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吳後姜傳>의 서사방식과 인물 형상 연구

        한의숭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2 민족문화논총 Vol.51 No.-

        This paper is study on narritive method and person shape of <Oh-hoo- kang-jeon> produced in 19th century. <Oh-hoo-kang-jeon> was recently discovered and published. I see it as important to focus on relationship and character formation. First of all, This work was used narration method of ‘trick’ and ‘Crisscross’. the relationships between kim-hae-kab, oh-hoo-kang, and ke-weal are tangled throughout storyline. Unintentional tricks cause hardships between main male and female characters so the relationship becomes twisted. The tangled relationship delays the progress of relationships between them as well as the whole storyline, which is regarded to have mimicked grammar of narration of love storyline. Due to this aspect, <Oh-hoo-kang-jeon>has unique properties that set it apart from other novels. Second, character developmen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story line is driven b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ree characters, kim-hae-kab, oh-hoo-kang, and ke-weal. Ke-weal is an especially important character among the three individuals. Ke-weal seems to help kim-hae-kab and oh-hoo-kang relate to each other. However, ke-weal is not only a medium between kim-hae-kab and oh-hoo-kang but also an independent female. Thus ke-weal is a unique character in that she plays two roles: an independent character and a relating medium. Likewise, this paper discusses characteristic aspects of 19th century medium-length novels written in Chinese by examining <Oh-hoo- kang-jeon>. Because this paper is only evaluating one novel out of the whole gen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historic aspects of the novel through specific discussion in the future. <吳後姜傳>은 근래에 발굴, 소개된 작품으로 19세기 한문중단편소설의 일단을 살펴보기에 충분한 작품이라 판단된다. 본고에서는 <오후강전>의 서사방식과 인물 형상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우선 <오후강전>의 서사방식을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첫째는 작품의 서사구조가 愛情談과 軍談이 결합된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당대 유행하던 국문소설의 서사방식과 함께 才子佳人小說의 서사방식을 적극 차용한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특히 이점은 한문소설이 대중성의 측면을 일정부분 고려한 차원에서 연유된 것으로 이해되며, 통속적 흥미성을 고려한 바탕에서 설정된 구도로 파악된다. 이는 19세기 한문중단편소설이 ‘흥미성’에 대한 고민을 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두번째는 서사의 핵심 축인 金海甲과 吳後姜, 桂月 사이의 남녀결연양상이 뒤틀린 형태로 전개되고 있음이 확인된다. 비의도적 트릭에 의해 남녀주인공의 결연관계가 엇갈리며 이로 인해 결연이 遲延되는 서사가 포착되는데, 이러한 측면에서 <오후강전>의 인물결연방식은 애정전기의 서사문법을 일정부분 패러디한 흔적이 엿보인다. 때문에<오후강전>의 결연양상은 여타 작품들과 구별되는 성격을 가지고 있음이 주목된다. 다음으로 등장인물의 인물형상에 주목하였다. 작품은 김해갑과 오후강, 계월 이들 3명에 의해 서사가 진행되며 이들의 관계양상이 작품을 추동해나가는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주동인물인 이들 3명 가운데 桂月의 인물 형상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계월은 큰 틀에서 김해갑과 오후강의 결연을 위한 매개자로서 기능이 우선 주어진 역할로 보인다. 하지만 단순히 매개자의 역할만을 수행하지 않으며 김해갑과 최초로 결연을 맺는 여성주체로써의 기능도 함께 가지는 인물형상을 보여준다. 때문에 계월은 주체이자 매개자인 이중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점에서 주목할 만 하다. 이처럼 본고는 <오후강전>을 통해 19세기 한문중단편소설의 특징적 국면을 간취해 본 것이나, 이는 작품의 일부분을 살펴본 것에 지나지 않으며 추후 구체적인 논의를 통해 소설사적 위상을 다각도로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漢文敍事散文의 연구 동향과 과제

