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마우스 줄무늬복합체 콜린성 신경세포의 출생 초기 연접 형태에 관한 연구

        한후재(Hoo Jae Hann),이희래(Hee Lai Lee) 대한해부학회 1999 Anatomy & Cell Biology Vol.32 No.2

        줄무늬복합체 콜린성 신경세포의 연접 형태는 출생 이후 계속 변화하며 또한 그 차이는 연접의 기능상태를 반영한다고 한다. 성숙동물에서의 연접 형태에 관하여는 이미 많이 알려져 있으나, 출생 초기 마우스에서 줄무늬복합체 콜린성 신경세포의 연접 형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 없다. 이에, 본 연구는 면역조직화학염색을 병행한 전자현미경적 연구를 통하여 출생 초기 마우스에서 줄무늬복합체 콜린성 신경세포의 연접 형태를 관찰하고, 이를 통하여 출생 이후 연접의 형태가 변화하는 양상과 구획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동물은 ICR mouse를 사용하였고 생후 3일, 1주, 2주, 4주, 6주의 5군으로 나누어 각 군별로 5마리를 준비하였다. anti-choline acetyl transferase를 사용하여 포매전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면역반응 양성돌기들이 연접이전부분을 구성하는 경우, 연접은 대부분 대칭연접의 형태를 보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전 연령군에서 유사하였다 (p<0.05). 등쪽줄무늬체의 연접 형태는 생후 1주부터, 배쪽줄무늬체의 연접 형태는 생후 2주부 터 성숙기와 유사한 분포를 보였다. 2. 면역반응 양성돌기들이 연접이후부분을 구성하는 연접의 경우, 전 연령군에서 대칭연접과 비대칭연접이 거의 같은 비 율로 나타났다 (p<0.05). 구획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3. 연접의 각 유형별로 연접 곡면도를 비교하였으나, 연령 증가 또는 구획에 따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줄무늬복합체 콜린성 신경세포의 연접 형태는 생후 2주 경부터 성숙기와 유사한 분포를 나타냈으며 이는 생후 1주 또는 2주까지의 기간이 연접이 활발히 형성 또는 변화하는 시기임을 시사한다. 한편, 연접 곡면도는 연접의 성숙 정도를 반영하지 못했으며, 따라서 연접 곡면도를 연접 성숙의 지표로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보다 조심스러운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cholinergic neurons in the striatal complex are the major interneurons that integrate the informations incoming to and outflowing from the striatum. The shape of synapses may change even after birth and the synaptic morphology reflects the functional state of synapse. However, it is not well known about the synaptic morphology of the mouse striatal cholinergic neurons in their early postnatal life. Thus, we investigated the synaptic morphology of the mouse striatal cholinergic neurons in their early postnatal life by the electron microscopy combined with immunohistochemistry.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trends of change in synaptic morphology and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wo compartments exists or not. Experimental animals which are ICR mice, were divided into 5 groups according to their postnatal age: 3-day, 1-week, 2-week, 4-week, and 6-week. Pre-embedding immunohistochemistry was done with anti-choline acetyl transferase antibo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synapses that immunoreactive terminals constitute the presynaptic components, most of synapses are symmetric type in all age groups (p<0.05). Most of synapses in the dorsal striatum are symmetric form from 1-week of postnatal age, but it is not prominent in the ventral striatum until 2-week of postnatal age. 2. In synapses that immunoreactive terminals constitute the postsynaptic components, both symmetric and asymmetric synapses are noted in similar proportions (p<0.05). There are no difference in the synaptic morphology between dorsal and ventral striatum. 3. No specific findings are observed in synaptic curve according to the postnatal age or compartment. In conclusion, the synaptic morphology of mouse striatal cholinergic neurons is similar to mature pattern from 2-week of postnatal age. And it is thought that period between birth and 2-week of postnatal age is the critical period for synaptogenesis. The synaptic curve does not reflect the degree of synaptic maturity. Further investigations will be required to generalize the synaptic curve as a marker for synaptic maturity.

