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지역축제브랜드가 지역이미지 및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

        정은정 ( Eun Jung Jung ),김창수 ( Chang Soo Kim ) 관광경영학회 2012 관광경영연구 Vol.5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 effect of local festivals` brand on the regional image and development. The literature and empirical studies were done togeth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literature study composed factors based on the precedent studies about local festivals` brand, the regional image and the regional development and set research models and research hypotheses. In the empirical study, the survey was intended for visitors of Muju Firefly Festival by developing the questionnaire based on the factors which were drawn based on the literature study and frequency analysis, factori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using SPSS 18.0 Statistical Package for data analysis. The main analytical results of this study are examined as follow. The effect relationship of the local festivals` brand on the regional image was analyzed that the festival`s contents and convenience have the significant effect on the regional image. The effect relationship of the regional image on the regional development was analyzed that the regional images have the significant effect on th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and tourist effects. Third, the effect relationship of the regional festival`s brand on the regional development was analyzed that the festival`s contents, convenience, preference have the significant effect on the economic effects and its convenience, uniqueness have the significant effect on the social and cultural and tourist effects.

      • KCI등재

        전략적 인적자원개발 측정을 위한 구성요인 탐색 및 문항 개발

        정은정 ( Eun Jung Jung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4 HRD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전략적 인적자원개발을 측정하기 위한 구성요인을 탐색하고 문항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초점집단 면담을 진행하여 전략적 인적자원개발의 구성요인 및 문항에 대한 구체적 내용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전략적 인적자원개발을 구성하는 상위 요인으로 SHRD 지원 환경과 SHRD 실천 활동이 탐색되었다. SHRD 지원 환경에 대한 하위 구성 요인으로 비전·목표 이해 및 설정, 내·외부 환경분석을 통한 전략수립, 전략실행 지원 시스템 구축, 경영진의 HRD 지원, 개방적·수평적 조직문화가 도출되고, SHRD 실천 활동 하위 요인으로는 전략과 연계된 HRD, 현장 성과 지향, 변화에 대한 동기부여, HRM과 연계, 전략적 파트너십 형성, 경력개발 및 성장 지원의 요인이 규명되었다. 초점집단면담에서 도출된 구성요인별 세부 내용을 토대로 문항을 개발하고 전문가들로부터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70개의 초기 문항이 개발되었고,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11개 요인에 대한 60개 문항을 확정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nstructs of strategic human resource development (SHRD) and then to develop valid scale items. The literature on SHRD was reviewed to analyze the constructs of strategic human resource development. As a result, SHRD organizational supportive environment, SHRD execution activities are established as representative constructs to constitute SHRD. Then after, focus group interview was applied to examine the subordinate constructs. 11 subordinate constructs and 70 scale items are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focus group interview. To develop valid items, content validity is analysed and 60 items of SHRD constucts are settled. Futher sugges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HRD 담당자의 전략적 인적자원개발 역할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은정 ( Jung Eun Jung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4 HRD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HRD 담당자의 전략적 인적자원개발 역할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HRD 담당자의 SHRD 역할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직무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HRD 담당자의 SHRD 역할 측정도구 개발을 위하여 혼합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문헌연구 결과를 토대로 HRD 담당자의 SHRD 역할로 HRD 전문가, 전략적 파트너, 변화촉진자를 도출하였고, 초점집단면담을 통해 측정문항을 개발하였다. 전문가 검토를 진행하여 문항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측정도구에 대한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HRD 담당자의 전략적 인적자원개발 역할이 과제성과 및 맥락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HRD 전문가와 변화촉진자 역할이 과제성과 및 맥락성과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략적 파트너 역할은 과제성과 및 맥락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plore whether strategic human resource development roles of HRD practitioners have positive impact on job performance. To do this, mixed methodology is applied to develop the scale of strategic human resource development roles of HRD practitioners and measure the effect on job performance. Firstly, HRD professional, strategic partner, change facilitatior roles are identified as the strategic human resource development roles of HRD practitioners through the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Secondly, the items of the scale are developed as the result of focus group interview. Thirdly, content validation is progressed by the review of HRD professionals. Fourthly, construct validation is examined as the survey result. Finally, the impact of strategic human resource development roles of HRD practitioners on job performance is investigated. HRD professional and change facilitator roles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task performance and contextual performance. However, strategic partner role is not related to task performance and contextual performance.

