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새만금 농생명용지 6차산업화 활성화 방안

        송재도 ( Jaedo Song ),손재권 ( Jaegwon Son ),최진규 ( Jinkyu Choi ),장태일 ( Taeil Jang ),한평희 ( Pyeonghee Han )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5 No.-

        새만금 간척지에 대한 활용은 농생명용지, 산업연구용지, 국제협력용지, 배후도시용지 등 8개 용지체계로 구분하고 있다. 이중 새만금 농생명용지는 농업에 첨단기술을 융복합하고, 농업에 대한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미래지향형 농업모델을 구상하고 있다. 농업시장의 개방화속에서 새만금농업의 경쟁력을 확보를 위해서는 생산위주의 모델보다는 생산과 연계한 6차산업화 모델제시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 농생명용지를 중심으로 토지이용계획상 주요 대상지를 선정하여 6차 산업화에 유무형의 자원을 검토하였고, 유무형의 자원을 이용하여 6차 산업화 활성화 방안을 구상하였다. 주요 6차산업화 대상지에는 심포항, 말산업단지, 원예단지, 새만금특성화단지 등이 며, 각각의 대상지에서 활용 가능한 핵심자원을 이용하여 마인드맵을 작성하였고, 1차, 2차, 3차 산업을 연계한 6차 산업화 방안을 검토하였다. 심포항의 경우에는 새만금 농생명용지에서 생산된 식재료를 이용하여 먹거리공간조성과 힐링하는 관광체험형 모델을 구상하였고, 말산업단지는 관광체험형과 가공유통형이 함께하는 복합형 모델을 구상하였다. 또한, 원예단지의 경우 대상작물로 노지재배작물인 감자, 콩을 선정하였고, 시설재배단지에서 토마토, 파프리카를 핵심자원으로하여 가공유통형 모델을 구상하였다. 또한, 새만금 특성화를 위해 농업복합공간을 조성하고 다양한 농산물 판매, 축제가 어우러진 관광체험형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