        한의숭 한민족문화학회 2014 한민족문화연구 Vol.48 No.-

        This study is to organize how all those Chinese novels, a historical romance and other narrative prose have been progressed and make a proper way to look through them. The categories that have been studied so far divide into the former novels based on 金鰲新話(Geum-o-sin-hwa), <九雲夢>(Gu-un-mong) which was a Chinese full-length novel written in 17 century, and Chinese full-length novels written in 19 century, such as 玉樓夢(Ok-roo-mong), 玉樹記(Ok-su-gi), 三韓拾遺(Sam-han-seup-yoo), 鸞鶴夢(Nan-hak-mong), 六美堂記(Yook-mi-dang-gi), etc. In case of a historical romance and other narrative prose, all the studies so far was focused on individual works and meanings that each work contains. And in case of 傳(Jeon), each piece of work has been discussed a lot. Now the following is about what we should study forward based on the research thesis in the past. First, since the structure of Chinese novels that has been written since 17 century need to be studied more, we should look carefully into novels of wits and beauties. Because plenty of those novels have been discovered so far, they need to be studied more. Those genre haven’t got enough attention though. Also, the status of them should be improved more. Secondly, miscellaneous writings need to be studied more. Those works were considered ‘just scattered’, but we should focus on the ‘joyful’ aspect and flexible philosophy that they have. So we should look carefully into those miscellaneous writings which belongs to 嶺南(Yeongnam) province. Thirdly, constant discovery should be needed to change the outlook on the works of narrative prose. Since studies on the fables and 夢遊錄(Mong-u-rok) has been introduced and discovered a lot so far, the effort should be continued. Fourthly, the progress of writing materials should be studied as well. In particular, writers who lived in Yeongnam province did’t get enough attention. Since some of their works contain the clue about how historical romances written in the late Chosun Dynasty was made, they deserve more attention. 본고는 漢文敍事散文의 영역에 해당되는 漢文小說, 野談 및 여타 서사산문을 대상으로 최근 연구 동향을 정리해 보고 향후 연구 과제 및 전망을 마련해 보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한문소설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金鰲新話』를 중심으로 한 초기 전기소설과 17세기의 한문장편소설인 <九雲夢>계열, 그리고 <玉樓夢>, <玉樹記>, <三韓拾遺>, <鸞鶴夢>, <六美堂記> 등 19세기 한문장편소설에 초점이 맞춰져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야담 및 여타 서사산문의 경우 개별 야담집에 대한 연구와 야담집 소재 개별 서사의 의미 탐색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傳의 경우 작품론에 대한 논의가 다수를 이루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17세기 이후 漢文小說史의 구도에 대한 재고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 집중해 살펴볼 필요가 있는 장르가 바로 才子佳人小說이다. 그간 소설사에서 그다지 부각된 적이 없으나 최근 다수의 작품이 발굴되어 일종의 작품군을 형성할 정도이므로 이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19세기 漢文中短篇小說에 대한 문학사의 위상 재고 역시 필요하다. 둘째, 文集의 ‘雜著’류 항목에 수록된 작품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문집 소재 ‘잡저’의 경우 그간 ‘잡스러운 작품’으로 취급되어 왔으나, 문집 소재 여타 산문작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재기발랄’하며 ‘의식세계’가 기존 산문의 경계를 넘나들면서 표출되고 있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이런 차원에서 嶺南 소재 문인의 문집에 수록된 ‘잡저’를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셋째, 서사문학사의 시각전환을 위해 지속적인 작품 발굴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寓言과 夢遊錄에 대한 새로운 자료 및 야담 및 필기집 등에 대한 신자료들이 최근 발굴, 소개되고 있으므로 자료 발굴, 탐색에 대한 노력은 끊임없이 이어져야 한다. 넷째, 筆記·雜錄류 소재 일화의 변모 과정에 대한 검토 역시 필요하다. 특히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거주한 향촌재지사족 문인의 필기집은 상대적으로 관심을 받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이들 자료 가운데 조선후기 야담의 형성 경로와 관련해 새로운 단서를 보여주는 것이 존재하므로 이에 대한 관심 또한 아울러 요구된다.

