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맥엽 및 항산화 조성물의 생리 기능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아질산염 소거능을 중심으로 -

        홍이진,박형근,주상섭,김경탁,이성희,Hong, I-Jin,Park, Hyeung-Geun,Jew, Sang-Sup,Kim, Kyung-Tack,Lee, Sung-Hee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03 한국농화학회지 Vol.46 No.4

        맥엽과 이를 이용한 항산화 조성물을 제조하여 이에 존재하는 nitrite scavenging효과와 이에 따른 발암원으로 부터의 보호 효과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맥엽과 항산화 조성물 모두 수층에 비하여 메탄올층에서 아질산염 소거능이 2배 이상 높게 나타나 M-BL50의 0.01 mg/ml 농도에서 약 64.3%, M-AM 0.01 mg/ml 처리군이 이보다 약간 높은 68.3% 정도로 나타내었다. 마우스 단핵구 기원인RAW 264.7(macrophage, mouse)에 맥엽과 항산화 조성물의 수층과 메탄올층을 처리하고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수층 처리군에 비해 메탄올층 처리군에서 모두 세포 생존율이 더 낮게 측정되었으며 모든 시료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세포 증식이 억제되었다. 특히, M-AM을 처리한 군의 경우 모든 농도에서 가장 낮은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어 항산화물 첨가에 의해 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상승됨을 알 수 있었으며 $IC_{50}$ 수치 또한 메탄올층과 A-AM시료 처리군에서 현저히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세포 내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역시 마찬가지로 맥엽 입자 크기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수층 처리군에 비해 메탄올층 처리군과 항산화물을 첨가한 군에서 모두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어 맥엽 및 기타 항산화물을 섭취함으로써 체내에서의 니트로사민 생성을 억제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biofunctional characteristics, namely nitrite scavenging effect of barley leaves (BL) and their mixture (AM) with other antioxidants. Aqueous or methanol extracts were obtained from BL and AM. Aqueous and methanol extracts from barley leaves had relatively higher nitrite scavenging effects and its activities and contents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 activities and contents of methanol extracts obtained from BL and AM were higher than those of aqueous extracts. Especially, AM containing BL and other antioxidant mixture had the highest activities and contents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BL or AM were added to macrophage cells of RAW 264.7. Survival rates of the cells treated with BL and AM were measured to be different. $IC_{50}$ value de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by the addition of aqueous or methanol extracts from BL and AM. Especially, methanol extracts of AM had the highest nitrite scavenging effects. Thus, BL and AM may have protective effect against carcinogen and immune ability against reactive molecules through NO (nitric oxide) signal pathway. From the above results, barley leaves appear to contain natural anticancer and immune-related agents and may have potentiality to be used as functional food ingredients.

      • KCI등재

        Italian welfare in the aftermath ofeconomic crisis

        홍이진(I Jin Hong) 한국사회정책학회 2013 한국사회정책 Vol.20 No.3

        2008년 세계 경제위기는 유럽 경제에 악영향을 미쳤는데, 특히 남유럽 국가의 피해가 컸다. 이탈리아의 정책결정자들에게는 경제위기가 오래 전부터 실행되었어야 할 복지예산 삭감 정책을 추구할 수 있는 논리적인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2011~2012년에 몬티정부는 신자유주의적인 재정긴축 정책들을 펼쳤다. 일반적으로 대륙유럽의 비스마르크복지국가들은 개혁하기에 어렵기 때문에, 이탈리아에서 진행 중인 신자유주의적인 개혁을 이해하려면 이론적인 틀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Sabatier(1988)의 ACF이론을 참고하여 2008년 경제위기 이후의 이탈리아 사회정책 개혁의 논리를 이해하고자 한다. 연구를 통해, 복지 삭감을 설명하는 데에 있어서 경제위기와 유럽연합의 역할 등 외부적인 영향들이 상당히 중요했으며, 정책결정과정에 있어서는 시민사회의 역할이 축소된 결과로 높은 실업률 등의 사회문제가 악화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2008 world economic crisis had unprecedented consequences in European societies, with repercussions on Southern European countries in particular. In Italy, the crisis itself provided a plausible rationale for policy makers to push forward long needed welfare cuts, resulting in the neoliberal austerity trend fostered by the Monti government (years 2011-2012). In the light of the fact that Bismarckian welfare states from continental Europe are generally difficult to reform, understanding these policy dynamics requires an adequate theoretical framework. This paper seeks to understand the logics behind welfare reforms in Italy after the 2008 economic crisis, by reviewing available theoretical approaches in literature. It is argued that external forces (notably, the European Union) represented the main trigger factor, and that political elites marginalized the role played by civil society, with social problems such as unemployment worsening as a result.

