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배드민턴 동호인의 운동경력에 따른 근력, 골밀도, 근육량 및 자세관련 변인에 미치는 영향

        성순창(SoonChangSung),최윤진(YounJinChoi),김승환(SeungHwanKim),이만균(ManGyoonLee) 한국체육학회 2011 한국체육학회지 Vol.5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배드민턴 동호인의 운동경력에 따른 근력, 골밀도, 근육량, 그리고 자세관련 변인의 차이를 규명하는 것이었다. 생활체육 배드민턴 동호인 활동에 참여하는 24~57세의 남녀 87명을 운동경력에 따라 세 집단(통제 집단, 1~3년 집단, 4~7년 집단)으로 구분한 후 악력, 골밀도, 근육량, 그리고 척추와 골반의 형태를 집단 간에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통제 집단은 악력의 좌우측 차이가 다른 두 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2) 상지 골밀도의 좌우측 차이와 하지 골밀도의 좌우측 차이가 4~7년 집단, 1~3년 집단, 그리고 통제 집단 순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상지 근육량의 좌우측 차이, 하지 근육량, 그리고 하지 근육량의 좌우측 차이에서 4~7년 집단과 1~3년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4) 4~7년 집단의 골반 기울기 길이가 다른 두 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길게 나타났고, 통제 집단의 척추 측만곡이 다른 두 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규칙적인 배드민턴 참여에 따라 하지 골밀도와 근육량이 증가되는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지만, 반면 운동경력이 증가할수록 악력의 좌우측 차이, 상·하지 골밀도의 좌우측 차이, 상·하지 근육량의 좌우측 차이가 커지고, 골반 기울기 길이와 척추 측만곡이 증가되어 결과적으로 자세에 부정적인 영향이 나타나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따라서 생활체육으로서 배드민턴 동호인 활동에 참여하는 경우 바른 체형 교정을 위한 보조운동을 적극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e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muscular strength, bone mineral density (BMD), lean body mass (LBM), and posture-related variables by exercise career of 87 badminton club members, aged 24-57.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i.e., control group, 1-3 yrs group, and 4-7 yrs group, according to badminton career. Dependent variables were measured and compared among three groups.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Difference in grip strength between right and left was significantly lower in control group than other two groups. 2) Differences in BMD between right and left of upper and lower extremities were highest in 4-7 yrs group and lowest in control group. 3) Differences in LBM between right and left of upper and lower extremit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4-7 yrs group and 1-3 yrs group than control group. 4) Pelvic til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4-7 yrs group than other two groups. Lateral deviation of vertebra was significantly lower in control group than other two groups. It was concluded that positive effects such as increment of BMD and LBM were shown by long-term and regular participation to badminton; however, negative effects such as unbalance in posture were shown by the participation to badminton. Therefore, corrective exercise for posture should be performed by badminton club members.

      • KCI등재

        자연과학편 : 노인여성의 넘어진 경험이 활동체력, 등속성 각근력 및 평형성에 미치는 영향

        성순창(SoonChangSung),강창균(ChangGyunKang),이만균(ManGyoonLee) 한국체육학회 2007 한국체육학회지 Vol.46 No.3

        노인은 시선 조절능력이 저하되고 자세가 불안정해짐에 따라 평형조절 능력이 약화되어 낙상의 위험이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낙상의 원인에 대한 예방책을 수립하는 것이 매우 시급하다는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과학적인 검사 장비를 이용하여 넘어짐 유 · 무경험자의 활동체력, 등속성 각근력, 좌우측의 근력의 비율, 평형성 검사를 통해 낙상 관련 체력 인자를 밝히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65~80세의 노인여성 40명으로 측정 전 설문 조사를 통해 넘어진 경험자와 미경험자 각각 20명으로 구성하였다. 체격(신장, 체중, BM), 신체 구성(체지방률, 체지방량, 제지방랑), 등속성 근기능, 평형성, 그리고 활동체력 11개 항목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넘어짐 경험 유 · 무에 따른 활동체력은 의자앉아일어서기, 발민첩성, 10m보행, 그리고 상완 굴신력에서 넘어짐 경험자 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등속성 각근력은 모든 항목에 있어서 넘어짐 경험자 집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형성은 동적 평형성을 측정하는 항목인 오른발 올라서기와 왼발 올라서기에서 넘어짐 경험자 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넘어짐 경험자는 하지 근지구력의 약화, 보행능력의 저하, 동적 평형성의 감소를 초래하여 낙상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노인여성의 낙상을 예방하기 위한 운동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lling experience on physical fitness, isokinetic leg strength, and balance in the elderly women utilizing new instruments with high validity to measure muscle strength and balance in the lower extremities. Forty elderly women were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s subjects.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i.e., falling experienced group(FG: n=20) and non-falling experienced group(NFG: n=20). Variables related to physique, body composition, isokinetic leg strength physical fitness, and balance were measured and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in up and down on the chair, leg agility, 10m walk, and flexion of upper arm were significantly lower in FG than NFG. All values in isokinetic leg strength were significantly lower in FG than NFG. In addition, FG showed significantly lower dynamic balance compared to NFG. It was concluded that decline in muscle strength and dynamic balance of lower extremities would be critical factors to cause falling in the elderly.