      • KCI등재

        문헌기록을 통해 본 桐溪 權達手의 節義와 그 의미

        한의숭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0 嶺南學 Vol.0 No.73

        This paper investigates on a figure, Dong-Gae, Gwon dal soo(1469~1504), originated from sang-joo and not well recognized within the academia. Dong-Gae is hong mun gwan gyori who resisted against corrupted power in the time of cho-sun dynasty’s king youn-san-goon and he was a symbol of integrity. This paper categorizes his works found in history book and Fil-gi-jip. And consideration is taken into how integrity, which could be regarded as special feature, developed through his work. In case of historical records, there are 36 articles in 『Joseonwangjosillok』, 32 articles in 『Yeonsan Diary』, 3 articles in 『Jungjongsillok』 and 1 article in 『Youngjosillok』. It is mostly recorded the 『Yeonsan Diary』 and it shows the process from advising the king to get killed. Except for that, the articles in 『Jungjongsillok』 and 『Youngjosillok』 are mostly about discussions to measure up his personal information after his passing. In case of notes Fil-gi-jip, records are found in 『yong- chun-dam-jok-gi』 by Kim, an ro(1481-1537), 『Dong-gak-jab-gi』 by Lee, jung hyung(1549-1607), 『Pae-gwan-jab-gi』 by An, suk gwon, 『Hae-dong-jab-rok』 by Gwon, byol(1589-1671), 『Youn-ryo-sil-gi-sul』 by Lee, geng eik(1736-1806). The common theme from those works are integrity. This could be identified from the memorial inscription. Especially the Dong-gae’s attitudes towards life gave influences to his wife, Mrs. Jung, and her companionship with him functioned as power to throw their lives together. There is Dong-gae’s spirit of integrity in the background to evoke these activities and it is like a type of a seasonable rain generated in the time of era. That is understood as practice of Seon-bi Spirit which is naturally exposed along the walk of life Dong-Gae took. This paper tried to find the meaning of spirit of the times one pursued through various documentary records related to one figure. There are still figures that haven’t been found and shown to the world yet. It is still valid to shed light on those figures and life-long practices through records in the past. Finding new figures and their values are expected through further research work. 본고는 상주 출신으로 그동안 학계에 잘 알려진 바 없었던 桐溪 權達手(1469~1504)라는 인물을 조명하려는 시도에 해당된다. 동계는 조선시대 연산군 시절 홍문관 교리로 부조리한 권력에 목숨을 걸고 항거한 ‘節義’의 상징으로 표상되었다. 본고에서는 역사서와 필기집 등에 남아있는 관련 문헌을 정리하고, 특장이라 할 수 있는 절의가 문헌 속에 어떻게 발현되고 있는지 고찰하였다. 歷史書의 경우 『朝鮮王朝實錄』에 기록된 기사가 총 36건으로 『燕山君日記』에 32건, 『中宗實錄』에 3건, 『英祖實錄』에 1건이 보인다. 『연산군일기』에 기록된 것이 대부분으로 연산군에게 간언을 하다가 죽음을 당하기까지 과정이 기록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를 제외한 『중종실록』과 『영조실록』에 수록된 기사들은 사후 권달수에 대한 신원 추증과 관련된 논의에 대한 것이 주를 이룬다. 筆記集의 경우 金安老(1481~1537)의 『龍泉談寂記』, 李廷馨(1549 ~1607)의 『東閣雜記』, 魚叔權(미상)의 『稗官雜記』, 權鼈(1589~1671)의 『海東雜錄』, 李肯翊(1736~1806)의 『燃藜室記述』 등에 관련 기록이 확인된다. 이들 기록에 공통적으로 표상된 것은 절의였다. 이점은 권달수와 지기였던 용재 이행의 묘지명을 통해 대표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용재 이행은 묘지명에서 권달수와 그의 아내 정씨를 절의로 현창되는 당대의 대표적 인물로 자리매김 하였다. 특히 동계의 삶의 태도는 아내인 정씨에게 영향이 미쳐, 아내 또한 남편과 동지적 관계로 인식하고 자신의 인생을 함께 던진 동력으로 작용했다. 이러한 행동을 추동케 한 밑바탕에는 동계의 절의 정신이 있으며, 그것은 시대적 배경 속에서 산생된 일종의 時雨와 같은 것이었다. 그것은 동계가 걸어온 삶의 궤적에서 자연스럽게 유로된 선비정신의 실천으로 이해된다. 본고는 다양한 문헌기록을 통해 드러난 동계 권달수의 절의와 그 의미를 조명한 것이다. 세상에는 아직까지 제대로 발굴, 조명되지 못한 인물이 도처에 존재한다. 남겨진 문헌 기록을 통해 그러한 인물을 발굴하고 생애를 조명하여, 삶의 의미를 규명하는 작업은 여전히 유효하다. 후속 작업을 통해 새로운 인물이 발굴되고 그 가치가 조명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南川 權斗文의 "虎口日錄"을 통해 본 유교이념의 가족윤리 전유 양상과 의미

