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노동자 국제주의는 만병통치약인가? 로컬 공동체 노조운동의 가능성과 도전

        황진태(Hwang, Jin-Tae)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1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6

        본 연구는 경제의 세계화로 인해 글로벌 스케일에서 활동하는 행위자는 강력하며, 로컬 스케일에서 활동하는 행위자는 취약하다는 글로벌-로컬의 이분법을 해체하기 위하여 사회공간의 형성에 있어서 로컬의 중요성과 역할을 환기시킨 1980년대 영국로컬리티 연구와 최근 사회과학에서 활발히 전개되는 다중 스케일적 접근을 수용한다. 이를 통해서 자본주의의 경관은 자본뿐만 아니라 노동자도 능동적으로 생산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대표적인 예로 노동자들이 스케일 뛰어넘기를 통한 글로벌 스케일에서의 연대를 형성하여 초국적 기업에 맞서는 노동자 국제주의를 들 수 있다. 하지만 필자는 제1세계 노조 중심으로 진전된 노동자 국제주의가 스케일 뛰어넘기 역량이 부족한 제1세계 이외 국가의 노조들(특히, 노조조차 구성하기 어려운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도 만병통치약이 될 가능성은 적다고 판단한다. 본 연구는 노동자 국제주의에 대한 대안전략으로서 동일한 지리적 로컬 스케일 안에서 공통의 정체성, 젠더, 민족성 혹은 사회적 이해관계를 바탕으로 노동자와 노조가 시민사회 조직과 행위자들과 협력을 형성하는 로컬 공동체 노조운동에 주목한다. 궁극적으로 로컬 공동체 노조운동의 가능성은 글로벌-로컬의 이분법을 깰 수 있다고 본다. 이상의 논의들을 경험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2000년대 초부터 2011년까지 진행된 GM대우 비정규직 노조투쟁을 살펴본다. Influenced by the debate on locality during the 1980s and a multi-scalar approach, this article attempts to dissolve the global-local dichotomy that tends to regard global actors such as TNCs or global capital as abstract and strong beings which operate on a global scale, while workers as concrete and weak beings on a local scale. However, workers can also actively form the landscape of capitalism. Labor internationalism, which orients toward going global through the strategy of jumping scale, proved this argument. It is axiomatic that labor internationalism as a norm has been practically the core of the union strategy to date. With a focus on up-scaling imperative labor internationalism is like being mistaken for a panacea. It seems that going global alone is virtue, while it can overlook the importance of local actor and factor. With recognition of this blindness to the labor internationalism, some scholars suggest the conception of local community unionism emphasizing on the importance of condensation (e.g. associate with local civil society) within the same geographical scale recently. In particular, local community unionism would be more effective for contingent workers without any ability to jump up to global scale to cope with the TNCs. In this articl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truggle of GM-Daewoo irregular workers’ union, I show the usefulness of local community unionism, and thereby break global-local dichotomy.