      • KCI등재

        신생흰쥐에서 6-OHDA 투여 후 줄무늬체 Tyrosine Hydroxylase 면역반응성 신경세포의 출현

        한후재(Hoo Jae Hann) 대한해부학회 2003 Anatomy & Cell Biology Vol.36 No.2

        흰쥐 줄무늬체(striatum)에는 흑색질(substantia nigra)에서 투사되는 도파민성 신경말단이 분포하지만, 도파민성 신경세포체는 존재하지 않는다. 연구자는 신생흰쥐에서 선택적 신경독성물질인 6-hydroxydopamine (6-OHDA)으로 유발된 반파킨슨병(hemiparkinsonian) 동물모델을 만드는 과정에서, 줄무늬체 내에 tyrosine hydroxylase (TH)-면역반응성 신경세포들이 출현하는 것을 관찰하고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실험동물은 신생 Fischer 344 흰쥐를 사용하였고, 각각 생후 7일과 14일군으로 나누어 오른줄무늬체에 6-OHDA를 주입하고 일정기간 후 희생시켜 TH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TH-면역반응성을 보이는 세포들은 6-OHDA 주입 후 3일째에 처음 출현하였고, 본 연구의 최장생존기간인 손상 8주 후에도 관찰되었다. 이들은 주로 배쪽가쪽줄무늬체 (ventrolateral striatum), 줄무늬체-창백핵경계부 (striato-pallidal junction)와 창백핵 (globus pallidus)에 분포하였고, 신경세포 표지자인 NeuN과의 이중면역염색을 통해 신경세포로 확인되었다. 6-OHDA 주입군에서는 양쪽 줄무늬체에서 TH-면역반응성 신경세포를 관찰할 수 있었으나, 정상대조군이나 용매주입 대조군에서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이들이 뇌실밑층 (subventricular zone) 또는 줄무늬체의 줄기세포 (stem cell)에서 기원하는가 알아보기 위하여 bromodeoxyuridine (BrdU)으로 분열중인 세포를 표지하였으나, TH와 BrdU 면역반응성은 같은 세포에서 관찰할 수 없었다. 즉, 흑색질줄무늬체경로(nigrostriatal pathway) 손상 후 출현하는 줄무늬체의 TH-면역반응성 신경세포들이 줄기세포에서 기원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파민성 신경계통 자체가 가진 손상에 대한 보상잠재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기전 및 이와 관련된 인자들에 관한 연구가 보강된다면, 파킨슨병 치료방향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게 될 것으로 보인다. Tyrosine hydroxylase-immunoreactive (TH-IR) neurons are known to exist in the substantia nigra pars compacta (SNpc), but not in the striatum in normal rats. In this study, injection of 6-OHDA into the 7 or 14 day neonatal rat striatum resulted in the appearance of ectopic TH-IR neurons in striatum. TH-IR cells were observed as early as postlesion day 3 and confirmed as neurons by TH/NeuN double immunohistochemistry. One or two neurons were found in most striatal sections at post-lesion day 4 where they were preferentially located in the ventro-lateral striatum, striatopallidal junction and globus pallidus. A small portion of these neurons persisted at least until post-lesion day 56, the oldest age studied. TH-IR neurons were found bilaterally in 6-OHDA-lesioned animals, but never in normal or vehicle-injected controls. To determine if these neurons resulted from stem cells, bromodeoxyuridine (BrdU) was injected daily for the first five days to label dividing cells. There was no co-localization of TH and BrdU immunoreactivity, excluding the possibility of stem cells as the source of these neurons. Although the TH-IR neurons were not numerous, their appearance following injury to the nigrostriatal system suggests that there is a capacity in neonatal brain to compensate for this lesion by upregulating dopaminergic phenotypic characters in pre-existing cells. The mechanism underlying this interesting phenotypic plasticity is unknown, but may be relevant to developing novel therapies for Parkinson’s disease through stimulation of the brain’s own potential for repair.