        한의숭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9 嶺南學 Vol.0 No.69

        This paper is about Nam-Chun Gwon-Du-Mun’s 『Ho-Gu-Il-Rok』 research and is analysis on Gwon-Du-Mun as writer and 『Ho-Gu-Il-Rok』 which is not well-known in academia. In addition, this paper analyzes the aspects and meanings of realization on family ethics. The ideology of ‘royalty, filial duty, faithfulness’ fundamentally works to understand 『Ho-Gu-Il-Rok』 and it confirms which sides of practical aspects are described. Based on this, the emphasized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Ho-Gu-Il-Rok』 follow as below. Gwon-Du-Mun’s records with specific dates focus on not only simply recording peripheral incidents but also capturing reactions from different figures from different social status as vividly experienced records. First, in a peculiar situation of war-prisoner, even though one self’s life is at danger it shows that family is located in the center as the meaning of filial duty and the core of behavior at the most dramatic situation by capturing son’s love for his parents. And even though it is natural to save one’s life and his family in a war which does not guarantee anyone’s life, it records experience of love for humanity through the spirit of loyalty and forgiveness(忠恕) which pursues ‘us than me’. At last, this point could be found through the aspects where faithful royalty towards the king, a symbol of a nation, is expressed even when he was a war-prisoner. Likewise, 『Ho-Gu-Il-Rok』 is a meaningful record in the way that it describes recognized one’s reflection and our image through nation, family and each individual’s royalty, filial duty, faithfulness and it also embraces the meaning of nation, savior of crowds and various kinds of aspects resulted from war. This research shows one’s agony and dread in the cross road of life or death in unheare-of chaos and it vividly presents the springing-up love for the family in the situation and the bond of crowds crossing all classes through 『Ho-Gu-Il-Rok』. 『Ho-Gu-Il-Rok』 has its sufficiently meaningful status in terms of taking a stereoscopic view of individual and family and warfare and nation through one’s eyes. The meaning of nation through warfare and each individual’s and family’s scar in it are proper viewpoint to understand people and their history at their times in three dimensions. Later on, more profound analysis will be tried on this topic through follow-up Research. 본고는 南川 權斗文의 『虎口日錄』에 대한 연구로 그동안 학계에 거의 알려진 바 없었던 권두문이라는 문인과 『호구일록』을 본격적으로 분석한 뒤, 유교이념이 가족 내에서 작동되는 양상과 의미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호구일록』이라는 텍스트를 이해하는데 ‘忠·孝·烈’의 유교이념이 핵심적으로 작동하며, 그 실제적 양상이 어떤 측면에서 기술되고 있는지 확인해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호구일록』에 부각된 유교이념의 가족윤리 전유양상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저자인 권두문은 일자별 기록을 통해 본인이 겪은 사실을 단순히 정리하는 것에서 벗어나 전쟁에 반응하는 다양한 계급의 인물군상을 일기라는 생생한 체험 기록으로 포착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저자는 먼저 전쟁 포로란 특수한 상황 속에서 본인의 목숨마저 부지하기 힘든 가운데 표출된 아들의 효심을 서술함으로써, 가장 극적인 상황에서 발현된 孝의 의미와 행동의 근원으로 가족이 핵심에 자리함을 포착하였다. 그리고 생사를 가늠할 수 없는 전쟁 속에서 자신과 가족의 안위를 가장 우선시 하는 게 당연하나, 忠恕의 정신을 통해 내가 아닌 우리를 지향하는 가족 중심적 인류애의 경험을 기록하였다. 이러한 바탕에서 저자는 포로 신분이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도 국가로 상징되는 포괄적 가족의 중심인 임금에 대한 忠의 신념을 굳건히 표출하고자 했다. 이처럼 『호구일록』은 국가와 가족, 개인 사이의 충·효·열과 그러한 모습에서 자각된 나와 우리의 모습, 그리고 국가의 존재 의미와 민중의 구원과 연대에 이르기까지 국가와 개인, 계급과 성별, 혈연과 비혈연을 초월하는 열린 가족으로 아울러 포용하고 연대하고자 한 가족윤리의 구현이 작동된 양상을 폭넓게 수렴하여 기록한 텍스트라는 점에서 그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본고는 『호구일록』을 통해 전쟁 포로라는 미증유의 상황 속에서 생사의 갈림길에 서 있던 한 인간의 고뇌와 두려움, 그 속에서 피어나는 가족애와 계급을 초월한 민중과의 연대를 생생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일기가 가진 내면성의 발산을 통해 개인과 가족, 전쟁과 국가의 문제를 한 개인의 시선을 통해 입체적으로 조망해 본다는 측면에서 『호구일록』은 그 충분한 사적 위상을 가진 텍스트라 할 수 있다. 전쟁을 통한 국가의 의미, 그 속에 위치한 개인과 가족의 상처는 당대의 인간과 역사를 입체적으로 바라보는데 적절한 시각이라 할 수 있다. 추후 관련 후속 연구를 통해 이에 대한 심층적 분석을 시도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武屹精舍> 題詠詩를 통해 본 空間과 학적 家族의 관계와 그 의미

        한의숭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8 嶺南學 Vol.0 No.67

        This paper intends to research on aspects of a poem about the landscape created with focus on <Mu-Heul-Jung-Sa> and trace the meaning of this phenomenon. <Mu-Heul-Jung-Sa> is important because of its roles as center of Han gang academic line from Han gang to writers in the later time. <Mu-Heul-Jung-Sa> used to be recognized as secluded space but later in time the meaning of solidarity space was more highlighted. Han gang writers created a poem about the landscape within certain space called <Mu-Heul-Jung-Sa> and tried to encourage emotional share and solidarity between older scholars and younger scholars. At the same time, <Mu-Heul-Jung-Sa> a poem about the landscape did not stay as the role of re-experiencing certain space and remember it. It made further progress and importance as starting point of developing unifying school register families through remorse and veneration towards the older scholars. Emotional share of an academic line centered within certain space especially could be called as an extended meaning family formed though unrelated human networking in terms of pursuing strong bonds sustaining through eras. A poem about the landscape needs to be magnified as a solidifying method of school register family because of its role as catalyst for emotional bonds between scholars and connection of different eras. It would contribute to create new perspectives to regard the traditional academic lines as the transformed version of the unrelated families by magnifying the meaning of bonds and share of academic line formed by <Mu-Heul-Jung-Sa> Families in the traditional times are based on the space of home and ties of blood with relatives. Applying this relationship to academic lines, the ties of blood could be replaced by strong bond between teachers and followers and the space of home could be substituted by the space called Jung-Sa. This point shows that the existence and meaning of academic line has strong importance in extension of traditional families. This paper has its values of naming the academic lines compared to school register families which is unrelated family network in traditional era and analyzing the meaning of it though <Mu-Heul-Jung-Sa> a poem about the landscape. 본고는 武屹精舍를 중심으로 창작된 題詠詩의 양상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추적해 보고자 작성된 것이다. 무흘정사는 寒岡부터 후대 문인에 이르기까지 한강 학맥의 구심적 역할을 한 공간으로 중요하다. 무흘정사는 둔세의 공간으로 인식되었으나 후대로 내려올수록 연대의 공간으로 의미가 더 부각되었다. 한강 문인들은 무흘정사라는 특정 공간을 중심으로 제영시를 창작하였으며, 이를 통해 선학과 후학이 정서적 공유와 연대를 이루고자 하였다. 이때 무흘정사 제영시는 특정 공간을 추체험하여 회상하는 역할에 그치는 게 아니라 선현에 대한 회한과 존숭을 통해 학적 家族으로 일체화하는 詩적 발현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제영시는 학인들의 정서적 친밀감을 끈끈하게 견인하면서 통시간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학적 가족의 연대 방식으로 그 의미가 새롭게 부각될 필요가 있다. 전통시대 가족은 家庭이라는 空間과 親姻戚의 血緣關係를 기본으로 한다. 이를 학맥에 적용시켜 본다면 精舍라는 공간과 師承이라는 학연관계로 대치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특정 공간을 중심으로 한 학맥의 정서적 공유는 시간을 초월한 견실한 연대를 지향한다는 측면에서 비혈연적 관계망 속에 형성된 廣義의 家族이라 불릴 수 있을 것이다. 이점은 전통시대 가족의 외연에 있어 학적 가족의 존재와 의미가 새롭게 조명될만한 것임을 의미한다. 본고는 무흘정사 제영시를 통해 학맥을 전통시대 비혈연적 가족의 관계망인 학적 가족이라 지칭하고 그 의미를 천착해 본 것에 의미가 있다. 무흘정사를 통해 형성된 학적 공유와 연대의 의미를 확장시켜 전통시대 학맥을 비혈연적 가족이 전변된 형태로 이해하는 새로운 시각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 KCI등재