      • KCI등재

        2016년 촛불집회시위의 공간성에 관한 고찰

        황진태(Hwang Jin Tae),박배균(Park Bae Gyoon) 한국공간환경학회 2018 공간과 사회 Vol.28 No.3

        이 연구는 2016년 촛불집회 시위의 공간성에 주목한다. 특히, 광화문광장의 물리적 범위를 넘어선 서울 도심과 부도심, 지방도시에서 나타난 수많은 이질적이고 다양한 힘들 간의 다중적이고 복합적인 접합의 양상을 드러내는 데 주력했다. 또한, 시기마다 촛불집회가 발생한 광장의 물리적, 담론적, 관계적 특성은 상이했으며, 집회에 참가한 사회세력들은 다양하고, 우발적인 공간적 배치, 의미, 특성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사회운동의 공간을 창발적으로 생산, 재생산했음을 보이고자했다. 이러한 공간적 분석을 통해 2016년의 촛불항쟁을 ‘혁명’으로 서둘러 기념화, 역사화하기보다는 촛불항쟁의 의의와 한계에 대해 좀 더 차분한 접근과 분석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공간적 분석은 이를 통해 드러나는 촛불항쟁의 다중성, 복합성, 창발적 역동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2016년의 사례를 과거의 달콤한 기억으로 박제화하거나, 혹은 현실의 한계에 굴복한 실패한 운동으로 폄하하기보다는 한국 사회운동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중요한 경험적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we pay attention to the spatiality of the 2016 Candlelight Protests in South Korea. In particular, we attempt to reveal that the spaces of the protest were materially, discursively, and relationally (re-)produced among diverse participants acting in and through various spaces/places such as the Seoul’s downtown, sub centers and local cities, etc. beyond the Gwanghwamun Square near the Korean presidential residence. Through this analysis, we suggest that rather than jumping to conclusions like ‘successful revolution’ or ‘failed protest’, this experience should be a living subject of our unfinished democracy experiment to find a new possibility of Korean social movements.

      • KCI등재

        북한도시연구방법론으로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활용에 관한 시론 :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황진태(Hwang, Jin-Tae) 한국공간환경학회 2019 공간과 사회 Vol.29 No.4

        본 논문은 새로운 북한도시연구방법론으로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한다. 그동안 국내 북한연구의 발전이 어려운 원인 중 하나는 남북한이 군사적, 정치적으로 대치하고 있는 구조로 인하여 남한 사회에 사는 연구자로서 북한 관련 자료의 확보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이러한 제약에도 불구하고, 북한학계는 문헌자료, 구술자료, 시각영상자료로 이어지는 방법론적 개선을 시도해왔다. 앞선 북한연구자들의 방법론적 고민을 적극 공감한 필자는 기존 방법론을 보완할 새로운 방법으로 SNS(특히, 이미지 공유 중심의 매체적 특성을 갖는 인스타그램)를 주목한다. 인스타그램에는 현재 북한의 도시공간을 담는 다양한 시각자료들이 풍부하게 존재하며, 앞으로 자료의 양이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는 점에서 북한도시를 비롯한 북한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뤄질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국내 지리학계와 북한학계가 SNS의 활용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것을 제언한다. In this paper, I attempt to explore the fruitfulness of social network service (SNS) as a new research methodology for studying North Korean cities. Under continuing military and political tension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t has been very difficult for South Korean researchers to access to North Korean materials. Despite its constraints, they have attempted to improve research methodology by focusing on literature materials, interview materials, and visual images, etc. Acknowledging the problem orientation of predecessors, I try to consider the powerful function of Instagram as a mobile photo-sharing and video-sharing site. Through an empirical, but explorative study, I suggest that Instagram should be explored in a wider context in that it includes the multiple realities of the current North Korean cities.

      • KCI우수등재

        리슈만편모충은 어떻게 ‘하나의 유럽’에 균열을 가했는가?: ‘인간 너머의 위험경관’의 시각에서 바라본 코스모폴리타니즘의 한계

        황진태(Jin-Tae Hwang),김민영(Minyoung Kim),배예진(Yejin Bae),윤찬희(Chanhee Yoon),장아련(Aryun Chang) 대한지리학회 2019 대한지리학회지 Vol.54 No.3