      • KCI등재후보

        흰쥐의 각막에서 상피세포 이주에 관한 연구

        한후재(Hoo Jae Hann),이희래(Hee Lai Lee) 대한해부학회 1999 Anatomy & Cell Biology Vol.32 No.3

        대부분의 중층편평상피에서는 상피 전체 바닥층의 바닥세포가 기간세포 (stem cell)로 작용한다. 그러나, 각막상피에는 예외적으로 가장자리부위 (limbus)에만 기간세포가 존재한다는 보고가 지배적이나, 세포분열 지표 등을 이용한 간접적인 연구에 한정되어 있다. 이에 연구자들은 성장기 및 성숙흰쥐의 각막상피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세포 이주와 관련된 형태학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동물로는 Sprague-Dawley 흰쥐를 사용하였고, 배자기말, 생후 5일, 10일, 15일 및 성숙기의 5군으로 나누어 각막상피를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막상피의 중층화 : 각막 상피세포층의 수는 생후 10일 이후로 현저히 증가하여 생후 15일경에는 9 ~ 10층을 이루었으 며 이후로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2. 상피세포의 이주 : 생후 10일과 성숙기의 각막상피에서는 세포사이공간이 매우 넓어져 있었다. 특히, 성숙기 각막상피의 바닥층에서는 바닥세포의 바닥면쪽 반부착반점 사이의 세포사이공간이 가장자리부위쪽부터 커지면서 중심부위쪽 바닥면을 발판으로 하여 일어서듯 세포가 중심부위쪽으로 밀리고 또한 표면층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생후 10일경 세포사이공간이 현저히 넓어지는 소견은, 흰쥐의 개안시기에 상피세포의 활발한 이동에 따른 상피세포층의 급격한 증가현상으로 여겨진다. 성숙흰쥐에서 상피세포들이 가장자리부위에서 중심부위로 향하는 방향성은, 이 시기에는 가장자리부위의 바닥세포만이 각막상피의 기간세포로 기능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In the stratified squamous epithelium, most of basal cells in the entire epithelium function as stem cells. But many researchers report that stem cells in the corneal epithelium are located exclusively in the limbus. We planned to investigat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igrating corneal epithelial cells by the electron microscopy. Sprague-Dawley rats at fullterm, postnatal day 5, 10, 15, and adult were used as experimental anima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Stratification of the corneal epithelium : The number of layers in the corneal epithelium was dramatically increased in the period between postnatal day 10 and 15. 2. Migration of the corneal epithelial cells : In the groups of postnatal day 10 and adult, wide intercellular spaces were noted. Especially in the adult, the limbal side of basal cells was being lifted from the Bowman's membrane and centripetal polarity of them are noted.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e wide intercellular spaces at postnatal day 10 seems to be resulted from the migration of corneal epithelial cells for epithelial stratification. The centripetal polarity of limbal basal cells in adult rat suggests that only the limbal basal cells may function as stem cells in that period.

      • KCI등재

        흰쥐의 미숙아망막병증 모델에서 별아교세포와 부챗살아교세포의 형태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

        한후재(Hoo Jae Hann),김영화(Young Hwa Kim),이희래(Hee Lai Lee) 대한해부학회 2002 Anatomy & Cell Biology Vol.35 No.1