      • KCI등재

        자연과학편 : 유산소운동 트레이닝의 강도가 비만 중년여성의 신체구성, 과산화지질 및 항산화 효소에 미치는 영향

        성순창(SoonChangSung),김승환(SeungHwanKim),이만균(ManGyoonLee) 한국체육학회 2011 한국체육학회지 Vol.5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산소운동 트레이닝의 강도가 비만 중년여성의 신체구성, 과산화지질, 그리고 항산화 효소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고강도 트레이닝 집단(7명)은 VO<sub>2</sub>max의 70%로 일회 42.87분간, 저강도 트레이닝 집단(7명)은 VO<sub>2</sub>max의 50%로 일회 72.88분간, 주 3~5회, 14주간 유산소운동 트레이닝을 실시하였고, 통제 집단(7명)은 동일한 처치기간 동안 일상생활을 유지하였다. 처치 전과 후에 종속변인을 측정하여 집단 간, 그리고 검사 간에 비교하여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강도 트레이닝 집단의 체중, BMI, 그리고 체지방량이 유의하게 감소된 반면, 저강도 트레이닝 집단의 경우 관련된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2) MDA는 고강도 트레이닝 집단과 저강도 트레이닝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3) GPx의 활성도는 모든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SOD는 고강도 트레이닝 집단과 저강도 트레이닝 집단에서만 유의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CAT는 고강도 트레이닝 집단에서만 유의하게 증가된 반면, 저강도 트레이닝 집단과 통제 집단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에서 기술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유산소운동 트레이닝에 의하여 강도에 관계없이 MDA가 감소되고 SOD가 증가되었지만, 고강도 트레이닝 집단에서만 체지방이 감소되고 CAT 활성도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나 고강도 트레이닝이 저강도 트레이닝에 비하여 비만의 해소와 항산화 시스템의 강화에 보다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nsity of 14 weeks of aerobic exercise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concentration of malondialdehyde(MDA) and activation of antioxidant enzymes in middle aged women. Twenty-one inactive healthy obese females (mean BMI=26.7), aged 30-49, were divided into one of three groups, i.e., high intensity training group (HTG: jogging at 70%VO<sub>2</sub>max, n=7), low intensity training group (LTG: walking at 50%VO<sub>2</sub>max, n=7), and control group (CON, n=7). Equal amount of exercise was given to both training groups. Repeated two-way ANOVA and proper post hoc test were performed to find difference of means between two tests and among three groups. Mai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Weight, BMI, and fat mass (P<.05)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HTG, but not in LTG and CON. 2) The concentration of MDA significantly decreased in HTG and LTG, but not in CON. 3) Glutathione peroxidase (GPx)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in all groups. Superoxide dismutase (SOD) increased significantly in HTG and LTG, but not in CON. Catalase (CAT) increased significantly in HTG, but not in LTG and CON. It was concluded that high intensity exercise training had greater antioxidant effects compared to low intensity exercise training.

