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무형문화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및 활용을 위한 연구

        한희정,오효정,김태영,김용,Han, Hui-Jeong,Oh, Hyo-Jung,Kim, Tae-Young,Kim, Yong 한국비블리아학회 2016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7 No.2

        무형문화유산은 그 형태와 관계없이 매우 중요한 의미와 가치를 지닌다. 과거의 생활과 전통을 있는 그대로 전해주는 역사적인 의미와 더불어 시대적 사회상을 반영하는 유용한 자원으로써 무형문화유산이 지니는 가치는 사회발전에 중요한 원동력이 된다. 따라서 효과적인 무형문화유산의 관리 및 활용에 필요한 체계적인 연구는 매우 중요하며 그 활용성 또한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체계적으로 무형문화유산을 관리하고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디지털 측면에서 제안하고자 한다. 이에 우선 무형문화유산 디지털 아카이빙 현황을 비교분석한 후, 무형문화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개발을 위해 문화거버넌스를 기반으로 한 정책개발과 표준화된 관리기반기술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무형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 구축을 위한 체계화된 방법론을 개발하여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ossesses the extremely important meaning and value irrespective of its form. The value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ecomes the important driving force in the social development as useful resources of reflecting social aspects and historical records that the life and tradition of past is delivered. Hence,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method to manage and provide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yntagmatically from the digital aspect. For this the plan, the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digital archiv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onsequently, based on the analysis, policy based on cultural governance and standardized management factors were developed. The method to materialize digital contents was developed for constructing digital archives and utiliz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an be facilitated.

      • KCI등재

        공공데이터포털 이용자 서비스 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 - 시민참여형 데이터포털을 중심으로 -

        한희정,황성욱,이정민,오효정,Han, Hui-Jeong,Hwang, Sung-Wook,Lee, Jung-min,Oh, Hyo-Jung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0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1 No.1

        Recently, as the range of users utilizing open data has expanded from experts to students, and general citizens, the role of open data portals has changed. In the past, portals have neglected to increase data utilization through citizen participation by focusing on the role of simple data repository, but now they tend to focus on understanding, collaboration and sharing values so that users can actively use data. To meet these social trends, open data portals need to seek ways to improve user-centered services that can encourage citizen particip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ain functions for citizen participation in open data portal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open data portal user services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m. Through the literature research, we investigated the functions provided by portal services for citizen participation, deduced the types of user services, and analyzed open data portal user services. Furthermore, we suggested user-centered public data portal services improvement plans for citizen participation. 최근 공공데이터를 활용하는 이용자의 범위가 전문가부터 학생, 정부 관계자, 일반 시민까지 확대됨에 따라, 공공데이터포털의 역할도 변화하고 있다. 과거의 포털은 단순한 데이터 저장소(Data Repository)로서의 역할에 치우쳐 시민의 참여를 통한 데이터 활용을 높이는 데에는 다소 소홀하였다면, 현재는 이용자가 적극적으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이해·협업·공유 가치에 방점을 두는 추세이다. 이러한 사회적 흐름에 부응하기 위해 공공데이터 포털은 시민의 참여를 장려할 수 있는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개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데이터포털에 시민참여를 위한 주요 기능을 규명하고 현재 운영 중인 공공데이터포털 이용자 서비스의 현황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개선방안 제시를 최종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 조사를 통해 시민참여를 위해 포털 서비스에서 제공되고 있는 기능들을 조사하고 분류하여 이용자 서비스 유형을 도출한 후, 이를 기준으로 국내외 공공데이터포털 이용자 서비스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공공데이터포털이 제공하는 이용자 서비스의 문제점과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한 후 시민참여를 위한 이용자 중심의 공공데이터 포털 서비스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재난안전정보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온라인 기록정보 현황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한희정,박태연,오효정,김용,Han, Hui-Jeong,Park, Tae-Yeon,Oh, Hyo-Jung,Kim, Yong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7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8 No.2

        재난에 대한 선제적 대응과 예방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재난안전 기록정보자원을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보존하여 관리 및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재난안전 유관기관들이 실제 생산한 기록정보자원 중 온라인 상에 공개된 텍스트 기반의 문서기록자료의 유형과 현황을 분석한 후, 이들 문서기록에 기술되어 있는 재난정보와 그 유형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또한 재난안전정보 아카이브 구축 관련한 현장인터뷰를 통해 실제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을 수렴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재난안전관련 기록정보자원의 관리체계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재난안전정보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In order for preemptive response and prevention against disasters,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collect, preserve, manage, and utilize the information resources of records related with disaster safet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types and status of text-based document archives among the records information resources which were published and produced by the disaster safety-related institutions via online. Detail types analysis of disasters in document archives also was conducted. Based on filed interviews, the actual users' requirements for the disaster safety information archives are converged.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basis for building of disaster safety information archives by deriving improved management strategies of disaster safety records resources.