        嶺南 南人의 祭文을 통해 본 家族의 의미

        한의숭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8 嶺南學 Vol.0 No.64

        This paper investigates on the point of youngnam nam-in’s point of view and expressions on their families through the funeral orations created by youngnam nam-in after 17thcenturies. This is one of the trials to search the possibilities to reorganize the meaning of family in the perspective of the present. Among the youngnam nam-in’s funeral orations, this paper limited the range as within direct family members like brothers, sisters and relatives and analyzed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and the beautiness. As a result, the funeral orations for brothers tends to show reverence on its unique formation and tells stories which involves the beloved one, which focuses on sharing the vivid emotions when the beloved one was alive. And the funeral orations for daughters shows the sense of emotional reserve without excessive expression even though it is hard to control the tone of the message after losing a daughter. Also it describes deep condolences for the beloved one as wife, mother and daughter-in-law who had to take enduring life as what it was for women at then. Lastly, the funeral orations for the relatives show brotherly love, characteristics and shared moments with the beloved ones, which reminds the family of the memories of the deceased and shows sympathy for the dead. It is still questionable how much the meaningfulness of the family expressed through the funeral orations would be more outstanding. However, after researching on youngnam nam-in’s funeral orations this trial seems worth it to trace the formation of the family related meaningfulness. In the future as more intensive researches go for the youngnam nam-in, the author plans to focus on ‘local regions’ with the research theme of ‘locality’. Through processes like above, accesses in depth would be done for the region youngnam and the meaning of characters, which adds more values on this research paper. 본고는 17세기 이후 嶺南 南人에 의해 창작된 祭文을 통해 영남 남인이 家族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고, 문학적으로 어떻게 표현해 내고자 했는지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는 오늘날 형해화 되고 있는 가족의 의미를 현재적 시각에서 새롭게 재편할 수 있는지 가능성을 탐색하려는 시도의 일환이기도 하다. 본고는 이를 위해 영남 남인의 제문 가운데 兄弟와 妻子, 親戚을 중심으로 한 직계 가족을 대상으로 범위를 한정하여 그 문학적 특성과 미감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형제와 관련된 제문에서는 제문 특유의 형식미를 존숭하면서 亡者와의 경험을 토대로 한 일화를 사실적으로 포치하여 생존 당시의 생생한 감정을 공유하는데 중점을 두는 경향이 보였다. 그리고 처자와 관련된 제문에서는 자식을 먼저 보낸 황망하고 답답한 마음을 주체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과잉 분출이나 폭발은 자제하는 담백한 정조로 서술하거나, 아내이자 어머니, 며느리로서 인고의 삶을 살아야만 했던 동반자의 일생에 대한 위로의 마음을 서술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친척에 대해서는 생전에 우애와 성품 그리고 당사자와 공유했던 경험, 받았던 도움을 서술함으로써 망자와의 추억을 회상함과 동시에 먼저 세상을 떠난 이에 대한 아련한 연민의식을 드러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의 논의를 통해 영남 남인의 제문에 형상화 된 가족의 의미가 얼마나 새롭게 부각되고 다가올 수 있을지에 대해선 의문이다. 하지만 영남 남인의 제문 자료를 정리한 뒤, 가족과 관련된 의미망의 형성을 추적해 본 것에 우선 의의를 두고자 한다. 앞으로 영남 남인에 대한 일련의 연구를 진행하면서 필자는 ‘로컬리티’의 관점을 중심에 두고 ‘지역’을 규명하는데 초점을 맞출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영남이란 지역과 인물의 존재 의미에 대한 심층적 접근이 이루어질 것이며, 본고는 이에 대한 전초적 작업이란 점에서 나름의 의미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嶺南 南人 散文 연구를 위한 試論적 접근-雜著 수록 散文을 중심으로-

