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주요 제조업의 사물인터넷 활용성 분석

        황규선(Gyusun Hwang),박주형(Juhyung Park),이정철(Jeongcheol Lee),박진우(Jinwoo Park),장태우(Tai-Woo Chang),원중연(Joongyeon Won) 한국전자거래학회 2016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21 No.4

        사물인터넷이 국내외 다양한 산업에 정착되고 새로운 가치 창출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제조업의 경우, 한국 정부의 제조업 혁신 3.0 전략과 함께 스마트공장 개념으로 발전하여 경쟁력을 높이는데 사물인터넷이 큰 기여를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제조업의 사물인터넷의 활용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새로운 분류 기준에 따라 산업연구원에서 정의한 10대 주력 산업을 6개의 세그먼트로 구분하였고, SWOT 분석을 수행하였다. SWOT 분석을 통해 도출된 각 요소들은 상호 연관성 분석을 통해 ‘강점과 약점’, ‘기회와 위협’으로 나누었다. 이를 바탕으로 전략적 결정 그리드 포지셔닝을 수행하여, 6가지 세그먼트들이 사물인터넷을 활용하는 데에 있어 어떠한 상황에 있는지 분석하였다. Internet of Things (IoT) has been established in various industries and IoT technology is highlighted as a new value creation technology. Especially, Korean government has launched Manufacturing Innovation 3.0 Strategy for developing Smart Factory concept to improve national and corporate’s competitiveness. This study tries to present new industry classification scheme considering 10 national key manufacturing industries. Based on the new scheme, 10 national main forces industries are categorized into 6 segments. We have conducted SWOT analysis to comprehend Korean IoT environment. Based on the analysis, we have positioned 6 segments at the strategic decision-making grid to analyze industries’ IoT practical usage.

      • KCI우수등재

        미래 제조시스템 성숙도평가 프레임워크

        이정철(Jeongcheol Lee),장태우(Tai-Woo Chang),박종경(Jong-Kyung Park),황규선(Gyusun Hwang) 한국전자거래학회 2019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24 No.2

        스마트공장 등으로 변화하는 경쟁 환경 속에서 제조시스템의 현 수준을 측정하고 개선 목표와 과제를 도출, 추진하여 제조경쟁력의 수준을 높이는 것이 기업의 기본적 활동이 되고 있다. 그러나 기업의 미래 제조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구성요소 분석과 성숙도평가에 관한 연구는 부분적으로 진행되고 있고 초기단계에 있다. 본 연구는 제조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모델, 개발프로세스, 프레임워크 등에 대한 기존 연구를 분석하였다. 또한 스마트공장 관련 성숙도평가 연구들을 통해 미래 제조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을 도출하여 구조모델을 설계하였다. 평가모델, 변환모델까지 포함하는 메타모델을 설계하고 프레임워크 개발 프로세스를 도출하여 미래 제조시스템의 성숙도평가를 위한 통합적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또한 실제 스마트공장 평가에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제시된 프레임워크는 미래 제조시스템의 성숙도평가를 위한 기반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an environment transformed by smart factories, measuring the current level of the manufacturing system, deriving improvement targets and tasks and increasing the level of manufacturing competitiveness become the basic activities of the company. However, research on the component analysis and maturity assessment to ensure the future competitiveness of the company is in progress and in the early stages. This study analyzed the existing research on various models, development process, and framework for manufacturing system. In addition, we designed a structural model by deriving the components of future manufacturing system through smart factory related maturity assessment studies. We designed a meta-model that includes an assesment model and a transformation model, and derived the framework development process to propose an integrated framework for the maturity assessment of the future manufacturing system. We verified it by applying it into an actual evaluation project of smart fac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