      • KCI등재

        영구기록물관리 법제도에 관한 연구 - 중국, 독일, 러시아를 중심으로 -

        한희정,김건,박태연,이정은,윤은하,Han, Hui-Jeong,Kim, Geon,Park, Tae-Yeon,Lee, Jung-eun,Youn, Eunha 한국비블리아학회 2019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0 No.2

        우리나라 "공공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 제11조에 따르면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도 또는 특별자치도는 소관 기록물의 영구보존 및 관리를 위하여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을 설치 운영해야 함을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국내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설립 및 운영이 확산되고 있지만 아직 도입단계라서 법적으로 이들 기관들의 사명과 역할 등이 구체적으로 규정되어 있지는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이를 뒷받침할만한 법제도적 근거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을 운영하고 있는 중국, 러시아, 독일을 대상으로 이들 나라의 영구기록물관리를 위한 법제도를 기본 운영 정책 측면, 기록의 수집 및 이관 측면, 기록의 관리 측면, 기록의 서비스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영구기록물관리를 위한 법제도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According to article 11 of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of Korea, metropolitan city, special self-governing city, province or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should establish archival institutions for permanent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records. As a result,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rchival institutions in Korea has been increase, but since it is still in the stage of introduction, the mission and role of these archives have not been specified by archives act. Therefore, we need to establish a proper legal basis to support it. To do this, it explores the archives act in China, Russia and Germany in terms of basic operational policy, collection and transfer of records, management of records, and service of records. As a result, the study presents some implications for the archives act for the management of archives in Korea.

      • KCI등재

        학교 공간의 혐오·차별 현상 연구

        한희정(Hee Jeong, Han)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21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6 No.4

        혐오표현은 차별을 조장하거나 확산시킨다. 한국 사회에서 2011년 이후,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한 혐오는 청소년에게도 큰 영향을 미친다. 제 21대 국회는 차별금지법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4개의 법안을 발의하여 논의 중인데, 사회와 학교의 현실개선에 가장 효과적인 내용을 담을 것이 요구되었다. 이데올로기적 국가기구로서의 학교 공간은 국가가 원하는 시민 주체를 재생산해낸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초·중·고등학교 공간에서 벌어지고 있는 혐오·차별 현상을 파악하여 유형별로 구분하고 각각의 실태를 실제 사례를 통해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초·중·고등학교 현직 교사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심층 인터뷰의 녹취록과 대학생 30명(2016학번~2021학번)의 학교 차별과 혐오의 경험담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성차별 및 여성혐오, 외모차별, 장애차별, 다문화차별, 학력차별, 계층차별 등이 상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시급한 해결책은 학생은 물론 교사와 학부모 대상의 포괄적 성교육 및 인권교육의 의무적 실시와 확대 방안이다. 이와 함께 학교 공간의 편견, 배제, 차별, 혐오 현상의 시정을 위한 장기적 개선 과제로 성과주의, 학력주의, 능력주의가 팽배한 교육의 패러다임 전환을 제안하고자 한다. Hate speech justifies, promotes, and reinforces discrimination. Hatred, which began to appear in earnest after 2011 in Korean society, greatly impacts adolescents. The 21st National Assembly recognized the need for the Anti-Discrimination Act and proposed and debated four bills, which were required to contain the most effective content to improve society and schools. Schools, as an ideological state apparatus, reproduce the civic subjects desired by the state. This study’s purpose is to identify the phenomenon of hate and discrimination with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Korea, to classify hate and discrimination by types, and to examine each situation through real-world examples. Through the study’s research methodology, transcripts of in-depth interviews with in-service teache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were analyzed, along with the experiences of school discrimination and hatred reported by 30 college students enrolled between 2016 to 2021. The analysis results uncovered the presence of sexism, misogyny, lookism, disability discrimination, multicultural discrimination, academic discrimination, and class discrimination. The most urgent solution would be the mandatory implementation and expansion of comprehensive sex education and human rights education for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As a long-term improvement intervention to reduce the phenomenon of prejudice, exclusion, discrimination, and hate in school environments, I would also like to propose a paradigm shift in education, which is currently dominated by performanceism, academic achievementism, and meritocrac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