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晋州 殷烈祠 소장 <殷烈公 姜民瞻 影幀>

        李昡周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07 文物硏究 Vol.- No.12

        이 글에서 소개할 작품은 경상남도 진주시 옥봉동 殷烈祠에 소장된 두 점의 殷烈公 姜民瞻(963∼1021) 영정이다. 강민첨은 고려시대의 명장으로 1018년거란의 蕭排押이 10만의 군사를 이끌고 내침하자 姜邯贊의 副將으로 출전하여 興化鎭에서 적을 대파하였으며, 문종 때 공신각에 오른 인물이다. 範本과 模寫本의 관계로 추정되는 이 두 영정은 右顔八分面의 全身交椅坐像으로 幞頭에 曲領大袖을 입고 양손에 笏을 쥔 고려시대 백관의 공복차림이다. 범본은 絹本에 치밀하고 부드러운 필치와 색채감으로 인물의 傳神을 형상화한 수작인 반면, 모사본은 2폭을 결봉하여 만든 麻本에 두터운 설채와 선묘 위주의 古式으로 묘사되어 후대에 모사하였거나 또는 모사 이후 다시 한 번 加彩한 것으로 사료된다. 강민첨 영정은 이외에도 국립중앙박물관소장본, 숙청각본, 두방영당본 등이 전하고 있다. 1790년에 오래된 영정 두 본을 姜世晃이 모사하였고 채색이 흐려지자 1844년 姜彝五가 영정의 채색을 보충하였다는 기록이 전해오고 있어 유존하는 작품들 중 강세황의 작품이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 두 영정은 경상도 지역에 봉안된 여러 강민첨 영정과 더불어 범본과 모사본의 관계성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가 높다고 생각되며, 모사본이 확산되는 과정과 강민첨 영정의 移存 양상에 관한 앞으로의 연구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This paper presents two portraits of General Gang Min-cheom(963~1021) enshrined in Eunryeolsa Temple in Jinju City (Gyeongsangnam-do Province). Gang Min-cheom was a great general during the Goryeo Period. When So Bae-ab invaded with an army of 100,000 soldiers, he went to war with another great general, Gang Gam-chan and defeated the enemy completely at Heunghwajin. During the reign of King Munjong, his memorial tablet were enshrined in the Gongshingak, the memorial for meritorious retainers. The two portraits are assumed to be the original copy and a copy from the original. The figure in the portraits is seated in full length and looking at the left side. And the sitter wears an official uniform of the Goryeo Period and Bokdu, an official hat that was given to the person who passed the national examination, holding a mace in both hands. The original copy is an excellent artwork that captured the sprit of the figure through fine and gentle brush strokes and impressive color effects on the silk canvas. On the other hand, the copy was drawn on the two pieced hemp canvases, presenting the old style that centered on thick brushes and lines. The copy is assumed to be copied in later times or to be retouched afterwards. There are other copies of the portrait that handed down to: the one from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Sukcheong-gak and Dubangyoung-dang. It has been documented that Gang Se-hwang copied two portraits in 1790 and Gang-yio retouched to color some worn parts of the portraits. So the possibility that Gang Se-hwang's works are among the existing ones cannot be ruled out. The two portraits in question are valuable as data in light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original and the copies that are enshrined in Gyeongsangnam-do Province. I hope the outcome of the present paper will be a step toward a further study of the trend, that is, an increase of the number of copies and transfer of the cop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