      • KCI등재

        자연과학편 : 성인 남녀의 에너지소비량 추정을 위한 신개발 운동량 모니터계의 타당도 검증

        안중민(JoongMinAn),이만균(ManGyoonLee),성순창(SoonChangSung) 한국체육학회 2011 한국체육학회지 Vol.50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가속도계에 비하여 실용성을 강조하여 최근 국내 기술로 새롭게 개발된 운동량 모니터계의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인 47명의 대학생(남자 24명과 여자 23명)이 타당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진 호흡가스분석기의 일종인 Vmax229와 연결하고, Lifecorder와 운동량 모니터계를 착용한 상태로 트레드밀에서 저강도(4.8 km/hr), 중강도(6.4 km/hr), 그리고 고강도(9.7 km/hr)로 각각 6분간 운동을 실시하였다. 세 측정장비로 측정한 에너지소비량을 남녀로 구분하여 비교·분석하였다. 1) 남자의 경우 6.4 km/hr에서 운동량 모니터계, 9.7 km/hr에서 Lifecorder, 여자의 경우 4.8 km/hr에서 운동량 모니터계와 Lifecorder가 Vmax229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전체의 경우 Vmax229와 비교하여 볼 때 4.8 km/hr에서 운동량 모니터계는 낮게, Lifecorder는 높게, 그리고 6.4 km/hr에서는 운동량 모니터계에서 낮게 나타났다. 2) 운동강도별로 분석한 결과 세 가지 측정장비로 얻은 에너지소비량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전체 강도를 포함하여 분석한 결과 역시 세 측정장비의 에너지소비량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특히, 신개발 운동량 모니터계가 Lifecorder에 비하여 Vmax229와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운동량 모니터계의 타당도가 확보되었으며, 향후 보다 다양한 운동유형과 강도를 적용하여 보다 넓은 연령층을 대상으로 그 타당도를 검증하는 연구가 요청된다. Validity evidence of a newly developed activity monitor to predict energy expenditure was determined in this study. Forty-seven collegiate students (24 males and 23 females) walked or ran on a treadmill at three intensities, i.e., 4.8 km/hr, 6.4 km/hr, and 9.7 km/hr, for six minutes for each intensity with connection to Vmax229, a kind of gas analyzer, as well as wearing Lifecorder and the activity monitor on their waist. Energy expenditure measured or predicted by the three instruments were compared.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Energy expenditure in the activity monitor at 4.8 and 6.4 km/hr showed significantly lower than Vmax229, energy expenditure in Lifecorder at 4.8km/hr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Vmax229. 2)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energy expenditure among three instruments. Especially, the activity monitor showed higher correlation with Vmax229 than the correlation Lifecorder showed with Vmax229. It was concluded that the validity of the activity monitor was high enough to use. Research investigating the validity of the activity monitor including more various modes of exercise, intensities, and subjects of other ages and fitness levels would be warranted.

      • KCI등재

        중추신경계발달 재활운동이 편마비 환자의 시ㆍ공간적 보행요소와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오동건(DongGunOh),성순창(SoonChangSung),이만균(ManGyoonLee) 한국체육학회 2013 한국체육학회지 Vol.5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중추신경계발달 재활운동과 일반 재활운동이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보행능력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중추신경계발달 재활운동집단(9명)과 일반 재활운동집단(9명)의 대상자에게 일일 2회, 각 30분씩, 주 5일, 그리고 4주간 해당 운동을 처치하였고, 처치 전ㆍ후에 시ㆍ공간적 보행요소와 균형능력을 측정하여 집단 간, 그리고 검사 간에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비마비측 보장시간, 마비측 보장, 비마비측과 마비측 활보장, 그리고 마비측 보장/하지장 비율에서 검사의 주효과가 나타났고, 중추신경계발달 재활운동집단의 비마비측 보장시간, 마비측 보장, 그리고 마비측 보장/하지장 비율에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FAP 점수에서 집단과 검사의 상호작용이 유의하게 나타났고, 중추신경계발달 재활운동집단은 증가한 반면, 일반 재활운동집단은 감소하였다. 2) 균형능력관련 변인 중 X축 동요지수와 총 동요지수에서 눈을 뜬 상태와 감은 상태 모두 집단과 검사의 상호작용이 유의하게 나타났고, 모든 변인에서 검사의 주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중추신경계발달 재활운동집단의 경우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난 반면, 일반 재활운동집단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보행능력과 균형능력의 향상을 위하여 중추신경계발달 재활운동이 일반 재활운동보다 더 효과적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rapeutic exercise for CNS-development and general therapeutic exercise on temporal-spatial gait parameters and balance ability in hemiplegic stroke patients. Subjects in therapeutic exercise for CNS-development group (CNS group; n=9) and general therapeutic exercise group (GEN group; n=9) exercised their assigned exercise for 30 min/session, two sessions/day, five days/wk, for four weeks. Temporal-spatial gait parameters and variables related to balance ability were measured and compared between two groups and between pre- and post-test. Mai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of test in step time at non-paraplegic side, step length at paraplegic side, stride length at both sides, and step/extremity ratio at paraplegic side. Step time at non-paraplegic side, step length at paraplegic side, and step/extremity ratio at paraplegic side changed significantly in CNS group. Functional ambulation profile (FAP) score increased in CNS group, whereas it decreased in GEN group, resulting in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test. 2) All sways related to balance ability decreased significantly in CNS group, where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sways was found in GEN group. It was concluded that the therapeutic exercise for CNS-development was more beneficial for improving gait ability and balance ability than general therapeutic exercise in hemiplegic stroke patients.