      • KCI등재

        경영전략 실행 관점에서 전략적 인적자원개발의 역할 탐색

        정은정 ( Eun Jung Jung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3 HRD연구 Vol.15 No.3

        전략적 인적자원개발은 인적자원개발이 전량경영 차원에서 실행됨으로써 조직의 전략적 목표 달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어 왔다. 그러나 전략적 인적자원개발이 어떠한 구체적 역할을 통해 전략경영에 기여할지에 대한 논의는 미흡한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경영전략 실행 관점에서 전략적 인적자원개발의 역할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를 토대로 전략적 인적자원개발의 역할을 규명하고 각 역할별 하위 역할을 탐색하였다. 먼저 경영전략 실행에서 인적자원의 질이 핵심 성공 요인으로 간주된다는 점에서 경영전략 실행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전략적 인적자원개발의 개념을 고찰하여 전략적 인적자원개발의 주요 역할을 전략적 역량관리·성과관리·변화관리로 상정하였다. 전략실행 및 인적자원개발의 추가적인 문헌분석을 통해 경영전략 실행 관점에서 각 역할별 하위 역할을 도출하고 이를 제시하였다. 더불어 이들 역할에 기반한 전략적 인적자원개발의 개념적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를 토대로 전략적 인적자원개발의 역할에 대한 학문적·실천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lthough strategic human resource development has been cited as the important function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e results of researches of strategic human resource development have not been developed in its full extent. This article diagnoses one of the reasons of this problem as not being explored the concrete role of strategic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strategic management. Because strategic human resource development is a stressed concept linking human resource development with strategic management. Accordingly, this article explores the role of strategic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strategic management, specifically, strategic implementation. The process of strategic management includes strategic planning and strategic implementation. Human resource is regarded as a key success factor of strategic implementation. In this point of view, exploring the role of strategic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strategic implementation is regarded as suitable way to suggest the definite role of strategic human resource development. To achieve this, literature of strategic implementation and strategic human resource development are analyzed. As the result of analysis of literature, three roles of strategic human resource development - strategic competency management, strategic change management, strategic performance management - and sub roles are suggested. Academic and practical suggestions are mad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articl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경기지역 일부 대학생에서 나트륨의 주요 기여 음식과 변이 음식

        정은정(Eun-Jung Chung),유하(Ha-Jung Ryu),심유진(Eugene Sh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3