        한의숭 택민국학연구원 2022 국학연구론총 Vol.- No.30

        This paper started with the intention of grasping the overall status and character of prose works contained in Yeong-nam Nam-in anthology. The prose included in the miscellaneous writings of Yeong-nam Nam-in anthology has a side that asks for reflection on what researchers have not paid attention to. To this end, this paper first reviewed the rough status of the prose data in the Yeong-nam Nam-in anthology, and pointed out several points that the Yeong-nam Nam-in anthology is noted as an important character of prose. First, in the case of prose contained in Yeong-nam Nam-in anthology, it can be seen that a number of works borrowed from the mythical writing method are included. This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tical reality of Yeong-nam Nam-in and the way they write,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 lewd writing method was summoned in a way that could easily digest the literary outburst of Yeong-nam Nam-in's self-consciousness, worldview, and political and social reality of the time. Second, many animals and anthropomorphic objects have been found as the subject of writing. Prose works represented by ‘Dong-mul-seol’ show that they are being used in an important way to express their inner feelings in a roundabout way among various writings. Third, it is confirmed that many of the works appear in the prose of Han yu and Yoo Jong-won, which are typical of the Tang Song's Ancient Writing. This is understood to have been written for the exemplum virtutis sentence learning of Han Yu and Yoo Jong-won, and at the same time, it is interpreted as a result of the combination of the intention to utilize the allegory of Tang Song's Ancient Writing. This paper has a poetic nature of seeking perspective and direction to clarify the overall nature of Yeong-nam Nam-in prose, which has not been spotlighted so far, through the organization and analysis of prose in Yeong-nam Nam-in anthology. Therefore, rather than focusing on in-depth interpretation of the data, there is an aspect of focusing on finding and organizing data that have not been discovered or introduced. This point will be continuously supplemented through more detailed research in the future based on several research directions presented in this paper. 본고는 영남 남인 문집 잡저에 수록된 산문 작품을 대상으로 전체적인 현황과 성격을 파악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출발하였다. 영남 남인 문집 잡저 항목에 수록된 산문은 그동안 연구자들이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던 것에 대해 반성을 요청하는 측면이 존재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우선 영남 남인 문집 잡저 수록 산문 자료를 정리하여 대략적인 현황을 검토하고, 영남 남인 문집 잡저 수록 산문의 중요한 성격으로 주목되는 점을 몇 가지 짚어보았다. 첫째, 영남 남인 문집 잡저에 수록된 산문의 경우 우언적 글쓰기 방식이 차용된 작품이 다수 수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점은 영남 남인의 정치적 현실과 글쓰기 방식의 연관을 보여주는 것으로, 영남 남인의 자의식과 세계관, 당대 정치사회현실에 대한 문학적 분출을 용이하게 소화할 수 있는 양식으로 우언적 글쓰기 방식이 소환된 것으로 이해된다. 둘째, 글쓰기의 소재로 동물과 의인화된 사물 등이 다수 발견되고 있다. 동물설로 대표되는 산문 작품은 다양한 글쓰기 가운데 우회적 방식으로 내면을 토로하는 데 중요한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당송고문가의 전형인 한유와 유종원 산문을 의작한 것이 잡저 수록 산문에 다수 등장하는 게 확인된다. 이는 한유와 유종원이라는 당송고문가의 전범적 문장 학습을 위해 습작한 것으로 이해됨과 동시에 당송고문가의 문장이 가진 우언성을 활용하려는 의도가 복합적으로 작동한 결과로 해석된다. 본고는 영남 남인 문집 잡저 수록 산문에 대한 정리와 분석을 통해 그동안 조명받지 못했던 영남 남인 산문의 전체적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 시각과 방향을 모색한 시론적 성격의 글이다. 때문에 자료에 대한 깊이있는 해석에 중점을 두기보다, 그동안 발굴, 소개되지 않았던 자료를 찾아서 정리하는데 집중한 측면이 있다. 이점에 대해서는 본고에서 제시된 몇 가지 연구 방향을 바탕으로 추후 보다 정밀한 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보충하고자 한다.