      • KCI등재

        자연과학편 : 8주간의 카이로프랙틱과 PNF 운동 복합처치가 전방머리자세 환자의 통증자각도와 자율신경기능에 미치는 영향

        오동건(DongGunOh),성순창(SoonChangSung),이만균(ManGyoonLee) 한국체육학회 2015 한국체육학회지 Vol.5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카이로프랙틱과 PNF 운동의 복합처치가 전방머리자세 환자의 통증자각도와 자율신경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30명의 전방머리자세 환자를 카이로프랙틱 집단(n=10), PNF 운동 집단(n=10), 그리고 카이로프랙틱+PNF 운동 복합처치 집단(n=10)에 무선할당 한 후, 각 집단별로 일일 25분, 주 3회, 8주간 해당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처치 전과 후에 통증자각도와 자율신경기능을 측정하여 집단 간, 그리고 검사 간에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모든 통증자각도관련 변인이 세 집단 모두에서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며, 카이로프랙틱+PNF 운동 복합처치 집단에서 나머지 두 집단과 비교하여 더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2) 모든 자율신경기능관련 변인이 세 집단 모두에서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며, 스트레스 저항과 스트레스 지표의 경우 카이로프랙틱+PNF 운동 복합처치 집단에서 나머지 두 집단과 비교하여 더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세 가지 처치 모두 전방머리자세 환자의 통증자각도와 자율신경기능의 회복에 기여하였으며, 특히 카이로프랙틱과 PNF 운동을 병행하여 처치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중재방법인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ombined treatment of chiropractic and PNF exercise on pain selfawareness scale and autonomic nervous function in forward head posture patients. Thirty forward head posture patients were divided into one of three groups, i.e., chiropractic group (n=10), PNF exercise group (n=10), and combined chiropractic and PNF pattern exercise group (C+P group; n=10). Subjects in three groups went through in each program for 25 min/session, three times/wk for eight weeks. Pain self-awareness scale and autonomic nervous function were measured and compared among groups and between pre- and post-test.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All variables regarding pain self-awareness improved significantly in all three groups. The changes in C+P group were more significant than other two groups. 2) All variables regarding autonomic nervous function improved significantly in all three groups. The changes in stress resistance and stress index in C+P group were more significant than other two groups. It was concluded that all three interventions would be effective for functional recovery of the pain self-awareness and autonomic nervous function in forward head posture patients. Especially, combined treatment of chiropractic and PNF exercise would be the most effective intervention.

      • KCI등재

        운동생리학 : 남성노인의 활동체력연령 추정식 개발

        이만균(ManGyoonLee),성순창(SoonChangSung),공성아(SungAKong) 한국체육학회 2005 한국체육학회지 Vol.44 No.5

        This study was designed to create a regression equation for health-physical fitness age in the male elderly. Two hundred fifty healthy older men, aged 65~85years, were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irteen items of physical fitness for daily activity, several variables related to body composition, and blood pressure were measured. After performing primary component analysis, a regression equation for health-physical fitness age was created by utilizing first primary component before rotation as dependent variable and seven items representing each item after the rotation as predictors. The validity of the equation was confirmed by cross-validity test performed in other 50 older men. Therefore, the regression equation could be utilized as a useful index for degree of aging in older men. The regression equation is as follows:FAFS= -8.611+.005X1+0.0009X2+.053X3+.014X4+0.009X5+0.105X6+0.093X7 (R2=0.935) ----(1)(X1=DBP, X2=grip strength, X3=standing from sitting, X4=vertical jump, X5=sit-and-reach, X6=fat-free mass, X7=fat mass) AFA= 5.171FAFS+73.03 -----(2) Z = 1.376age-27.46 ------(3) AFAc = 5.171FAFS+73.03+Z ----(4)(AFA=activity fitness age, Z=correction factor, AFAc=corrected activity fitness age)The physical fitness age calculated by the regression equation after correction had a difference from chrolonical age, but the average of the physical fitness age was close to the chrolonical age. Additionall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activity fitness age and chrolonical age was .790(p=0.05). The quation created in the present study was unique because it could evaluate the health-related factors by including the diastolic blood pressure, fat-free mass, and fat mass, and because it could assess the degree of aging easily by including the components which could be measured by non-invasive method.The equation would be utilized for the exerdse prescription in the elderly, recruiting and the distribution of the elderly in the company.