        본 연구에서는 경기지역 대학생 228명(남 71명, 여 157명)을 대상으로 음식빈도조사지(DFQ-125)를 이용하여 나트륨 섭취량을 조사하고 음식(군)별 나트륨 섭취량, 나트륨의 급원 및 변이 음식을 분석하였다. 남학생은 식사와 함께 섭취하는 국류(P<0.05), 어패류 반찬(P<0.05), 고기류(P<0.05), 콩류(P<0.05)에서 여학생보다 더 많은 나트륨을 섭취하고 있었다. 나트륨의 급원 음식 1, 2위는 남녀 모두 배추김치와 라면류였고 찌개/탕류 중에는 김치찌개가 급원 음식 순위 1위로 동일하였으나, 남학생은 라면으로부터 섭취하는 나트륨의 양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여학생은 남학생과 달리 스낵과자가 급원 음식 중 5위로 높은 순위에 속하였다. 또한 급원 음식 20위 내에 국 종류가 속하지 않은 여학생과 달리 남학생에서는 고염군이 좋아하는 음식으로 알려진 국, 볶음이나 튀김음식이 포함되어 있었다. 남녀 모두에서 고염군은 저염군보다 김치류 및 김치를 이용한 음식, 국물음식 및 자반고등어 조림으로부터 많은 나트륨을 섭취하고 있었다. 개인의 나트륨 섭취량에 큰 영향을 주는 음식인 변이 음식의 종류와 순위는 남녀 간 큰 차이가 있었는데, 남학생의 경우 갈비탕> 생선(참치)통조림> 라면류> 순대+쌈장 순이었고 여학생의 경우 순대+소금> 닭볶음탕>, 된장찌개> 배추김치> 피자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변이 음식 1위는 남학생에서 갈비탕, 여학생에서 순대+소금이었는데 이들은 모두 기호에 따라 식탁에서 소금을 추가하는 음식으로, 대국민 저염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미 간이 맞춰진 음식에 소금을 더 첨가하지 않도록 하는 실천지침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총나트륨 섭취량, 체질량지수, 수축기혈압이 모두 높았으며 음료수류 섭취량(P<0.01)은 물론 음료수로부터 얻는 나트륨의 양도 많은 것으로 나타나 (P<0.01) 성별에 따라 나트륨 섭취량 및 음료수 섭취량과 혈압, 비만 간의 상호 관련성을 밝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추가로 효과적인 나트륨 저감 전략을 위해서는 나트륨과 혈압 간의 상관관계 연구로 대상자별 급원 음식뿐 아니라 변이 음식에 대한 조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etary sodium sources at the dish level in 228 university students (71 men, 157 women) in Gyeonggi-do. Daily sodium intake was estimated from a validated 125-dish frequency questionnaire. In men, body mass index, systolic blood pressure, and sodium intak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women. Men showed higher sodium intake from soups, fish or shellfish dishes, meat dishes, and soybean dishes than women. The dishes that most largely contributed to daily sodium intake were Napa cabbage kimchi and ramen in both men and women. In addition, relatively higher amounts of sodium from ramen were consumed in men, whereas cookies were the 5th highest sodium source in women. In both men and women, the high sodium intake groups consumed more sodium from kimchi, dishes cooked with kimchi, dishes with broth, and salted mackerel than the low sodium intake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jor dishes contributing to between-person sodium intake variations between men and women. Short rib soup for men and Korean sausage for women were the largest contributors to sodium variations, which are common dishes served with salt. Men consumed more drinks and also more sodium from drinks than women. In conclus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jor dishes contributing to absolute and between-person sodium intake variations in university students between men and women. Further studies on effects of gender on blood pressure, sodium and drink intake, and obesity are necessary.

      • KCI등재

        일부 초등학교 5,6학년생의 채소 선호도와 영양지식 및 건강관련 요인과의 관련성

        정은정 ( Eun Jung Chung ),이수현 ( Soo Hyun Lee ),안홍석 ( Hong Seok Ahn ) 대한영양사협회 2009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Vol.15 No.2

        With recent increases in demand for women`s social participation, children have tended to favor western-style foods and dislike vegetables (Ve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dietary behavior and Veg. intake in 612 elementary school children (339 boys; 273 girls) in Gyeonggi-do. 66.5% of the subjects reported that they liked Veg. The most frequent reason given for this preference in Veg. liking group was that vegetables were `delicious` (35.6%), followed by `nutritious` and `frequent intake`. The most frequent reason given for disliking Veg. in the Veg. disliking group was that vegetables are `not delicious` (94.6%). Approximately half of the subjects had correct knowledge about vegetables. The total score of general nutrition knowledge was 7.7 points (a perfect score is 10 points) and the majority of students generally had good dietary behaviors. The Veg. liking group scored higher on knowledge about Veg., general nutritional knowledge, dietary behavior, and Veg. preference than did the members of the Veg. disliking group (p<0.001). The ‘active’ group had the highest score for dietary behavior (p<0.001), and the scores for dietary behavior and Veg. preference increased with increasing self-rated health status (p<0.001). The score of normal BMI group for nutritional knowledge about Veg. was higher than that of the underweight group (p<0.05). The higher self-rated academic score group showed higher on knowledge about Veg., general nutrition knowledge, dietary behavior (p<0.001) and Veg. preference (p<0.05). Dietary behavior and preference of Veg.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nutritional knowledge. To improve health by increasing Veg. intake, education about the nutritional importance of Veg. should be needed, and continuous nutritional education is recommended to foster good food habits and Veg. preferences in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