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Versailles Project on Advanced Materials and Standards Interlaboratory Study on Measuring the Thickness and Chemistry of Nanoparticle Coatings Using XPS and LEIS

        Belsey, Natalie A.,Cant, David J. H.,Minelli, Caterina,Araujo, Joyce R.,Bock, Bernd,Brü,ner, Philipp,Castner, David G.,Ceccone, Giacomo,Counsell, Jonathan D. P.,Dietrich, Paul M.,Engelhard, Mark American Chemical Society 2016 The Journal of Physical Chemistry Part C Vol.120 No.42

        <P>We report the results of a Versailles Project on Advanced Materials and Standards (VAMAS) interlaboratory study on the measurement of the shell thickness and chemistry of nanoparticle coatings. Peptide-coated gold particles were supplied to laboratories in two forms: a colloidal suspension in pure water and particles dried onto a silicon wafer. Participants prepared and analyzed these samples using either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or low energy ion scattering (LEIS). Careful data analysis revealed some significant sources of discrepancy, particularly for XPS. Degradation during transportation, storage, or sample preparation resulted in a variability in thickness of 53%. The calculation method chosen by XPS participants contributed a variability of 67%. However, variability of 12% was achieved for the samples deposited using a single method and by choosing photoelectron peaks that were not adversely affected by instrumental transmission effects. The study identified a need for more consistency in instrumental transmission functions and relative sensitivity factors since this contributed a variability of 33%. The results from the LEIS participants were more consistent, with variability of less than 10% in thickness, and this is mostly due to a common method of data analysis. The calculation was performed using a model developed for uniform, flat films, and some participants employed a correction factor to account for the sample geometry, which appears warranted based upon a simulation of LEIS data from one of the participants and comparison to the XPS results.</P>

      • 1991學年度 新入生 人性檢査(MMPI) 結果報告書

        學生生活硏究所 相談部 東亞大學校 學生生活硏究所 1992 學生硏究 Vol.20 No.-

        본 보고서는 1991학년도 본교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성검사(MMPI) 결과에 관한 것이다. 검사의 대상은 전체 신입생의 89.44%에 해당하는 3,855명이었으며 1991년 3월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기간에 검사가 실시되었다. 이 검사의 결과에 의하면 본교 신입생들의 인성특징은 전국학생 규준집단에 비해 다소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적응곤란 예상학생의 비율은 전국 대학교 기준인 10~20%수준의 평균에 해당하는 16.9%였으나 전체적으로 예년과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본교 신입생들은 일반적으로 전국의 다른 대학교의 학생들과도 비슷한 인성적 특징을 갖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적응곤란 예상학생들을 단과대학별로 비교했을 때 각 단과대학별로 다소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제유형에 해당하는 학생들은 전체 신입생의 3.50%에 해당하는 135명이었는데 이들이 해당하는 문제유형은 17가지 중에서 10가지였다. 이미 서두에서 밝혔듯이 본교에서는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MMPI를 전년도에 이어 금년에 네번째로 실시하였다. 그래서 금년의 결과 보고서를 전년도와 비교할 뿐 아니라 본교 신입생들의 검사결과를 다른 대학들과 비교해 보았다. 이러한 비교를 통하여 금년 신입생들이 전반적으로 예년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본교 신입생들이 다른 대학교의 학생들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는 점이 밝혀졌는데. 이것은 본교 학생들을 객관적으로 이해하는데 나름대로 좋은 시사점이 될 것 같다. 그리고 현재까지 5회 실시된 본 검사를 매년 실시함으로써 각 년도별 계속적인 비교가 가능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인성검사의 목적은 신입생들의 인성특성과 적응의 문제를 이해하며 학생지도에 필요한 시사점을 얻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여기서 밝혀진 검사결과는 귀중한 자료가 될 것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학생생활연구소에서는 검사결과에서 밝혀진 적응곤란 예상학생들에 대한 실질적인 지도 대책의 일환으로 예년과 마찬가지로 그들에게 개별상담을 실시하였는데, 비록 전체 해당 학생들을 모두 상담하지는 못했으나 상담의 효과는 매우 큰 것으로 판명이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별상담에 응하지 않았던 학생들도 많고 또 문제의 정도가 매우 심각한 학생들도 여전히 남아 있으므로 이들은 다른 경로를 통해 보다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줄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적응곤란 예상학생들이 대학생활을 통하여 보다 적응된 삶을 살아나갈 수 있게 된다면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한 인성검사는 본연의 목적을 어느 정도 달성하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1986學年度 新入生 心理檢査 結果 報告書