      • KCI등재

        자연과학편 : 대학 운동선수의 종목별 척추와 골반 형태의 비교

        유한나(HanNaYoo),이만균(ManGyoonLee),성순창(SoonChangSung) 한국체육학회 2009 한국체육학회지 Vol.48 No.1

        비정상적인 자세는 외형상의 문제뿐만 아니라 각종 질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예방과 치료가 적절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특정 동작을 반복하는 운동선수의 경우 척추와 골반의 변형이 생겨 비정상적인 자세가 나타날 가능성이 크지만, 이와 관련된 과학적인 연구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9개 종목(골프, 배구, 배드민턴, 야구, 양궁, 체조, 태권도, 필드하키, 핸드볼)의 운동선수 111명을 대상으로 척추와 골반 형태를 종목 간에 비교하는 것이었다. 척추 및 골반의 형태와 관련된 다양한 변인을 타당도가 높은 3차원 영상분석기(Formetric III)를 이용하여 측정한 후 종목 간에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양궁 선수는 몸통의 앞 ㆍ뒤 기울기각과 골반 기울기 길이가 가장 높아 골반의 변위가 가장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목 간에 요추 전만곡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모든 운동선수의 요추 전만곡이 정상 범위보다 낮게 나타났다. 체조, 배구, 그리고 태권도 선수는 척추의 측만곡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운동선수가 실시하는 트레이닝이 척추 및 골반의 형태 변화에 영향을 미쳤으며, 종목에 따라 척추와 골반의 형태가 차이를 보인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각 종목마다 세부 변인별로 다른 특성을 보였는데,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하여 종목별로 상해 예방과 바른 체형 교정을 위한 프로그램이 적극적으로 개발되어 현장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figures of vertebra and pelvis by sports type in athletes, utilizing high-tech equipments entitled Formetric III, which has higher validity and reliability than former instruments. One hundred eleven collegiate athletes(golf 12, volleyball 10, badminton 6, baseball 19, archery 6, gymnastics 6, taekwondo 21, field hockey 18, and handball 13) volunteered to participated in the study as subjects. The figures of vertebra and pelvis were measured and compared by sports typ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1) Archery was the highest in trunk inclination and pelvic tilt. 2)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lordotic angle among sports types; however, the mean values of all athletes were lower than normal range. 3) Gymnastics, volleyball, and taekwondo athletes showed higher surface rotation and lateral deviation than others. In conclusion, wrong or improper position and repetitive one-sided athletic practice could lead a significant changes in the figure of the vertebra and pelvis, suggesting that a program for correct position for each sports type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in the field while the athletes are involved in training.