        본 연구는 ‘인간 너머의 위험경관’의 시각에 기반하여 인간과 비인간 간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에 의하여 오늘날 유럽사회가 ‘하나의 유럽’을 구축하기 어렵게 만드는 균열과 긴장을 밝히고자 리슈만편모충증 논란을 탐색한다. 구체적인 연구초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과 비인간(nonhuman)의 상호작용에 주목하는 인간 너머의 지리학의 시각에서 리슈만편모충증을 발병하게 한 다중적 원인과 발생경로를 파악한다. 둘째, 유럽사회에서 발생한 관련 전염병의 원인을 난민으로만 귀속하려는 특정한 위험경관이 정치적, 사회적으로 구성되었음을 밝힌다. 결론적으로 유럽사회가 지향해왔던 코스모폴리타니즘의 실현을 위해서 인간은 인간중심주의로부터 벗어나 인간과 비인간 사이에 벌어져 있는 인식론, 존재론적 틈을 줄여나가려는 긴 여정을 밟아야 하며, 그 여정에서는 비인간에 대한 관심뿐만 아니라 특정 사회집단을 타자화하려는 인간 내부의 비인간성에 대한 성찰이 요구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Through the lens of more-than-human riskscapes, this paper aims to reveal that European society has a difficult time constructing ‘One Europe’ due to unexpected human-nonhuman interactions beyond anthropocentrism such as a controversy surrounding leishmaniasis disease in Europe after Syrian refugees. Detailed research focuse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more-than-human perspective that recognizes the world that is incessantly composed by dialectic interactions between human and nonhuman actors at multiple scales, we track the causes and spread of the disease. Second, we ascertain that a dominant riskscape that attributes the cause of the disease to Syrian refugees alone is politically and socially constructed by particular social forces. Consequently, we argue that the concept of more-than-human riskscapes must be considered carefully for realizing cosmopolitanism while recognizing not only nonhuman actors but also the aspect of less-than-human geographies within us.

      • KCI등재

        한국의 국가와 자연의 관계에 대한 정치생태학적 연구를 위한 시론

        황진태(Jin-Tae Hwang),박배균(Bae-Gyoon Park) 대한지리학회 2013 대한지리학회지 Vol.48 No.3

        본 논문은 국가와 자연이 각각 독립적이고, 자연을 인간의 손길로부터 떨어져 신성한 것으로 간주하는 근대적 인식을 비판하는 “국가-자연의 정치생태학” 논의를 차용하여 한국에서 나타나는 국가와 자연의 복잡성을 관계적, 과정적으로 고찰하기 위한 시론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국내사회과학에서의 국가와 자연과의 관계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생태주의, 신진대사균열론, 자연의 사회적 구성론, 녹색국가론 등)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들 논의에서 국가와 자연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가 누락되었음을 지적한다. 이어서 대안적인 관점으로 국가-자연의 정치생태학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한다. 끝으로 국가-자연의 정치생태학적 접근이 한국의 자본주의 발전과정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omplexities of the state-nature relations in Korea by emphasizing the complex processes of interactions between the state and nature. In doing so, it relies on the literature of “political ecology of state-nature” which problematizes the conventional modernist views on nature assuming the dualistic separation between the state and nature. First, we critically review the existing Korean literature on the state-nature relation (e.g., the ecologism, the metabolic rift theory, the social construction of the nature, the green state thesis, etc.) and argue that these studies significantly lack the recognition of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state and nature. Second, we discuss the possibilities of seeing the state-nature rel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ecology as an alternative approach to the state-nature relation. Last, we conclude that the political ecology approach to the state-nature can deepen our understandings of the Korean capitalist development.

      • 장소성을 둘러싼 본질주의와 반본질주의적 이분법을 넘어서기: 하비와 매시의 논쟁을 중심으로

        황진태 ( Jin Tae Hwang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2011 地理敎育論集 Vol.55 No.-

