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thnic Differences in the Adjustment to Poverty and Disability among Unmarried Elderly Americans : An Analysis of Multi-State Transitions in Living Arrangements from 1984 - 1990

        Keong-Suk Park(박경숙),Frances K. Goldscheider(프랜시스 골드샤이더),Roger Avery(로저 애버리) 한국인구학회 1999 한국인구학 Vol.22 No.1

        미국사회에서 노인의 거주지 적응양식은 인종간에 차이가 크다. 일반적으로 소수인종노인은 백인노인에 비하여 자녀와 함께 사는 경향이 강하다. 이에 대하여 문화적 입장에서는 소수 인종은 백인에 비하여 가족부양규범이 강하다고 주장한다. 다른 한편 경제적 입장에서는 소수 인종은 그들의 생애를 지배하는 빈곤때문에 규모의 경제를 통하여 가계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확대가족을 유지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노인이 질병과 빈곤에 적응하는 방식에 있어 인종간 차이를 검토함으로써 기존의 경제학적 논의와 문화적 논의의 적합성을 검정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노인의 거주지 적응에 대한 문화적 영향과 관련하여 두가지 가설을 검정하고 있다. 첫째, 소수인종 노인은 백인노인에 비하여 빈곤과 질병상황에서 가족으로부터 더 오랜기간 보호를 받는지를 검토한다. 둘째, 소수인종 노인은 백인노인에 비하여 건강이 악화될 때 더욱 신속하게 가족으로부터 보호를 받을 수 있는지를 검토한다. 분석을 위해서 1984년에서 1990년기간 동안 실시된 “고령화에 대한 종단적 조사(Longitudinal Survey on Aging)”를 이용하여 마르코비안 다중생명표 모형과 사건사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소수인종 노인은 가족부양규범의 문화적 이점을 그다지 크게 가지고 있지 않다. 인종간 사망력과 시설업소의 차이를 통제할 때, 소수인종 노인은 백인노인에 비하여 보다 흔하게 자녀동거에서 단독거주형태로 혹은 그 반대방향으로 거주지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백인노인은 소수인종노인에 비하여 질병상태와 관련하여 자녀와 동거하는 경향이 더 강하다. 사망력과 시설입소의 인종간 차이를 통제할 때 소수인종노인이 백인노인보다 쉽게 자녀 동거에서 단독거주로 이행하는데 이는 소수인종에서 가족부양체계가 불안정함을 의미한다. 또한 빈곤시에 소수인종 노인은 백인노인에 비하여 보다 쉽게 자녀와 떨어져 살게 된다. 이러한 결과는 소수인종 노인에 대한 가족의 지원은 그 가족의 경제적 제약속에서 매우 안정적이지 못함을 시사한다. Race and ethnicity are important factors which influence the elderly's residential adjustment behaviors, although it is unclear whether this reflects influences unrelated to race and ethnicity. Culturally, the norm of family support often observed among various minority ethnic groups is likely to provide flexible family support for the elderly. Economically, the life-long hardship of minority groups is likely to force them to maintain extended family living arrangements simply to reduce expenses via economies of scale. The controversy about the economic need versus the cultural prescription for extended living arrangements remains unresolved because it fails to articulate the meaning of family supports among many disadvantaged groups. This study aims to test previous economic and cultural arguments, by examining ethnic differences in the elderly’s responsiveness to their health and economic problems. Two hypotheses about cultural influences on the elderly’s residential adjustment are examined. First, do elderly minorities receive family supports for longer periods when they are poor in economic and health status? Second, do elderly minorities receive family supports more often when their health status declines? Using the Longitudinal Survey on Aging from 1984 to 1990. this study employs Markovian multi-state life tables, and discrete and continuous competing hazard analyses for the transition in living arrangements. The main results provide substantial evidence against the "cultural resource" thesis. Elderly minorities experience more frequent transitions between living alone and living with relatives than white elderly persons when group differences in the extent of mortality and institutionalization are controlled. The shorter time of living alone among elderly minorities stems from their greater likelihood of joining relatives as well as greater mortality and attrition rates than elderly whites. Coresidence of elderly whites with their relatives is more likely to occur in response to their needs for health care than that of elderly minorities. Poverty also forces elderly minorities to move to live alone more than elderly whites. It implies that instability, not flexibility, characterizes elderly minorities' living arrang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