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 Study on Native Language and Teachers in English Language Classrooms in South Korea

        Casey Gerard McKeever 부산외국어대학교 외국어연구소 2015 외국어연구 Vol.28 No.-

        <Abstract> A Study on Native Language and Teachers in English Language Classrooms in South Korea Casey Gerard McKeev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ttitude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towards their native language and English language teachers, both of which have been important factors in recent Korean government policy. To accomplish this,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a survey and their answers were then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alyzed. These participants were selected in particular because they were studying to become teachers in public elementary schools, and approximately half of them were studying to become English language teachers. Regardless of their course of study, many of the participants’ attitudes reflect the some of the ideals that studies have shown to be deeply rooted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both in Korea and worldwide. Amongst a majority of the students there remains bias in favor of native English speaker teachers and against non-native speaker teachers. This is especially disconcerting since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in this study are training to be English teachers themselves. Furthermore, many of the students show a disregard for the usefulness of their native tongue as a second language learning resource. Current research, however, details numerous advantages of using students’ first language in second language teaching. The responses of students who were studying to become English teachers indicated more favorability towards the native language as a resource. This suggests that along with effective government policy, education is necessary to counter the immense influence of colonial ideologies and globalization on English language teaching. Recent studies have linked Korea’s active response to globalization to the immersion-style practices that are detrimental to the Korean language, Korean teachers of English, and the socioeconomic status of Korean families. Key words: Native language, English Language Classrooms, Students' attitudes, English Language teachers, Socioeconomic status 한국의 영어교육을 위한 모국어와 언어교사에 관한 연구 1)믹키버 케이시 저라드* 연구의 목적은 한국 대학생들의 모국어에 대한 태도와, 영어교사 에 대한 태도를 밝히는 데 있다. 그리고 이 두 가지는 최근 한국 정부 정책에서 중요한 요인이 되어 왔다. 이 연구를 위해 학생들이 설문조 사에 참여했고, 그들의 응답은 양적, 질적으로 분석되었다. 이 참가자 들은 특히 국 ․ 공립 초등학교의 교사가 되기 위해 공부하고 있는 교 육대학의 학생들로 선택 되어졌고, 그 절반이상이 영어교사가 되기 위한 학생들이었다. 그들의 전공교육과목과 상관없이, 참가한 많은 학생들의 태도에서도 그 동안의 몇몇 연구된 내용들을 뒷받침하고 있고, 그 연구들은 한국을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깊이 뿌리박혀있 는 어떤 확실한 생각들을 보여준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한국인 교사 보다 원어민 교사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것은 특히 절반이상 의 응답자가 그들 스스로 영어교사가 되기 위해 공부하고 있는 학생 인 점을 감안하면 당혹스럽다. 게다가 많은 학생들은 그들의 외국어 습득 수단으로서의 모국어의 유용성을 간과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 에서는 외국어에 대한 교육에 있어서, 모국어 사용의 많은 이점들을 상세하게 묘사하고 있다. 영어교사가 되기 위해 공부하고 있는 학생 들의 응답에서는, 자원으로서 모국어에 대한 더 많은 호감도를 나타 낸다. 이 학생들의 반응은, 효과적인 정부정책과 더불어, 영어 교육에 있어서 식민이념과 세계화의 거대한 영향에서 탈피할 필요가 있음을 암시한다. 최근의 연구들은, 한국의 세계화에 대한 적극적인 반응을 한국어, 한국인 영어교사, 한국 가족의 사회 경제적 지위에 대해 해 로운 몰입식 습관과 연관짓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