      • KCI등재
      • KCI등재

        Cooperative protective effect of melatonin and dipyridamole on hepatotoxicity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홍충만(Choong Man Hong),윤창용(Chang Yong Yoon),홍이진(I Jin Hong),안병우(Byung Woo Ahn),김대중(Dae Joong Kim),민홍기(Honggi Min),김철규(Chuel Kyu Kim) 한국예방수의학회 2000 예방수의학회지 Vol.24 No.4

        관상동맥 확장제로 임상에서 응용하고 있는 Dipyridamole(DIP)은 in vitro에서 혈소판응집 억제와 항산화작용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멜라토닌은 송과선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항산화작용이 있기 때문에, 특히 실험적으로 유발한 간독성에 대하여 예방 및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험은 사염화탄소로 급성 간독성을 유발한 랫드에서 항산화효과가 있는 DIP와 멜라토닌을 단독 및 병행으로 전처리하여 간독성 예방효과를 비교하여 보았다. 실험군은 무처치 대조군과 사염화탄소 투여군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사염화탄소 투여군은 용매대조군, DIP 전처리군(100mg/kg, 근육내), 멜라토닌 전처리군(100mg/체중 kg, 복강내) 및 DIP와 멜라토닌 병행 전처리군(단독투여 전처리군과 동일농도)으로 나누어 매일 1회씩 3일간 반복투여하였다. 4일째에 사염화탄소(0.7ml/체중 kg, 경구)를 단회 투여하여, 24시간 후에 부검하여 혈액과 간조직을 얻었다. 그런 후, 혈중 간독성 지표효소인 ALT, AST, ALP와 GGT, 혈중 Triglyceride와 Cholesterol과 간조직 중 지방과산화 산물인 malondialdehyde(MDA)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사염화탄소 투여군은 무처치 대조군과 비교하여 간독성의 지표효소와 지방과산화의 지표인자인 MDA가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p<0.05, p<0.01) 증가하였다. 사염화탄소 투여군에서 DIP와 멜라토닌을 단독으로 전처리한 실험군이 용매대조군에 비하여 간독성 지표효소와 MDA를 유의성 있게(p<0.05) 감소시켰다. 또한 DIP와 멜라토닌을 병행하여 전처리한 실험군이 용매대조군에 비하여 지표효소와 MDA를 유의성있게(p<0.01) 감소시켰으며, DIP와 멜라토닌만을 전처리한 실험군과 비교해서도 통계학적 유의성(p<0.05)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사염화탄소로 유발한 실험적 급성 간독성 모델에서 DIP와 멜라토닌이 협력적으로 작용하여 간독성을 예방하였음을 알 수 있었으며, 사염화탄소의 지방과산화 작용으로 유발한 간 독성의 예방기전은 DIP와 멜라토닌의 항산화작용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 실험결과는 DIP가 멜라토닌의 간독 성 예방 및 치료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좋은 방법으로 응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이를 위해서 향후 DIP와 멜라토닌에 의한 협력 간독성억제에 관한 구체적인 기전 연구를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ooperative protective effect of DIP plus melatonin pretreatment on target enzymes activities and lipid peroxidation in CCl₄-induced male SD rats. Simultaneous pretreatment of DIP and melatonin markedly restored ALT, AST and GGT activities as well as triglyceride in serum compared with CCl₄-treated control group. Those pretreatments decreased in lipid peroxidation in terms of MDA level. DIP and melatonin themselves have hepatoprotective effect but co-administration of those chemicals shows more better results for the effect.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suggest that co-administration of DIP and melatonin may protect the liver against CCl₄-induced hepatotoxicity. Finally, this additional information may be important for therapeutic usefulness of melatonin. However, interactions between DIP and melatonin remains to be elucidated.