        본 연구는 서구 인문지리학계의 장소성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장소를 이해하는 본질주의적 접근과 반(反)본질주의적 접근간의 대립을 확인하고, 두 접근간의 상호보완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데이비드 하비(David Harvey)와 도린 매시(Doreen Massey)간의 장소성 논쟁을 주목한다. 하비는 장소를 정적이고, 불변하며, 장소의 특수성은 장소 내부의 역사적 결과물로 보는 반면, 매시는 장소는 역동적이고, 항상 변화하며, 장소의 특수성은 장소 스케일을 넘어선 상이한 사회적 관계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하면서 양자간의 접근이 대립하고 있다. 대안적으로 연구자는 하비와 매시의 장소성은 상호배타적이기보다는 각각은 시공간 상에서 발현되는 장소성의 다양한 측면들 중의 하나로서 즉, 상호 연동된 형태로 이해할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이론적 작업은 인문지리학의 다양한 분야에 장소논의를 확장시킬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해 줄 것이다. By critically reviewing existing literature on the placeness in western human geography, this paper aims to deconstruct the essentialist and anti-essentialist dichotomy on the placeness, and ascertain the possibility of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them. More specifically, I focus on the debate on the placeness between David Harvey and Doreen Massey. Harvey regards place as something fixed, static and unchangeable, and while characteristic of place is historically inherent production of inner place. On the contrary, Massey regards place as site of multiple identities and histories, and while she asserts that a uniqueness of place is defined by various interactions within and without place. Alternatively, I suggest that the placeness needs to be understood as one aspect of variegated placeness including Harvey and Massey s conceptions in concrete spatio-temporal context, rather than mutually exclusive relation between the essentialist and anti-essentialist approaches. In the future, borrowing the insights from deconstructing the dichotomy, it would be more fruitful to the field of human geography.

      • KCI등재

        동아시아 맥락에서 바라본 한국에서의 위험경관의 생산

        황진태(Jin-Tae Hwang) 대한지리학회 2016 대한지리학회지 Vol.51 No.2

        울리히 벡(Ulrich Beck)의 위험사회 개념은 위험을 둘러싼 공간적인 감수성이 부족하면서 특정 위험이 발생하고, 전개되고, 다면적으로 인지되는 역동적인 측면들이 누락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적 접근으로 벡의 위험사회론을 공간적으로 발전시킨 데틀레프 뮐러만(Detlef Müller-Mahn)의 위험경관(riskscape) 개념을 소개하고, 이 개념을 동아시아의 맥락에서 이론화를 시도한다. 동아시아 발전주의 국가론의 핵심적인 전제는 적극적인 ‘국가의 역할(the role of the state)’을 주문한다는 점이다. 하지만 동아시아의 경제성장 및 근대화 과정에서 국가의 역할이 두드러졌다는 사실은 벡의 용어를 빌리자면 경제성장과 근대화의 댓가로 원자력 발전소와 같은 ‘만들어진 위험들(manufactured risks)’의 형성에 국가가 깊숙이 연루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동아시아 근대화와 위험사회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국가에 대한 분석이 긴요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한국의 원전입지정책을 사례로 1) 단기간에 동아시아 경제성장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지배적 사회세력이 지역의 위험은 축소하고, 경제성장의 가치를 지역의 위험보다 우선시하는 국가적 차원의 위험경관을 형성하였음을 밝히고, 2) 또한 다양한 우발적 계기들(정치적 민주화 혹은 대규모 재난의 발생 등)에 의하여 다른 사회세력들이 생산한 위험경관들이 기존의 국가적 차원의 위험경관과 대립할 수 있음을 확인한다. The concept of a risk society, which was originally suggested by German sociologist Ulrich Beck, is insufficient to reveal how a certain risk materially and discursively unfolds on the ground and how its various dynamics are recognised by diverse actors because of the concept’s spatial insensitivity. As an alternative approach, this paper introduces the concept of the riskscape, which was suggested by German geographer Detlef Müller-Mahn, and analyses this concept in the context of the East Asian developmental state. It is meaningful that the East Asian developmental state thesis has strongly promoted the role of the state in stimulating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in underdeveloped countries. However,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an active state role in encouraging modernisation and economic growth within a very short time produces consequences of what Beck calls ‘manufactured risks’, such as nuclear power plant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analyse the state in comprehending modernisation and the risk society in East Asia. More specifically, using the case of the location policy for nuclear power facilities, this article reveals how dominant social forces acting in and through the state constructed a national riskscape that minimises the gravity of local risks while prioritising the economic value of the national economy over local risks to produce rapid modernisation. Additionally, it is argued that a dominant national riskscape may become weak from competing with different riskscapes that are constructed based on contingency factors (e.g., political democratisation or a natural disaster). Based on these analyses, the article emphasises that interdisciplinary research using the concept of the riskscape is required to better explain the risks in East Asia.