        목적 : 미숙아망막병증(retinopathy of prematurity)은 산소치료를 받은 미숙아의 망막에 비정상적인 혈관신생이 일어나는 상태를 가리키며, 고도근시 및 시력소실을 유발할 수 있는 질환이다. 이 질환은 망막혈관의 발생시기에 혈관재배열과정의 조절기전 장애로 인해 발병하는 것으로 여겨지나, 망막내 혈관신생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부챗살아교세포와 별아교세포의 형태 변화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연구자는 신생흰쥐에서 미숙아망막병증을 유발하고, 망막신경아교세포들의 형태학적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생후 6일째의 신생흰쥐를 네 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생후 2주까지는 고산소/저산소환경 (산소분압 55/15%, 75/15%, 80/10%; 제 II, III, IV군)에 24시간 주기로 교대로 노출시킨 후 정상산소환경으로 옮겨 사육하였으며, 대조군은 정상산소분압(20.9%; 제 I 군) 하에서 지속적으로 사육하였다. 일정한 시기에 동물을 희생시켜 ADPase 반응으로 혈관발달의 정도를 평가하고, 망막내 신경아교세포들의 형태학적 변화를 전자현미경으로 살펴보았다. 결과 : 산소분압차가 가장 크고 저산소증의 정도가 심한 제IV 군에서는 생후 2주 이후에 희생시킨 12예 중 4예에서, 그 리고 제 III 군에서는 2예에서, ADPase 반응상 유리체 내로의 혈관신생이 확인되었다. 유리체 내로 혈관신생이 일어난 경우,부챗살아교세포의 세포질돌기로 이루어진 속경계막의 해체소견과 더불어 부챗살아교세포의 세포질이 이루는 속핵층 신경세포 사이간격의 감소가 관찰되었으나, 세포질 돌기내의 세포소기관들은 비교적 잘 유지되어 있었다. 별아교세포의 변성소견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망막내 출혈부위나, 유리체-망막경계면에서는 미세아교세포나 포식세포의 침윤이 관찰되었다. 속핵층에서는 신경세포로 여겨지는 일부 세포들의 세포사 소견이 관찰되었다. 결론 : 미숙아망막병증에서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혈관신생에는 부챗살아교세포돌기의 퇴축과 이로 인한 속경계막의 균 열이 주요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이며, 별아교세포는 형태학적으로 뚜렷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Objectives : Retinopathy of prematurity (ROP) is one of the major cause of vision loss among children. Recently, the prevalence of ROP is markedly increasing as the survival rate of very-low-birth-weight premature infants has been improved. It is widely accepted that retinal hypoxia results in the release of factors influencing new blood vessel growth. But, it is little known about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retinal astrocytes and Muller cells in the ROP model. So, we planned to investigate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those retinal glial cells induced by alternating hyperoxic and hypoxic injury in ROP. Methods : Newborn rats (postnatal day 6) were exposed to two different oxygen concentrations alternating every 24 hours until postnatal day 14. Used oxygen concentrations were 10~15% for hypoxic episode and 55~80% for hyperoxic episode. Afterthen, they were returned to room air. A group of animal served as a room air control. Retinal vascularity was assessed by ADPase reaction and morphology of retinal glial cells was observed using transmisson electron microscope. Results : Preretinal neovascular tufts were observed in 2 out of 12 animals of group III (75/10%) and 4 out of 12 animals of group IV (80/10%), respectively. There was no remarkable structural change of astrocytes. But we could observe some morphological changes of Muller cells. Retraction of the radial processes of Muller cells and breaking of basal lamina were noted at the site of preretinal neovascularization. Decrease in the space occupied by the cytoplasmic processes of Muller cells was observed in the inner nuclear layer of group IV retinae. Infiltration of microglia or macrophage into the vitreo-retinal interface and the site of extravasation was noted. Findings suggestive of neuronal cell death were also observed especially in the inner nuclear layer. Conclusions : Morphological change of Muller cells and resultant loss of integrity of internal limiting membrane seemed to be the most important step for preretinal neovascularization. But, no structural changes of astrocytes were noted.

      • KCI등재

        출생초기 토끼망막에서 SPARC와 VEGF의 발현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한후재(Hoo Jae Hann) 대한해부학회 2008 Anatomy & Cell Biology Vol.41 No.1

        Tissue-derived angiogenic factors are thought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angiogenesis. Among hese, SPARC and VEGF are known to be involved in physiologic and pathologic angiogenesis. However, the expression of these factors in the rabbit retina, especially in the early postnatal period, remains unclear. To determine whether these factors contribute to retinal angiogenesis in the rabbit retina, expression of SPARC and VEGF was studied by immunohistochemistry at postnatal (P) days 0, 7, 14, and 28. (1) SPARC immunoreactivity was observed in the nerve fiber layer of the medullary ray and the pigment epithelium at all ages. In whole mount preparations, SPARC immunoreactivity was noted in many astrocytes surrounding nerve fibers or blood vessels in the medullary ray. (2)VEGF immunoreactivity of variable intensity was found in ganglion cells, vascular endothelial cells, and some astrocytes. VEGF immunoreactivity was detected from P0, was maintained until P14, and was markedly lower at P28. The spatial pattern of SPARC expression suggests that SPARC functions as a crucial regulator that determines the selective location of the retinal angiogenic process. The temporal pattern of VEGF expression suggests that VEGF is a major angiogenic factor involved in rabbit retinal angiogenesis. 혈관신생은 다양한 혈관형성인자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는 복합적인 과정이다.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와 SPARC (secreted protein, acidic and rich in cysteine)는 다양한 혈관신생 관련 인자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사상수질(medullary ray)에만 혈관신생이 일어나는 토끼망막에서 출생초기 연령별로 이들 인자의 발현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이들 인자와 망막혈관신생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동물은 집토끼(New Zealand white rabbit)를 생후 0, 7, 14, 28일로 나누어 각 군별로 다섯 마리를 준비하였다. 각 인자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고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SPARC는 전 시기에 걸쳐 방사상수질의 신경섬유층과 색소상피층에서 강하게 발현되었다. SPARC 면역반응성은 신경섬유 사이 또는 혈관 주위에 분포하는 별아교세포에서 주로 관찰되었다. 2.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의 면역반응성은 신경절세포, 시각신경원반의 혈관내피세포 및 일부 별아교세포에서 관찰되었다.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의 발현강도는 전반적으로 약하게 나타났으며 망막혈관신생이 활발히 일어나는 생후 7일과 14일에 비해 생후 28일에는 현저히 감소하였다. 방사상수질, 그리고 이에 위치하는 별아교세포에 주로 국한되어 발현되는 SPARC의 공간적 분포양상으로 보아 이인자는 토끼망막에서 방사상수질에만 혈관신생이 일어나도록 하는 조절자 중 하나일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혈관내피 세포성장인자의 시기적 발현양상은 이 인자가 토끼망막의 혈관신생에 관여하는 주요인자 중 하나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성숙 흰쥐에 Capsaicin 투여가 시상하부의 vasopressin 분비세포와 oxytocin 분비세포에 미치는 영향