        學生生活硏究所 相談部 東亞大學校 學生生活硏究所 1986 學生硏究 Vol.15 No.-

        본 보고서에서는 1986학년도 신입생의 심리정사 결과를 기술척도와 임상척도의 두가지로 나누어서 설명하고자 하는데, 여기에서 기술척도란 9개의 성격특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개개인의 비교적 항성적인 성격특성을 진단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비해 임상척도는 정신병리적 증후를 개락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5가지의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어떤 기술척도(특성척도) 또는 임상척도(경향척도)에서 백분위 점수로 25%ile 이하이면 그러한 성격특성 또는 경향이 낮은 편이고 50-70%ile 사이에 있으면 정상범위(normal range)내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75%ile 이상이면 높은 정도에 해당된다고 해석된다.

      • 1990學年度 新入生 人性檢査(MMPI) 結果報告書

        學生生活硏究所 相談部 東亞大學校 學生生活硏究所 1991 學生硏究 Vol.19 No.-

        본 보고서는 1990학년도 본교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성검사(MMPI) 결과에 관한 것이다. 검사의 대상은 전체 신입생의 90.07%에 해당하는 3,882명이었으며 1990년 3월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기간에 검사가 실시되었다. 이 검사의 결과에 의하면 본교 신입생들의 인성특징은 전국학생 규준집단에 비해 다소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적응곤란 예상학생의 비율은 전국 다른 대학의 10~20%수준에 해당하는 16.2%였으나 전체적으로 예년과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본교 신입생들은 일반적으로 전국의 다른 대학교의 학생들과도 비슷한 인성적 특징을 갖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적응곤란 예상학생들을 단과대학별로 비교했을 때 각 단과대학별로 다소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제유형에 해당하는 학생들은 전체 신입생의 3.01%에 해당하는 117명이었는데 이들이 해당하는 문제유형은 17가지 중에서 10가지였다. 이미 서두에서 밝혔듯이 본교에서는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MMPI를 전년도에 이어 금년에 네번째로 실시하였다. 그래서 금년의 결과 보고서를 전년도와 비교할 뿐 아니라 본교 신입생들의 검사결과를 다른 대학들과 비교해 보았다. 이러한 비교를 통하여 금년 신입생들이 전반적으로 예년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본교 신입생들이 다른 대학교의 학생들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는 점이 밝혀졌는데. 이것은 본교 학생들을 객관적으로 이해하는데 나름대로 좋은 시사점이 될 것 같다. 그리고 현재까지 4회 실시된 본 검사를 매년 실시함으로써 각 년도별 계속적인 비교가 가능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인성검사의 목적은 신입생들의 인성특성과 적응의 문제를 이해하며 학생지도에 필요한 시사점을 얻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여기서 밝혀진 검사결과는 귀중한 자료가 될 것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학생생활연구소에서는 검사결과에서 밝혀진 적응곤란 예상학생들에 대한 실질적인 지도 대책의 일환으로 예년과 마찬가지로 그들에게 개별상담을 실시하였는데, 비록 전체 해당 학생들을 모두 상담하지는 못했으나 상담의 효과는 매우 큰 것으로 판명이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별상담에 응하지 않았던 학생들도 많고 또 문제의 정도가 매우 심각한 학생들도 여전히 남아 있으므로 이들은 다른 경로를 통해 보다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줄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적응곤란 예상학생들이 대학생활을 통하여 보다 적응된 삶을 살아나갈 수 있게 된다면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한 인성검사는 본연의 목적을 어느 정도 달성하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