      • KCI등재

        자연과학편 : 12주간의 복합운동과 유산소운동이 편마비 환자의 고유수용성 위치감각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유경태(KyungTaeYoo),이만균(ManGyoonLee),성순창(SoonChangSung) 한국체육학회 2008 한국체육학회지 Vol.4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12주간의 복합운동과 유산소운동이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고유수용성 위치감각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피검자로 참여하여 연구를 완료한 편마비 환자 39명(복합운동 집단 13명, 유산소운동 집단 13명, 통제 집단 13명) 중 복합운동 집단의 피검자는 20분의 트레드밀 걷기와 20분의 세라밴드를 이용한 저항성운동을 실시하였고, 유산소운동 집단의 피검자는 20분의 트레드밀 걷기와 20분의 고정식 자전거 타기를 실시하였다. 두 집단 모두 12주간, 주 3회 트레이닝을 실시하였다. 각 집단 간, 그리고 시기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반복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유수용성 위치감각과 관련하여, 복합운동 집단은 열린고리 운동의 환측과 닫힌고리 운동의 환측에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고, 유산소운동 집단은 열린고리 운동의 환측을 제외한 모든 부분에서 향상되는 경향을 보인 반면, 통제 집단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근활성도와 관련하여, 복합운동 집단은 모든 항목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고, 유산소운동 집단은 닫힌고리 운동 중의 내측광근 환측과 건측을 제외한 변인에서 유의하게 증가된 반면, 통제 집단은 열린고리 운동의 대퇴직근 환측에서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따라서 복합운동 트레이닝이 유산소운동 트레이닝에 비하여 고유수용성 위치감각의 개선과 근활성도의 증가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mbined training and aerobic training on proprioceptive perception and muscle activity in hemiplegic stroke patients. Thirty nine patients (combined exercise training group (CET: n=13), aerobic exercise training group (AET: n=13), and control group (CON: n=13))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and completed the study. Subjects in CET performed treadmill walking (20 min) and resistance exercise(20 min) using Thera-band in a session, and subjects in AET performed only aerobic exercise composed of treadmill walking(20 min) and cycling on a stationary (20 min) in a session. Subjects in the two training groups performed the exercise three sessions per week for 12 weeks.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Proprioceptive perception improved significantly in CET, showed a trend of improvement in AET, but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 in CON. 2) Muscle activities increased significantly in all variables in CET, increased significantly in all variables except OVM of paretic side and non-paretic side in AET, but increased significantly in only ORF of paretic side in CON. It was concluded that both the combined and aerobic training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proprioceptive perception and muscle activity in hemiplegic patients. Moreover, combined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was more effective in enhancing proprioceptive perception and muscle activity than aerobic training.

      • KCI등재

        자연과학편 : 남ㆍ녀 대학운동선수의 스포츠기능성보조제 섭취실태 분석

        김승환(SeungHwanKim),강창균(ChangKyunKang),성순창(SoonChangSung,),이만균(ManGyoonLee) 한국체육학회 2012 한국체육학회지 Vol.5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K대학교에 재학 중인 운동선수 231명(남자 190명, 여자 41명)을 대상으로 대학운동선수의 스포츠기능성보조제 섭취 실태를 성별에 따라 비교·분석하는 것이었다. 스포츠기능성보조제의 섭취 여부, 섭취 종류, 섭취 개수, 섭취 목적, 정보획득 경로, 제품구입 경로, 그리고 섭취하지 않는 이유를 설문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성별로 교차분석과 다중응답 분석을 실시하여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여자(78.0%)의 섭취비율이 남자(67.9%)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고, 전체적으로 섭취 비율(69.7%)이 높게 나타났다. 2) 섭취하는 종류는 남자의 경우 홍삼(17.8%), 단백질(11.2%), 종합비타민(11.2%), 한약(7.9%) 등의 순으로, 그리고 여자의 경우 홍삼(12.2%), 종합비타민(12.2%), 크레아틴(9.2%), 동물(8.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3) 3개 이상 섭취하는 비율에서 여자(53.1%)가 남자(14.8%)보다 높아, 여자가 더 많은 개수를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섭취 목적이 피로 회복(28.5%), 건강 증진(27.3%), 경기력 향상(11.1%), 면역력 증강(11.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5) 정보획득 경로는 부모와 가족(53.6%) 및 팀동료와 친구(20.5%)가 높았고, 감독과 코치(7.2%)는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현재 성별과 무관하게 많은 수의 운동선수들이 스포츠기능성보조제를 섭취하고 있고, 그 섭취의 종류와 목적이 매우 다양하지만, 보조제에 대한 정보를 얻는 과정은 비전문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대학운동선수와 지도자를 대상으로 스포츠기능성보조제의 종류, 기능 및 적절한 섭취방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ports functional supplement (SFS) patterns between male and female collegiate athletes. Two hundreds thirty one athletes(male, n=190; female, n=41) completed a questionnaire including percentage of intaking SFS, type of SFS, number of SFS, purpose of SFS, source of information on SFS, way to purchase SFS, and reason(s) for not intaking SFS. Main results obtained by chi-square test and multiple response analysis were as follows: 1) The percentages of intaking SFS was 78.0% in female and 67.9% in male. 2) Popular SFSs were red ginseng, protein supplement, multivitamins, oriental supplement, and creatine. 3) The percentages of consuming more than three SFS were 53.1% in female and 14.8% in male. 4) The purpose of intaking SFS was various. 5) Priority source of information on SFS was parents and family members rather than experts. It was concluded that many collegiate athletes do not obtain the information on SFS in a professional way, although high percent of the athletes regardless of gender utilize the SFS. Therefore, education for the type, function, and proper way to intake SFS would be warranted for the collegiate athletes and their coach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