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연과학편 : 운동강도가 고지방식이와 Streptozotocin 유도된 T2DM 흰쥐 골격근내 AMPK, PGC-1α와 GLUT4의 발현

        희뢰(LeiJi),하태균(TaeGyunHa),윤정수(ChungSuYoon) 한국체육학회 2014 한국체육학회지 Vol.53 No.5

        이 연구는 고지방식이와 streptozotosine 유도된 T2DM흰쥐가 운동강도에 따른 골격근내 AMPK, PGC-1α와 GLUT4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먼저 고지방식이와 streptozotosine(STZ; 40 mg/kg)로 쥐 제2형 당뇨를 유발하였다. 다음에 8 주간의 트레드밀 운동을 저강도(V˙O<sub>2</sub>max 40%), 중강도(V˙O<sub>2</sub>max 60%)과 고강도(V˙O<sub>2</sub>max 80%)로 실시한 후 가자미근과 장지신근 적출하였다. Western blotting로 AMPK, p-AMPK, PGC-1α와 GLUT4 단백질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운동을 통해서 모두 당뇨운동군이 당뇨대조군에 비해 단백질 발현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장지신근내 AMPK, p-AMPK와 PGC-1α의 발현이 고강도 운동군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지만, GLUT4의 발현이 중강도 운동군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자미근내 AMPK, p-AMPK와 PGC-1α의 발현이 중강도 운동군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지만, GLUT4의 발현이 고강도 운동군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운동강도와 근섬유의 유형에 따라 AMPK, PGC-1α와 GLUT4의 발현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나타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xercise intensity on AMPK, PGC-1α and GLUT4 expression in skeletal muscle of High fat diet and streptozotocin induced T2DM rats. Type 2 diabetes was induced in rats by a combination of low dose streptozotocin(STZ; 40 mg/kg) and feeding of a high fat diet. The rats had trained by low intensity(VO<sub>2</sub>max 40%), medium intensity(VO<sub>2</sub>max 60%) and high intensity(VO<sub>2</sub>max 80%) exercise on the treadmill for 8 weeks then the rat soleus(SOL) and extensor digitorum longus(EDL) were taken out. Western blotting was performed for the expression of AMPK, p-AMPK, PGC-1α, and GLUT4.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as as follow; First, the AMPK, p-AMPK, PGC-1α and GLUT4 expression level of exercise groups was increasd by exercise. Second, expression of AMPK, p-AMPK and PGC-1α of the EDL in the high intensity group was highest in the three intensity groups, but GLUT4 in the medium intensity group was highest. Third, expression of AMPK, p-AMPK and PGC-1α of the soleus in the medium intensity group was highest in the three intensity groups, but GLUT4 in the high intensity group was highest. This study can be concluded that the expression of AMPK, PGC-1α and GLUT4 proteins was differed with exercise intensity and the type of musc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