      • KCI등재

        녹차와 실크 펩타이드 및 캡슐 소재 함유 조성물이 여대생들의 복용 기간별 체지방 및 혈청 지질 성상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성희(Sung Hee Lee),조병남(Byung Nam Cho),홍이진(I Jin Hong),이민숙(Min Sook Lee),주상섭(Sang Sup Jew),김동명(Dong Myung Kim),진동규(Dong Kyu Jin),노숙령(Sook Nyung Rh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2 No.5

        본 연구에서는 산화, 변성되기 쉬운 비타민 C와 유산균을 캡슐화하여 비타민 C의 활성을 유지시킴은 물론 유산균에 보호막을 씌움으로써 불활성화를 방지하고자 하였다. 녹차잎과 캡슐화한 비타민 C, 유산균 및 실크 펩타이드, 다시마, 차전자피, 알로에 등의 섭취가 체지방 감소 및 체중 감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여대생 34명을 대상으로 2002년 8월부터 2002년 11월까지 3개월 동안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실험군의 평균 연령은 20.3세, 평균신장은 162.5 ㎝, 평균 체중은 57.9 ㎏, BMI 평균은 21.9였다. 총열량 섭취량은 보충 전ㆍ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당질 섭취량은 보충 전보다 보충 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p<0.05), 단백질과 지방의 섭취는 보충 전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식이 섬유소 섭취의 경우 보충 전에 비해 보충 후에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0.001). 각 주별 체중 및 BMI의 변화는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보충 전에 비하여 보충 후에 2.5 ㎏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지방량 변화는 보충 전에 비해 보충 4주군에서 유의적인 감소가 나타나(p<0.05) 보충 전에 비해 보충 4주 후 2.0 ㎏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지방율 변화 역시 보충 전보다 보충 4주 후에 유의적인 감소 경향이 나타나(p<0.05) 보충 전에 비해 보충 후 1.9%의 체지방율 감소가 나타났다. 허리-엉덩이 둘레 비율(WHR)의 변화는 보충 전에 비해 보충 4주군에서 유의한 감소 경향이 나타났다(p<0.05). 보충 전ㆍ후의 총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변화는 보충 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01), LDL-cholesterol, HDL-cholesterol 및 LDL/HDL ratio는 보충 전ㆍ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보면 본 연구에서 한달 동안 일상식이를 섭취하면서 녹차와 실크 펩타이드와 식이 섬유소의 보충은 체지방을 낮추는 역할을 하였으며, 총콜레스테롤과 중성 지방 수준의 감소 효과를 알 수 있었다. 또한 산화, 변성되기 쉬운 비타민 C와 유산균을 캡슐화하여 비타민 C의 항산화 기능으로 혈청 지질 개선에 유의적이었으며, 정장 작용을 도움으로써 체중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신체의 부위 중 복부의 지방을 감소시켜 복부 비만의 관리 및 체지방 관련 위험율을 감소시키는 결과가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green tea and capsulated components mixture on body fat and serum lipid composition and fat distribution in college women students in terms of supplemented periods. During 3 months of this research, 34 college women students (average age 20.3 yr) were selected as subjects. Nutrient intake was investigated by questionnaire and 24-hr recall method. Antropometric assessments of the subjects were investigated by SBIA method (Segmental Bioimpedance Assay, Inbody 3.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ean body height was 162.5 ㎝ and mean body weight and mean BMI (Body Mass Index, ㎏/㎡) were 57.9 ㎏ and 21.9, respectively. Status of carbohydrate intake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and dietary fiber intake increased significantly (p<0.001) after supplementation. WHR (waist-hip ratio)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and body fat and percent body fat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supplementation (p<0.05).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supplementation (p<0.001). Abov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green tea, silk peptide and dietary fiber supplementation-added routine diet improves body fat distribution,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Especially, declination of abdominal fat and WHR was notable, since that means diminution of risk factors for obesity and chronic degenerative diseases.