      • KCI등재

        전통적 지식 서술과 근대적 기술 포착의 공존장-「南洪量傳」을 중심으로-

        한의숭 우리한문학회 2023 漢文學報 Vol.48 No.-

        This paper corresponds to an approach to the aspect and perspective of the incorpora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and modern technology through Chinese novels, focusing on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For example, this paper noted 「Namhongryangjeon(南洪量傳)」, which seems to have been created in the early 20th century. 「Namhongryangjeon(南洪量傳)」 is characterized by the active use of authentic precedent and the use of various Chinese style styles, which is highlighted as a characteristic of Chinese novels in the 19th century ente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At the same time, it is confirmed that the pattern of modern external stimuli is introduced into the work and reflects some of the traditional and modern customs. Of course, 「Namhongryangjeon(南洪量傳)」 alone cannot fully explain the detailed aspects and perspectives of competition and conflict over traditional knowledge and modern technology in Chinese literature novels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However, starting with 「Namhongryangjeon(南洪量傳)」 it is intended to take one aspect of the embedded perspective on traditional knowledge and modern technology inherent in the works created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In the end, this point leads to confirming from what perspective the situation surrounding literature- oriented traditional knowledge and material-oriented modern technology is incorporated and reflected in the genre of fiction. This is confirmed not only in 「Namhongryangjeon(南洪量傳)」, but also in the case of <Kimcheongnammongyurok(金靑楠夢遊錄)>, which is determined as a work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the attitude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times can be confirmed in the novel by using machine-related vocabulary referring to modernization. However, in the perspective inherent in the work, it is seen that while acknowledging the reality of modernization represented by machines, there is a fear of the power of modern machines in both ways. At this level, it is worth noting that a group of Chinese long-length novels from the 19th to the early 20th centuries, including 「Namhongryangjeon(南洪量傳)」 serve as a coexistence field where traditional knowledge and modern technology are combined at the same time. At this time, co-existence refers to a text that emphasizes openness to engage in various discussions using the genre of fiction that can be imagined away from the form and norm-oriented unilateralism of the official text of the colle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erspective of the Chinese narrative text of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including the 19th century Chinese character novel, to use various Chinese style as writing methods to convey discussions away from the narrative-oriented genre of fiction. This can be understood as a result of the fact that Chinese novels are read in a way that responds to changes in the times, and that the author base, who can create Chinese-language novels, is willing to reorganize the text into a new writing field. This point is also a part that needs to be delicately and approached through a complex and multi-layered perspective that penetrates the author, reader, and era, away from the genre perspective, so I would like to highlight it in earnest through a later review. 본고는 근대이행기를 중심으로 전통적 지식과 근대적 기술이 착종되는 양상과 시각을 한문소설을 통해 접근한 것에 해당된다. 본고에서는 일례로 20세기 초에 창작된 것으로 보이는 「南洪量傳」을 주목하였다. 「남홍량전」은 근대 이행기로 접어드는 19세기 한문소설의 특징으로 부각되는 전고의 적극적 사용과 다양한 한문 문체 양식의 활용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그러면서도 근대적 외부 자극이 인입된 양상을 작품 속에 틈입시켜서 전통과 근대의 습합을 일정 부분 반영한 양상이 확인되기도 한다. 물론 「남홍량전」만을 가지고 근대 이행기 한문소설에서 전통적 지식과 근대적 기술을 둘러싼 각축과 갈등의 세부적 양상과 시각을 온전히 설명할 수는 없다. 다만 「남홍량전」을 필두로 근대 이행기에 창작된 작품 속에 내재된 전통 지식과 근대적 기술에 대한 착종된 시선의 일면 간취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점은 결국 근대 이행기를 중심으로 문헌 중심 전통 지식과 물질 중심 근대 기술을 둘러싼 국면이 소설이라는 장르 속에 어떤 시각으로 습합, 반영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으로 연결된다. 이 점은 「남홍량전」뿐만 아니라, 같은 20세기 초 작품으로 비정되는 「金靑楠夢遊錄」의 경우에도 확인되는 것으로 근대화를 지칭하는 기계 관련 어휘들을 사용함으로써 시대 변화에 반응하는 태도를 소설 속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작품에 내재된 시선 속에서는 기계로 대변되는 근대화의 현실을 인정함과 동시에 근대적 기계의 위력에 대한 공포가 양가적으로 존재하는 게 엿보이기도 한다. 이런 차원에서 「남홍량전」을 위시한 일군의 19~20세기 초 한문장편소설은 전통적 지식과 근대적 기술이 동시에 습합된 공존장의 역할을 하는 텍스트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때 공존장이란 문집이라는 공식적 텍스트가 가진 형식과 규범 지향의 일방성에서 벗어나 상상이 가능한 소설이란 장르를 활용해 다양한 의론을 펼칠 수 있는 개방성이 강조된 텍스트를 지칭한다. 따라서 19세기 한문장편소설을 위시한 근대 이행기 한문서사 텍스트에 대해서는 소설이라는 서사 중심적 장르 관점에서 벗어나 의론을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한문 문체 양식이 글쓰기 방식으로 활용, 구현된 텍스트로 관점을 전환시킬 필요가 있다. 이는 시대 변화에 한문소설이 대응하는 방식으로 읽힘과 동시에 특히 한문장편소설을 창작할 수 있는 작가층이 새로운 글쓰기의 장으로 텍스트를 재편하려는 의지가 투영된 결과로 이해할 수 있을 듯하다. 이 점은 비단 장르적 관점에서 벗어나 작가와 독자, 시대를 관통하는 복합적이고 중층적 시각을 통해 섬세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후고를 통해 본격적으로 조명하고자 한다.

