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성별에 따른 한국 청소년의 수면 양상의 차이

        정준수(Jun-soo Chung),최은혜(Eunhye Choi),현예린(Yerin Hyun),김지예(Jiyea Kim),김붕년(Bung-Nyun Kim),박수빈(Subin Park),박민현(Min-Hyeon Park)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19 사회정신의학 Vol.24 No.2

        연구목적 : 여성들은 성인기와 청소년기에 남성들에 비해 수면장애의 위험이 더 높았다. 발달과 관련된 생물학적 요인, 더 높은 수준의 우울, 더 심각한 불안 증상 및 불량한 수면 위생 습관에서 비롯된 수면문제들이 남자 청소년들보다 여자 청소년들에게 더 만연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수면 관련 변인과 정신 건강 변인의 성별 차이를 살펴보았다. 방 법 : 본 연구는 서울 소재의 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n=802)을 대상으로 청소년과 그들의 부모에게 동의를 얻은 후, 불면증 심각도, 주간 졸음, 수면 습관, 우울, 불안, 인터넷 중독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면 및 정신 건강 변인의 성별 차이를 측정하기 위해 독립 t-test와 ANCOVA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여자 청소년들은 연령과 우울 수준이 보정되었을 때 훨씬 더 심한 불면과 더 높은 주간 졸음 수준을 나타냈다. 우울 수준의 성별 차이 또한 유의미하게 컸지만 연령이 보정되며 그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게 되었다. 게다가 여자 청소년들은 연령이 보정되었을 때도 남자 청소년들보다 훨씬 높은 수준의 불안감을 보였지만 인터넷 중독 심각도는 더 낮은 수준을 보였다. 결 론 : 본 연구 결과는 우울과 정신사회적 요인 외에도 수면의 질에 있어 성별 차이를 초래하는 생물학적 요인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수면 문제에 대해 성별에 따른 다른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 Women were at higher risk of sleep problems compared to men both in adulthood and during adolescence. Sleep problems that were more prevalent in female adolescents than in male adolescents resulted from biological factor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higher level of depression, more severe anxiety symptom and poor sleep hygiene practices.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ender difference in sleep related variables and mental health variables in adolescents. Methods : Adolescents (n=802) were recruited in the school located in Seoul. After obtaining the consent from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the questionnaire, measuring insomnia severity, daytime sleepiness, sleep habits, depression, anxiety and Internet addiction, was administered. Independent t-tests and ANCOVA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gender difference in sleep and mental health variables. Results : Girls showed significantly more severe level of insomnia and higher level of daytime sleepiness when the age and the depression level were adjusted.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level of depression was also significant but became non-sig-nificant when the age was adjusted. Moreover, gir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anxiety but lower Internet addic-tion severity than boys even when the age was adjusted. Conclusion :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there is biological factor that leads to gender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sleep in addition to depression and mental social factors. Thus, it is suggested that different interventions are necessary for adolescents’ sleep problems depending on gen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