      • KCI등재

        맥엽 및 항산화 조성물의 생리 기능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아질산염 소거능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Nitrite Scavenging Effect

        이성희,홍이진,박형근,주상섭,김경탁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03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46 No.4

        맥엽과 이를 이용한 항산화 조성물을 제조하여 이에 존재하는 nitrite scavenging 효과와 이에 따른 발암원으로 부터의 보호 효과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맥엽과 항산화 조성물 모두 수층에 비하여 메탄올층에서 아질산염 소거능이 2배 이상 높게 나타나 M-BL50의 0.01㎎/㎖ 농도에서 약 64.3%, M-AM 0.01㎎/㎖의 처리군이 이보다 약간 높은 68.3% 정도로 나타내었다. 마우스 단핵구 기원인 RAW 264.7(macrophage, mouse)에 맥엽과 항산화 조성물의 수층과 메탄올층을 처리하고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수층 처리군에 비해 메탄올층 처리군에서 모두 세포 생존율이 더 낮게 측정되었으며 모든 시료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세포 증식이 억제되었다. 특히, M-AM을 처리한 군의 경우 모든 농도에서 가장 낮은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어 항산화물 첨가에 의해 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상승됨을 알 수 있었으며, IC_(50) 수치 또한 메탄올층과 A-AM 시료 처리군에서 현저히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세포 내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역시 마찬가지로 맥엽 입자 크기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수층 처리군에 비해 메탄올층 처리군과 항산화물을 첨가한 군에서 모두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어 맥엽 및 기타 항산화물을 섭취함으로써 체내에서의 니트로사민 생성을 억제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biofunctional characteristics, namely nitrite scavenging effect of barley leaves (BL) and their mixture (AM) with other antioxidants. Aqueous or methanol extracts were obtained from BL and AM. Aqueous and methanol extracts from barley leaves had relatively higher nitrite scavenging effects and its activities and contents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 activities and contents of methanol extracts obtained from BL and AM were higher than those of aqueous extracts. Especially, AM containing BL and other antioxidant mixture had the highest activities and contents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BL or AM were added to macrophage cells of RAW 264.7 Survival rates of the cells treated with BL and AM were measured to be different. IC_(50) value de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by the addition of aqueous or methanol extracts from BL and AM. Especially, methanol extracts of AM had the highest nitrite scavenging effects. Thus, BL and AM may have protective effect against carcinogen and immune ability against reactive molecules through NO (nitric oxide) signal pathway. From the above results, barley leaves appear to contain natural anticancer and immune-related agents and may have potentiality to be used as functional food ingredients.