        이종은(Jong Eun Lee),김연희(Youn Hee Kim),한후재(Hoo Jae Hann),이원택(Won Taek Lee),박경아(Kyung Ah Park) 대한해부학회 1999 Anatomy & Cell Biology Vol.32 No.6

        붉은 고추에서 매운 맛을 내는 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capsaicin은 일차 감각신경세포 및 섬유만을 선택적으로 파괴시켜 통증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에 와서 중추신경계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와 이에 대한 가능성이 계속 대두되어 왔다. 본 실험에서는 capsaicin이 중추신경계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정하에 capsaicin이 중추신경계 내에서 생성되는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상하부의 신경세포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인 vasopressin과 oxytocin 생성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성숙흰쥐에 capsaicin 50 mg/kg를 1회 피하주사로 투여한 후 시상하부에서 vasopressin와 oxytocin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시상하부의 뇌실옆핵과 시각로위핵에 존재하는 신경세포의 세포체의 면적을 계측한 결과, capsaicin은 일반 신경세포나 vasopressin 양성 반응 세포, oxytocin 양성 반응 세포 모두에서 세포체 면적의 감소를 초래하였다. 시상하부의 뇌실옆핵과 시각로위핵에서 vasopressin 양성 반응 세포와 oxytocin 양성 반응 세포들을 계수한 결과, capsaicin 주사 1개월 후부터 감소추세를 보이기 시작하여 주사후 2개월이 경과할 때까지 계속적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성숙흰쥐에 투여한 capsaicin은 시상하부의 뇌실옆핵과 시각로위핵의 vasopressin과 oxytocin 분비세포의 vasopressin과 oxytocin에 대한 면역반응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아 시상하부의 신경분비세포들이 분비하는 vasopressin와 oxytocin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Capsaicin, the pungent algesic substance of the red pepper is known to be a neurotoxic substance, interrupting the pain conducting pathwa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the adult animals,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have been done after capsaicin treatment. Capsaicin 50 mg/kg was injected subcutaneously to the adult rats and after 1 week, 1 month and 2 months later, the morphometric change of vasopressin & oxytocin-secreting cells in supraoptic and paraventricular nuclei of the hypothalamic area were investigated. The count of vasopressin- and oxytocinimmunoreactive cells in supraoptic & paraventricular nuclei were decreasing from 1 month after capsaicin treatment and these decreasing was continued until 2 months. The area of neurons in the supraoptic & paraventricular nuclei were measured and they diminished in the all kinds of neurons. With the above results, capsaicin treatment in adult rats had no effects in central nervous system neurotransmitters, however, some part of the hypothalamus where blood brain barrier was not formed were affected. Therefore central nervous system could be affected by capsaicin depending upon the location.

