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envelope의 재인식과 context의 결합을 통한 community park 구축 : 아현동 달동네와 재개발지역 사이 공간 대상으로

        황효철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5 경기대학교 건축대학원 논문집 Vol.9 No.-

        모더니즘은 18세기 계몽주의로부터 시작된 이성중심주의 시대이며 인간 이성에 대한 믿음을 강조한 합리적 사고를 중시했다. 이러한 유토피아(Utopia)는 후기 구조주의와 해체주의에 의해서 탈 중심, 이탈, 분리, 이접으로 대변되는 디스토피아(Dystopia)로 전환되었다. 탈 이론의 중심에서 새로운 예술을 만들고자 했던 운동이 러시아의 아방가르드며, 회화, 조각, 건축에서 기존의 공간결합방식의 변화와 캔버스(canvas)로부터 독립된 회화를 선보이며 기존의 전통과 통념을 벗어난 작업들을 하였다. 또한 유럽의 회화에서는 Automatism이라는 새로운 방법으로 꿈을 표현한 그림이 등장한다. 이를 초현실주의라고 하며 이들은 의식과 무의식을 넘나들며 간극의 공간 가능성을 보여주며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으로부터 모티브를 얻고 있다. 1920년대의 러시아의 아방가르드와 초현실주의의 작업은 기존의 질서와 규범에서 탈피하는 작업이며 대립(對立)구도 사이의 여백의 가능성에 대한 실험이다. 그 후60년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의 해체이론과 건축에서의 구축적 해체주의 전시회(Deconstructivist Architecture/Musume of Modern/New York)에 의해서 해체주의는 주목의 대상이 된다. 이는 건축의 자유로운 폭발을 의미하며 현대건축이 가지는 모호성과 불확실성, 불확정성, 우연성 등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비투르비우스(Vitruvius)의 건축십서가 가지고 있던 건축규범의 힘은 점점 상실해져 갔으며 삼원칙에 의해서 더 이상 건축은 설명될 수 없게 되었다. 본질은 존재하되 나타나는 것은 서로 다른 해석으로 인해 다(多)의미의 상태로 되는 것이다. 더 이상 건축은 한정되지 않으며 주변의 context에 의해서 다양한 형태, program으로 나타나게 되었으며 고전주의 건축이 가지는 입면에 표출되는 규범, 배경, 방향성, 기능 또는 program을 해체하고 있다. 그리고 공간이 주어질 뿐 고정된 기능과 형상은 불명확해지며 방향성 또한 지니지 않는다. 더 이상의 질서와 비례로 이야기 하던 Facade은 모호함과 우연성 속으로 들어가 새로운 해석들을 야기 시켰다. Bernard Tschumi는 새로운 등식 '건축=운동*이벤트* 움직임'으로 말하고 있으며 다시 'vector & envelopes'로 표기하고 있다. 과거 건축은 양식, 구조, 아름다움에 대한 것이지 외부의 surface나 내부의 vector에 대한 생각은 중요하지 않았다.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은 부분이 중요해지기 시작했으며 이러한 움직임은 미술이나 철학에서 출발하여 건축에서도 나타나게 된다. 이를 바탕으로 한 연구는 envelope에 대한 변화 가능성. 즉 배경에 의해서 의미의 변화와 형상이 변화 할 수 있으며 그리고 지역 또는 국가가 가지고 있는 정체성의 회복을 의미한다. 맥락에 의해서 변형된 envelope는 사회의 한계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이접을 통해 경계를 모호하게 한다. 서양이 가진 맥락은 우리와 다르며, 기존의 의미가 전위의 가능성을 지닐 수 있다. 또한 새롭게 해석할 수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맥락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envelope는 명확하지 않은 상태 즉 과정의 상태로 놓인다. 형태적 접근 전략은 보이지 않는 힘을 Vector로 보고 지형이 가지는 방향성과 힘에 의한 변형의 과정을 표현하는 것이다. 이것은 입면에 대한 재인식으로 기존의 정면을 부정하며 지역적 특색과 정체성의 회복이며 사회, 문화적 context에 의해서 이접(disjunction)의 가능성과 program은 결정된다. Modernism is reason-centricism age that begun from the Enlightenment(illuminism) of 18th century, and set a high value on rational thought that had put emphasis on belief about the human reason, this Utopia changed into Dystopia that is spoken for deviating from center, secession, separation, removal by the post-structuralism and deconstructivism. The movement to create new art in the center of escaping from theory is Russian Avant-Garde, it had showed change of existent space union method in pictures, sculpture and architecture and independent pictures from canvas, and had done work that was escaping existent tradition and common idea. Also in European pictures, picture that express dream by new method that called Automatism appears. this is surrealism and it has access to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shows spatial possibility of gap and is getting motive from Freud's psychoanalysis. the work of Russian Avant-Garde of the 1920's and Surrealism is work that escapes from existent order and rule, and is experiment about possibility of blank between confrontation compositions. Since then 60 years, deconstructivism became polestar by Jacques Derrida's deconstructivism theory and constructive deconstructivism exhibition in architecture(Deconstructivist Architecture/Museum of Modern/New York). it means free explosion of architecture and this could explain by ambiguity, uncertainty, indeterminacy and accidentalness etc. of modern architecture. Power of architectural rule that ten books on architecture of Vitruvius has was lost gradually and architecture could no longer be explained by three principles. that essence exists but appears is that become in state of multiple meaning all by different analysis. Architecture is not limited more, is appeared by various form, program by surrounding context, and is disjointing rule, background, direction, function or program that expressed to facade of classicism architecture. And fixed function and shape become indefinite nothing but space is given and direction also does not have. Facade that talked by more order and comparison causes new interpretation with coming inside of ambiguity and contingency. Bernard Tschumi is said that facade is new equality as 'architecture = movement * event * motion' and is writing as 'Vector and envelopes' again. Ideas about external surface or internal vector were not important and past architecture were things about order(style), structure and beauty. Part that do not think importantly began to become important and this movement which is starting from art or philosophy is also appeared in architecture. Research based on this is possibility of change about envelope. That is, shape and meaning can be altered by background and it means recovery of identity that area or the country has. Envelope that is transformed by context don't decide social limit but makes the border ambiguously through disjunction. European context is different from us, and existent meaning can have possibility of Avant Garde. it is also said that they could interpret newly. Envelope that is influenced by context is put in state of unclear state that is of process, formal access strategy regard invisible force as Vector and express process of transformation by direction and force of topography. This denies existent facade by new understanding about facade, and is recovery of regional characteristic and identity, and is decided possibility of disjunction and program by social, cultural con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