      • KCI등재
      • KCI등재

        난류(卵類)의 지질성분 및 지방산 조성 분석 : 달걀, 기러기알, 총둥오리알 cage system , open barn system's hen egg , moscovy duck's egg mallard's egg

        구성자,홍이진,윤혜경 한국조리과학회 1999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15 No.6

        일반란, 천연란, 고센란. 청등오리알, 기러기알의 지질성분 및 지방산 조성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식부 100g에 대한 지질 비율은 기러기알>고센란>청둥오리알>일반란>천연란 순으로 기러기알이 가장 높았고, 지질중 TG 비율은 일반란>고센란>천연란>청둥오리알>기러기알 순으로 일반란의 TG함량이 가장 높았다. Cholesterol함량은 난황 1g당 일반란이 14.14mg로 가장 높았고, 청둥오리알과 13.30mg으로 가장 낮았고, total lipid에 대한 cholesterol함량은 일반란이 4.5%로 가장 높았고, 청둥오리알과 기러기 알이 3.3%로 가장 낮았다. 방사구란과 비방사구란을 중성지질, 당지질 및 인지질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중성지질은 방사구란에 비해 비방사구란이 더 높았고, 당지질과 인지질의 경우에는 반대로 비방사구란보다 방사구란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특수란의 경우 중성지질 함량은 청둥오리알보다 기러기알이 더 낮았고, 두 종류 모두 달걀류보다 더 낮은 값이였다. 또한 당지질과 인지질은 청둥오리알보다 기러기알에서의 함량이 더 높았고, 두 종류 모두 달걀류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분획한 중성지질과 당지질, 인지질 모두 TLC에 의한 정성반응을 통해 성분 확인을 하였다. 필수 지방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linolenic acid 함량은 기러기알에서, linolenic acid 함량은 고센란에서 가장 높았다. Arachidonicacid와 EPA함량는 기러기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달걀류에서는 EPA값이 측정되지 않았다. DHA함량은 기러기알>천연란>일반란>고센란>청둥오리알 순으로 기러기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e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various poultry eggs were examined after extracting yolk oils from the eggs of caged hen, open barn-reared hen, mallard, and muscovy duck. Total lipid content in 100 g of each edible portion was the highest in muscovy duck egg followed by open barn-reared hen, mallard, caged hen, and natural hen eggs. The triglyceride contents in the egg were in the order of caged hen, open barn-reared hen, natural hen, mallard, and muscovy duck. The cholesterol contents in total lipid were the highest in caged hen and muscovy duck eggs(4.5%), and the lowest in mallard(3.3%). Caged hen eggs had higher neutral lipid ratio among total lipid, but had lower ratio of glycolipid and phospholipid compared with those of the open barn-reared hens. For fatty acid composition, linoleic acid was the highest in the muscovy and linolenic acid was the highest in open barn-reared hen eggs. The contents of arachidonic acid and Eicosapentaenoic acid(EPA) were the highest in muscovy eggs.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of Docosahexaenoic acid(DHA) was the highest in muscovy duck eggs.

      • KCI등재

        어류의 가열조리 및 보존에 의해 생성되는 변이원성 물질의 정량적 해석과 제어법

        구성자,홍이진,이준경 한국조리과학회 2000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16 No.6