      • KCI등재

        Array-비교유전체보합법을 이용한 망막아세포종 세포주(Y-79, WERI-Rb-1)의 유전체이상 분석

        정혜욱(Hye-Wook Jeong),김미진(Mi-Jin Kim),한후재(Hoo Jae Hann),박수연(Soo-Yeun Park) 대한해부학회 2008 Anatomy & Cell Biology Vol.41 No.2

        Retinoblastoma is the most common intraocular malignancy in young children, arising in approximately 1 per 20,000 live births. Although it is established that the functional loss of both alleles of the RB1 gene is a prerequisite for the development of retinoblastoma, little is known about the genetic events that are required for tumor progression. To screen the genomic aberrations, two retinoblastoma cell lines, Y-79 and WERI-Rb-1, were analysed by using array-CGH. As a result, gains of AHRR, EXOC3, CEP72, TRIP13, TERT, SEMA5A, TAS2R1, MARCH6, CTNND2, CDH12, NHLRC1, TPMT, AOF1, FANCC, NCBP1, XPA, TGFBR1, BAAT, MRPL50, ZNF189, ALDOB, ABCA1, FCMD, TAL2, ZNF462, COL27A1, ORM1, ORM2, AKNA, ASTN2, TRIM32, GSN, STOM, LHX2, PBX3, ABL1, FIBCD1, WNK4, CCDC56, CNT1, BECN1, PSME3, AOC2, LOXHD1, ST8SIA5, SMAD2, KIAA0427, COL18A1, COL6A2, FTCD and LSS were found in both cell lines. Lost clones detected in both cell lines were RB1, ZDHHC3, EXOSC7, CLEC3B, CACNA2D3, DEFB106A, FAM90A6P, FAM90A7, ZMYND11, LARP5, GTPBP4, IDI2, IDI1, KLF6, AKR1CL2, FBXO18, IL15RA, IL2RA, TAF3, GATA3, CUGBP2, DHTKD1, SEC61A2, NUDT5, ITGA8, PTER, C1QL3, RSU1, DNMT2, PTPLA, PLXDC2, NEBL, MLLT10, DNAJC1, PIP5K2A, PRTFDC1, NRP1, PARD3, MGMT, RFP2OS, RFP2, KCNRG, IGHV, CDH19, TXNDC10 and RTTN. Through this study, it is confirmed that many genomic aberrations are involved i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retinoblastoma. Genomic profiling of retinoblastoma cell lines by array-CGH revealed numerous imbalanced regions and novel candidate genes. These data provide a basis for more detailed molecular characterization and testing their pathologic roles of these candidates. 망막아세포종(retinoblastoma)은 소아안구에 발생하는 암으로 RB1 유전자의 결함이 발병에 선행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종양의 진행과 관련된 유전적 지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망막아세포종의 발병 및 진행과 관련된 유전자이상을 규명하고자 array-비교유전체보합법을 이용하여 망막아세포종 세포주 (Y-79와 WERI-Rb-1)의 유전체를 분석하였다. 두 세포주 모두에서 RR, EXOC3, CEP72, TRIP13, TERT, SEMA5A, TAS2R1, MARCH6, CTNND2, CDH12, NHLRC1, TPMT, AOF1, FANCC, NCBP1, XPA, TGFBR1, BAAT, MRPL50, ZNF189, ALDOB, ABCA1, FCMD, TAL2, ZNF462, COL27A1, ORM1, ORM2, AKNA, ASTN2, TRIM32, GSN, STOM, LHX2, PBX3, ABL1, FIBCD1, WNK4, CCDC56, CNT1, BECN1, PSME3, AOC2, LOXHD1, ST8SIA5, SMAD2, KIAA0427, COL18A1, COL6A2, FTCD, LSS의 51개 유전자가 공통적으로 증가하였고, RB1을 비롯하여 ZDHHC3, EXOSC7, CLEC3B, CACNA2D3, DEFB106A, FAM90A6P, FAM90A7, ZMYND11, LARP5, GTPBP4, IDI2, IDI1, KLF6, AKR1CL2, FBXO18, IL15RA, IL2RA, TAF3, GATA3, CUGBP2, DHTKD1, SEC61A2, NUDT5, ITGA8, PTER, C1QL3, RSU1, DNMT2, PTPLA, PLXDC2, NEBL, MLLT10, DNAJC1, PIP5K2A, PRTFDC1, NRP1, PARD3, MGMT, RFP2OS, RFP2, KCNRG, IGHV, CDH19, TXNDC10, RTTN의 46개 유전자가 공통적으로 감소했다. 본 연구에서는 array-비교유전체보합법을 이용하여 망막아세포종 세포주에 대한 유전자변화를 최초로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많은 이상부위와 새로운 후보유전자를 발견하였다. 즉, 이상의 유전자들은 망막아세포종의 발생 또는 진행과 관련된 유전자들일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이에 대한 기능적 연구가 요구된다.