      • KCI등재

        고전 산문을 통해 본 ‘人間’·‘生態’·‘資本’의 양상과 포스트 휴머니즘

        한의숭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용봉인문논총 Vol.- No.56

        This article visits classical prose from the perspective of post-humanism. The starting point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materials that are considered either to have a subversive connotation, or to invite a new interpretation, in their treatments of subject-object relations. In other words, by reading ‘Dong-Mul-Seol(動物說)’, ‘Ga-jeon’(假傳), and ‘Ya-Dam’(野談) stories that thematize ‘wealth’, this article focuses on what was traditionally classified as objects and subordinates, attempting to find a new interpretive possibility. Dong-mul-seol contains an interpretive possibility that humans and animals can coexist. For, while Dong-mul-seol mobilizes tales of animals as a way to narrativize human stories, it also has the implication that the mere animals can live up to human beings when the animals’ acts are noble enough. In this precise sense that the status of animals can be heightened to that of human beings, Dong-mul-seol can be read as highlighting the possibility of coexistence between humans and animals. Likewise, the way that Ga-jeon deals with animals is to move them from the margin to the center of the narrative universe. Circumventing anthropocentric attitude, it tries to re-cognize and re-evaluate what is traditionally viewed as mere objects. Because objects in Ga-jeon are often transformed to assume subjectivity so that they tell stories about human being from their perspective, it deserves an exploration of the interpretive possibility that the two parties can be mutually visited and examined ‘objectively’. Ya-Dam also makes room for post-human interpretation. The episodes of wealthy people provides with examples of conscientious businessmen who, after giving up upon ‘Gwageo’, enters into commerce world to make fortune through such commercial practices as bartering, cornering, and hoarding, and gives aid to the poor and the marginalized, which in turn, helps to enhance their reputation. These episodes historically re-cognize and re-evaluate the capital by showcasing the ambiguity of the mercantile capital of the times. The ambiguity is clearly demonstrated in that the characters value the survival in the real life situation much more than the moral obligations imposed on the gentry class in Cho-sun Dynasty. The texts, in short, exemplify a new perspective on the value and function of Capital. These readings will enable us to grasp the current problems through the classical prose, and vice versa. While this attempt for re-reading and re-formulation of the classical literature is, in other words, methodologically new, it is pertinent not only to the problems we are face with, but also to the classical literature that has to be renewed again and again. 본고는 포스트 휴머니즘을 통해 고전을 재음미하되, 주체와 객체 또는 주체와 종속의 관계를 기존의 시각에서 탈피하거나 역전된 시각으로 읽을 수 있는 자료들을 검토하는 것에서 출발하였다. 이는 객체나 종속체로 구분되었던 것들에 중심에 두면서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찾으려는 시도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고전산문 작품 가운데 문집에 수록된 ‘動物說’과 ‘假傳’ 그리고 野談 소재 ‘富’ 관련 작품에 주목하였다. 동물설은 인간과 동물의 등가적 공존을 이야기하는 것으로 해석될 여지가 내포되어 있다. 왜냐하면 동물설이 소환된 이유는 인간이 주목적이긴 하나, 하찮은 대상으로 여겨지는 동물이 결코 인간에 비해 뒤질게 없다는 인식이 작품 속에서 동물의 행위를 통해 마련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점에 있어서 인간과 동물은 등가적 존재로 위상을 가지며 이러한 사고가 동물설의 기저를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 동물설은 인간과 동물의 공존을 강조하는 텍스트로 읽을 수 있다. 이와 함께 객체적 대상인 사물을 주변부에서 중심부로 견인하여 인간중심적 사고에서 탈피하려는 의미가 부여된 가전 또한 재인식의 대상으로 주목된다. 가전은 객체로서의 대상이 주체로 소환되어 인간을 이야기한다는 측면에서 사물과 인간의 상호 객관화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해석의 확장 가능성을 담지하고 있다. 한편 야담에 수록된 부자(富者) 일화를 주목해 보면 과거를 준비하다가 중도에 포기하고 생계를 위해 상업에 뛰어들어 물물의 흐름에 주시한 뒤 물물교환, 매점매석을 활용하여 시세차익을 통해 막대한 이익을 얻고 이를 바탕으로 서민 구휼과 같은 행동으로 인심을 얻는 양심적 자본가의 존재가 포착된다. 조선후기 상업자본에 대한 긍정과 부정의 양면적 속성을 직시, 포착한 것으로 자본의 존재와 가치에 대한 재인식을 역설한다. 특히 이점은 등장 인물이 사대부란 계급의 명분성보다 생존이란 현실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자본을 축적하기 위해 노력한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에서 명징하게 확인된다. 이는 계급과 상업자본에 대한 기존 관점의 전환을 은근히 의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작업을 통해 고전을 재음미할 경우 그에 따라 새롭게 환기되는 사고는 우리 앞에 제기된 문제로 환류되어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른바 고전의 재발견이라 할 수 있을 것인데, 방법론적으로 고전 독해의 관점에 포스트 휴머니즘적 시각을 일정부분 적용시켜 바라본다는 점에서 본고는 시론적 시도에 해당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