        섭취 빈도가 높은 어류중 붉은 살 생선인 고등어(Mackerel), 삼치(Saury pike), 방어(Yellowtail), 연어(Salmon), 흰 살 생선인 조기 및 염장조기(Croaker, Salted Croaker), 및 갈치(Trichiurus)를 시료로 하여 , 가스그릴, 전기그릴과 microwave oven으로 가열조리한 후 일정기간 동안 냉장 및 냉동 보존한 시료와 보존한 시료를 microwave로 재가열하였을 때 변이원성을in vitro test로 Ames/Salmonella assay를, in vivo test로 Micronucleous test를 실시하여 검색하고, 그 제어방법으로 항암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녹황색 채소즙으로 전처리하여 돌연변이 억제능을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지질의 과산화도를 측정하여 변이원 생성과 과산화 지질간의 상관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어류의 가열조리에 의해 대조군(생시료)보다 변이원성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는데, 생성된 변이원은 모두 농도 의존성을 나타내었으며, 5 mg/plate인 농도구간에서 돌연변이원성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2. 조리온도가 높아질수록 변이원성이 유의적으로 높아졌으며 대사활성물질을 첨가했을 경우 무첨가시보다 2-4배 정도 돌연변이원성이 높게 나타났다. 3. 조리기기에 따른 복귀 돌연변이균수는 가스그릴과 전기그릴군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MW에서 조리한 시료의 경우에는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4. 생선 종류별 변이원성을 검색한 결과 흰살 생선이 붉은 살 생선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변이원성을 나타내었으며, 붉은 살 생선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고등어가 약간 높은 변이원성을 나타내었고, 흰살 생선중에서도 유의차는 없었으나 염장조기가 가장 낮은 변이원성을 나타내었다. 5. 채소즙 및 녹차 추출물로 처리 후 가열조리을 한 시료의 경우 모두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변이원성이 억제되었으며, 녹차>생강>무 순으로 변이원성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6. 저장에 의해 돌연변이원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는데, 냉장 저장시 저장 3일째부터, 냉동저장시에는 저장 7일째부터 변이원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냉동저장보다 냉장저장시 더 높은 변이원성을 나타내었고 MW에 의한 재가열에 의해 변이원성이 증가되었다. 7. Micronucleus test 결과, 조리온도가 증가할수록 골수 소핵 형성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고, 채소중 처리군의 경우 생강>녹차>무 순으로 골수 소핵 형성 억제효과를 보였다. 8. 조리, 재가열 및 저장 조건에 따른 산패도(TBA value)를 측정한 결과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산패도가 증가하였고 냉장 저장시료의 경우 저장 3일째부터 유의적으로 산패도가 증가되었으며 냉동 저장 시료의 경우에는 저장 7일째부터 유의적으로 높은 산패도를 나타내었다. 냉장저장 시료가 냉동저장 시료보다 더 높은 산패도를 나타내었으며, microwave에 의한 재가열에 의해 산패도가 증가되었다. 9. 채소즙 및 녹차 추출물로 처리 한 고등어의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EDA) 측정 결과는 양파>녹차>생강>양배추 순으로 양파의 전자공여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10. 전기그릴 260℃에서 조리한 시료의 냉장저장 및 냉동저장에 따른 변이원성과 과산화지질 생성간의 상관관계는 냉장 저장했을 때 0.93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재가열했을 경우 0.98로 상관관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냉동저장 역시 0.92를 나타내어 상당히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재가열했을 경우에는 0.98로 오히려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mutagenicity of fish by cooking and storage. Mutagenicity of the fish extract was measured by Ames test(Salmonella typhimurium reversion assay with TA 100) in virto and by micronucleus test in vivo. The fish samples screened in this study were white fish(Trichiurus, Croaker, Salted Croaker) and red fish(Saury pike, Mackerel, Yellowtail, Salmon). The number of revertants of red fish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white fish. And the mutagenicity of mackerel was higher than other red fish, so followed experiment was made by using the extract of mackerel. Mutagenicity of the samples cooked on microwave oven was the lowest,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amples cooked on gas grill and the ones on electric grill. In the presence of S9 mixture, the methanol extract of mackerel showed 2∼4 times high values of mutagenicity in comparison with the extract without S9. The extract of mackerel cooked with various vegetable juices showed inhibitory effects on the mutagenicity in the order of green tea, ginger, and radish. Also, the number of revertants was increased in the stored samples. Mutagenicity of the samples stored in the refrigerator was higher than that of the freezer. In micronucleus test, the methanol extract treated with vegetable juice inhibited micronucleus formation in bone marrow by cyclophosphamide in the order of ginger, green tea. and radish. In TBA test, there was a tendency that TBA values were increased as the storage time increased. Also, the rancidity of sample were stored in the refrigerator was higher value than sample stored in the freezer. Samples cooked on microwave oven showed the highest value in rancidity. When the antioxidant effect of vegetable juice was measured by electron donating ability(EDA) of mackerel cooked with vegetable juice to DPPH, the samples treated with onion showed the highest value of EDA(%), and the samples treated with green tea, ginger and cabbage also showed the antioxidant effect.