      • KCI등재

        Array-비교유전체보합법을 이용한 결장암세포주에서의 유전체 변이 연구

        김미진(Mi Jin Kim),박수연(Soo Yeun Park),한후재(Hoo Jae Hann) 대한해부학회 2009 Anatomy & Cell Biology Vol.42 No.4

        한국인 결장암세포주 세 개를 대상으로 array-비교유전체 보합법을 시행한 결과 다양한 염색체 이상 및 유전자의 증폭과 결실이 발견되었다. 기존의 결장암 연구에서 알려져 있는 염색체 1p, 1q, 2q, 8p, 8q 부위의 증가와 염색체 4q, 12q, 20p 부위의 감소를 본 연구에서도 확인하였고, 14q32.33, 16p13.3, 16q24.3 부위의 증가와 9q13, Yq11.233 부위의 감소는 본 연구를 통하여 새롭게 발견되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유전자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세 개의 결장암세포구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증가한 유전자는 1q22, 1q32.1, 2q35, 8p12, 8q22.3, 14q32.33, 16p13.3, 16q24.3에 위치하고, 감소한 유전자는 9q13, 14q32.33, 20p12.1, Yq11.223에 위치한다. 다른 대장암 연구에서도 확인된 ELF 3, AAMP 유전자의 증가를 본 연구에서도 확인하였고, 다른 암 연구에서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GON4L, TIMM17Q, RNPEP, TMBIM1, GPBAR1, PPP1R13B 그리고 SOX8 유전자를 본 연구를 통해 결장암에서도 증가하는 것으로 처음 확인하였다. 또한 암발생과 관련된 염색체 부위에서 확인되었지만, 그 기능이 밝혀지지 않은 PNKD, ODF1, CBWD3, C20orf133그리고 RBMY2SP 유전자를 확인하였다. 새롭게 밝혀진 이들 유전자들은 결장암의 발생 또는 진행과 관련된 후보 유전자일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기능적 연구를 통해 그 관련성 규명이 요구된다. Cancer development is accompanied by genetic events like losses, gains amplification of certain chromosome regions or alterations of chromatin structure. Array-based CGH(Array-CGH) is a highly comprehensive, sensitive and fast technique to allow investigation of general changes in target oncogenes and tumor suppressor genes. Recently, the prevalence of colon cancer is rapidly increasing in Korea an now it is the fourth leading cause of cancer death.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genomic alterations in colon cancer cell lines and to search novel genes which might be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colon cancer. In this study, genomic alterations are analyzed by using array-CGH in three colon cell lines from Korean, SNU-81, SNU-407 and SNU-1047. We observed numerous chromosomal imbalances from all cell lines. The common chromosomal gains were observed in 1p36.33, 1q22, 1q32.1, 2q35, 8p22.3, 14q32.33, 16p13.3, and 16q24. Common chromosomal losses were found in 4q22.1, 9q13, 14q21.1, 14q32.33, 20p12.1, Xq21.1, and Yq11.223. Gains of 1p, 2q, 8p, and 8q or losses of 4q, 14q and 20p are already known to be associated with the colon cancer development. For gene alterations, we could see gains of some genes such as ELF3 and AAMP, which were already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colon cancer. Also, we could find some gene alterations which were known to be associated with other cancer types. These genes were GON4L, RNPEP, TMBIM1, TIMM17A, GPBAR1, PPP1R13B and SOX8. Besides, we found alterations of new genes such as PKND and LEPROTL1. The association of these genes with colon cancer is first demonstrated here. These genes may be the novel candidate genes functioning in the development of colon cancer. In conclusion, array-CGH demonstrated the complexity of genetic aberrations in several colon cell lines. These data about the patterns of genomic alterations could be a basic step for understanding more detailed genetic events in the carcinogenesis and also provide information about possible target genes for diagnosis and treatment in colon cancer.