      • KCI등재

        도시권의 측면에서 바라본 광장의 정치

        황진태(Hwang, Jin-Tae) 한국공간환경학회 2011 공간과 사회 Vol.21 No.1

        기존 사회운동 연구는 사회운동과 공간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이 미약했던 상황에서 광장의 정치는 공간의 존재와 역할을 환기시켰다. 여기서 공간을 강조하는 것은 광장을 지키는 것 자체가 목적이 되는 공간물신론을 지향하는 것은 아니다. 필자는 현재의 광장에 대한 정치 논의가 공간물신의 함정에 빠질 우려가 높다고 본다. 공간물신의 함정에 빠진 광장의 정치는 광장의 정치에 내포된 해방적 힘을 지배세력이 선택한 특정 공간에서 소모시키는 자위로 끝날 수 있다. 도시권 개념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첫째, 광장의 정치를 통하여 사회운동에 있어서 공간의 중요성을 밝히고, 둘째, 광장의 정치의 목적이 물리적 공간인 광장을 지키는 것으로 한정될 때 광장의 정치의 해방적 힘은 축소될 수 있음을 확인하며, 대안적으로 광장의 정치와 도시권의 다중 스케일적 접근을 제시한다. With study of the South Korean social movement to date has been pay little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movement and spaciality, it is meaningful that politics of agora give rise to stir up the importance of space. However, emphasizing the space is not orient to the spatial fetishism that regards upholding the agora per se as the object of politics of agora. I thought it is likely that existing debate on politics of agora could be trapped spatial fetishism. Because of this, protesters can pour out meaninglessly their movement energy into the particular space like agora selected by ruling forces, while paradoxically the power of ruling forces can be stronger. In this article, I was informed by recent contribution to the Right to the City. Then I attempt to reveal the facts below. First, the space is important to develop social movement such as politics of agora. Second, when the object of politics of agora is confined to defend agora as a physical space, it could shrink the emancipating power of politics of agora. Alternatively, I suggest that the politics of agora and Right to the City should be considered in light of the multi-scalar approach to avoid spatial fetish trap.

      • KCI등재

        구미공단 형성의 다중스케일적 과정에 대한 연구: 1969-73년 구미공단 제1단지 조성과정을 사례로

        황진태 ( Jin Tae Hwang ),박배균 ( Bae Gyoon Park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4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7 No.1

        This paper aims at exploring the multi-scalar processes through which the Gumi Industrial Complex was developed in the late 1960s and the early 1970s. Existing studies, influenced by the “De-velopmental State Thesis”, tend to see the industrialization processes of South Korea either by focusing on the socio-politico-economic processes at the national scale or in terms of the plan rationality of the national bureaucrats. This paper, however, denies this perspective on the basis of the strategic relational approach to the state and the multi-scalar perspective. In particular, it argues that the state actions for na-tional industrialization have been the outcome of complex interactions, conflicts and negotiations among social forces, acting in and through the state, and at diverse geographical scales. This paper attempts to empirically prove this argument on the basis of a case study on the construction processes of Gumi In-dustrial Complex. The development of Gumi Industrial Complex cannot be solely explained in terms of either the plan rationality of the national bureaucrats or the political motivation related to the fact that Gumi was the hometown of President Park Jung-Hee. This paper argues that the development of Gumi Industrial Complex was heavily influenced by the role of the following actors; place-dependent local actors in Gumi and the multi-scalar agents, such as the Korean-Japanese businessmen and the national parliament members elected in the Gumi electoral distri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