      • KCI우수등재

        저분자 펩타이드와 녹차잎 및 식이 섬유소 함유 SG-30 다이어트 프로그램이 영양소 섭취 상태, 복부 비만 및 혈청 지질 성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성희,김동명,구성자,주상섭,박형근,홍이진,이민숙,진동규 대한비만학회 2003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2 No.1

        연구배경: 저분자 펩타이드와 녹차잎 및 식이 섬유소 함유 SG-30 다이어트 프로그램이 영양소 섭취 상태, 복부비만 및 혈청 지질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법: 서울 지역에 거주하고 일상식이를 하는 20∼30대 여성 47명을 차상으로 1일 4.0 g의 저분자 펩타이드와 녹차잎 및 식이 섬유소 함유 SG-30 diet supplementation을 한 달 정도 섭취하도록 하여 2002년 4월 1일부터 5월 30일에 실시하였다. 결과: 실험군의 평균 연령은 26.2세, 평균신장은 161.7 cm, 평균 체중은 60.7 kg, BMI 평균은23.4이었다. SG-30 diet supplementation 전에 비하여 보충 후에 위약군의 총열량. 당질 지질 단백질, 식이 섬유소 섭취량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SG-30 diet supplementation군의 경우 총열량은 보충 전보다 보충 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p<0.01), 체중 변화는 유의적인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보충 전에 비하여 보충 후에 3.0 kg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MI는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p<0.01). 체지방량 변화는 보충 후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으로(p<0.001) 보충 전에 비해 2.0 kg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허리-엉덩이둘레비율(WHR)의 경우 SG-30 diet supplementation 군에서 보충 전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p<0.01), 복부비만 해소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클레스타롤과 LDL 콜레스라를 변화 또한, 보충 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G-30 diet supplementation 후에 따른 상관관차를 분석한 결과로 HDL 콜레스라롤은 BMI와 허리-엉덩이둘레비율에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0.01). LDL/HDL 비는 BMI와 p<0.01 수준에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허리-엉덩이둘레비율과는 p<0.05 수준에서 양의 상관관계나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한달 동안의 일상식이를 섭취하면서 저분자 펩타이드, 녹차잎 및 식이 섬유소의 보충은 체지방의 감소 효과 뿐만 아니라. 혈청 내 총콜레스라롤과 LDL 콜레스테롤 수준의 감소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신체의 부위 중 복부의 지방을 감소시켜 복부 비만 관리 및 체지방 관련 위험율을 감소시키는 결과가 나타났다. Background: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nsequent nutrient intake status, influences of body mass index (BMI) and serum lipid composition, and fat distribution on the low-molecule peptide, green tea leaves and dietary fiber supplementation, SG-30 diet program. Methods: During 2 months of this research (April to May, 2002), 47 women aged 20yr-30yr (average age 26.2yr) were selected as subjects. Nutrient intake was investigated by questionnaire and 24-hr recall method. Antropometric assessments of the subjects were investigated by SBIA method (Segmental bioimpedance assay, Inbody 3.0). Results: Mean body weight was 60.7kg, mean body height 161.7cm and mean BMI 23.4. Status of energy intakes significantly decreased (p<0.01) and dietary fiber intakes significantly increased (p<0.00l) after SG-30 diet supplementation. BMI and WHR (waist-hip ratio) significantly decreased (p<0.01) and body fat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SG-30 diet supplementation (P<0.00l).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SG-30 diet supplementation (P<0.05). HDL-cholesterol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BMI and WHR(p<0.0l). LDL/HDL ratio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MI (p<0.01) and WHR (p<0.05). Conclusion: Abov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low-molecule peptide, green tea leaves and dietary fiber supplementation, SG-30 diet progran-added routine diet improves body fat distribution,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Especially, decrease of abdominal fat and WHR were notable. That meant decrease of risk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