      • KCI등재

        Effects of Folate Supplementation on Cerebral Nuclear Factor-kappa B (NF-κB) and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Activities in Experimental Hyperhomocysteinemia

        김호진(Ho Jin Kim),김지명(Ji-Myung Kim),장남수(Namsoo Chang),박혜숙(Hyesook Park),한후재(Hoo Jae Hann),이화영(Hwayoung Lee) 대한해부학회 2003 Anatomy & Cell Biology Vol.36 No.5

        혈중 호모시스테인수준의 증가는 흔히 혈관내피세포의 기능이상을 초래하며, 이에는 다양한 분자적 경로가 관여할 수 있으나 내피세포로부터의 NO 생성 또는 활성도의 변화가 중요한 역할을 지니고 있다. 정상적으로 NO는 혈관 긴장도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혈소판의 활성 및 내피세포에 대한 중성백혈구의 부착을 억제하므로, 이의 감소는 조직 손상의 유발 및 진행을 자극한다. NF-κB(nuclear factor kappa-B)는 염증반응, 세포증식 등을 조절하는 전사인자(transcription factor)로서, 초기의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의 발생에 관여하며, NO는 이의 활성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지닌다. 본 연구는 고호모시스테인혈증과 이에 대한 엽산의 보충식이 공급이 뇌의 eNOS 및 NF-κB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및 이들의 조절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흰쥐를 대상으로 2주간의 호모시스테인함유 식이공급(0.3% homocystine diet)을 통하여 실험적으로 고호모시스테인혈증을 유발한 후, 2주간 엽산보충식이(folate 8mg/kg diet) 또는 호모시스테인함유식이(0.3% homocystine diet)를 계속 공급하였다. 4주 후 각 군의 혈중 호모시스테인, 엽산 및 비타민 B12의 수준을 측정하였으며, western blot analysis를 통하여 뇌의 eNOS와 NF-κB 함량을 조사하고 뇌혈관의 eNOS활성을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관찰하였다. 4주간의 호모시스테인함유식이 공급으로 인하여 혈중 호모시스테인수준은 약 4배 증가하였으며, 뇌의 eNOS함량 감소와 NF-κB활성의 증가가 유발되었다. 2주간의 엽산보충 식이 공급으로 혈중 호모시스테인수준은 의미있게 감소하였으며, 뇌의 eNOS 활성증가 및 이와 동반된 NF-κB 활성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뇌의 eNOS의 활성도 변화 및 이와 동반된 NF-κB의 활성증가가 고호모시스테인혈증 유발로 인한 뇌혈관 내피세포의 기능 이상에 관여할 수 있으며, 식이를 통한 엽산 보충 투여는 이에 대한 회복효과를 유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Homocysteine is a significant but modifiable risk factor for vascular diseases, including stroke. While several pathological processes may be involved, homocysteine can cause significant endothelial impairment and compromise vascular nitric oxide (NO) bioactivity. Endothelial dysfunction can be characterized not only by impaired vasoreactivity with decreased availability of NO but also abnormal inflammatory cell-endothelial interactions and increased expression of cell adhesion molecules. Nuclear factor-kappa B (NF-κB) is a transcriptional factor which plays a coordinating role in inflammation and cellular proliferation and may be involved in early atherosclerosis. Experimentall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olate supplementation on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eNOS) activity in the hyperhomocysteinemic rat brain and related the changes of eNOS activity to the expression of NF-κB. Animals were raised on an experimental diet containing 0.3% homocystine for 4 weeks or on a 0.3% homocystine diet for 2 weeks with or without folate supplementation (8 mg/kg diet). The cerebrovascular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eNOS) activity was investigated by the immunohistochemical method. Cerebral contents of eNOS and NF-κB were also evaluated with the western blot analysis. At 4 wks, diet- induced hyperhomocysteinemia up to 4-fold(control: 6.5±0.4 μmol/L, homocystine: 26.2±2.5 μmol/L), and a reduction in the expression of cerebral eNOS with a concomitant increase in NF-κB. Dietary folate supplementation caused a significant decrease in plasma homocysteine levels with a concomitant increase in hyperhomocysyeinemia-induced reduction of the cerebral eNOS and decrease in hyperhomocysyeinemia-induced NF-κB expression.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