액을 이용한 인삼정과에서 유리당 조성 및 함량은 fructose가 32.42%로 가장 많았고, 그 외 올리고당이 16.91%, 설탕 및 이당류가 13.91%, glucose가 13.16%이었으며, Rh2를 비롯한 진세노사이드 11종이 검출되어 총 함량이 740.1 ㎎%로 일반 인삼정과(675.6 mg%)보다 더 높았다. 총 페놀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5.46과 0.016%로 일반인삼정과의 5.02와 0.014%보다 높았다. 맥문동 열수추출액으로 제조한 인삼정과의 항산화활성은 DPPH IC50값이 인삼정과 중량기준으로 약 34.5 ㎎/mL 이었으며, hydrogen peroxide 소거능은 50 ㎍/mL의 농도에서 92%의 소거능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inseng JungKwa produced withhot-water extract from Maegmundong (MGJ) instead of sugar. Chemical characteristics of MGJ and control ginseng JungKwa produced by sucrose (CGJ) were measured by proximate constituents, free sugars, ginsenosides, total phenolic compound, flavonoid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y was measured by electron donating abilities and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activity. Carbohydrate, crude protein, crude ash contents of MGJ were 76.40, 1.46 and 3.49%, where as those of CGJ were 80.01, 0.59 and 0.96%. Free sugar compositions of MGJ were fructose (32.42%), oligosaccharide (16.91%), disaccharide (13.91%) and glucose (13.16%). Eleven ginsenosides types were detected on MGJ and 9 kinds on CGJ; their contents were 740.1 and 675.6 ㎎%, respectively. Total phenolic compound and flavonoid content were 5.46 and 0.016% on MGJ, 5.02 and 0.014% on CGJ, respectively. In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the IC50 of electron donating ability by DPPH on MGJ was about 34.5 ㎎/mL and ability was slightly higher than CGJ, although there's not much difference in ability between MGJ and CGJ.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activities were 92% on MGJ and 96% on CJG when treated at 50 ㎍/m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