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소성과 유휴시설의 융합을 기반으로 한 도시문화공간 연구 - 충청북도 청주시 동부창고를 중심으로 -

        ,이 민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2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0 No.2

        This study examined the urban cultural space based on sense of place targeting the "Dongbu Warehouse" located in Cheongju-si. Furthermore, this study evaluated how the establishment of sense of place based on cultural analysis would eventually be applied to the urban cultural space. Thus, this study aimed to suggest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new sense of place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existing city.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case of Dongbu Warehouse, which converted the tobacco manufacturing warehouse site into an urban cultural space. For this purpose, the cas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eastern warehouse where the warehouse site of the tobacco manufacturing plant was composed of urban cultural space. For case analysis,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data disclosed by local governments, online materials, related documents, and telephone interviews with the person in charge.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sense of place can be divided into physical factors, active factors, and human factors. First, it was found that physical factors correspond to building exterior, lot, locational characteristics, historicity, and symbolism. Second, active factors included a content-based sense of place and space formation. Third, the perception of place was derived from human factors. This study confirmed that effective space formation is possible based on physical, active, and human factors by applying the sense of place elements of idle facilities in cities to urban cultural spaces. This study showed that the establishment of a sense of place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marketing areas, such as increasing visitors based on the effective formation and symbolic meaning of urban cultural spaces. In particular,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formation of urban cultural space based on sense of place is also effective in revitalizing the cultural life of local people living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the provinces. 본 연구는 청주시 소재의 동부창고를 대상으로 장소성 기반의 도시문화 공간에 관하여 연구하였으며, 문화 분석을 기반으로 한 장소성 확립이 도시문화 공간에 적용되는 방안에 관하여 연구함으로써 기존 도시의 재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장소성 확립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연초제조창 창고부지를 도시문화 공간으로 구성한 동부창고를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초제조창 창고부지를 도시문화 공간으로 구성한 동부창고를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하였다. 사례분석을 위해 지방자치단체에서 공개하는 자료와 온라인 자료, 관련 문헌 자료, 담당자 전화 인터뷰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장소성은 크게 물리적 요소, 활동적 요소, 인적요소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물리적 요소에는 건물 외관과 필지 및 위치적 특성, 역사성 및 상징성이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활동적 요소에는 콘텐츠 기반의 장소성과 공간 형성, 인적요소에는 장소에 대한 인식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도시 내 유휴시설이 가진 장소성 구성요소를 도시문화 공간에 적용하여 물리적, 활동적, 인적요소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공간 형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장소성 확립이 도시문화 공간의 효과적인 형성 및 상징적 의미를 바탕으로 방문객 증대 등 마케팅 영역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특히 지방의 중소규모 도시의 경우 장소성 기반의 도시문화 공간 형성을 통해 지역민의 문화생활 활성화에도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앙리 르페브르의 공간생산이론을 적용한 도시 유휴시설의 사회적공간으로서 생산요소 특성 - 청주시 한국공예관을 대상으로 -

        ,이 민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2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0 No.2

        In this study, “Henri Lefebvre’s theory of the production of space” is applied to the case of transforming existing urban idle facilities into complex cultural living space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roduction factors of social space.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theoretical method for the regeneration and revitalization of modern urban spac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analysis. For literature research, related books and dissertations, academic thesis, statistical data, and online data were utilized. Also, this study selected the Korea Craft Center among various institutions of the culture manufacturing plant, a complex cultural living space in Cheongju, for case analysis. This study considered that the culture manufacturing plant was a suitable target because it was a space reborn as a complex cultural space with a modern interpretation of the old tobacco factory.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space was formed based on social participation, and that the elements that activated the space were based on the activity and participation of visitors. This study further concluded that the spaces formed through participation were productive, and that such productivity could act as a social mechanism to enhance the growth of modern spaces. In conclusion, changes in industrial infrastructure and social growth resulted in changes in urban func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analyzed the sociality of spaces necessary to regenerate neglected, discovering a theoretical method of production possibility. 본 연구는 기존 도시 유휴시설을 복합문화 생활공간으로 변화시킨 사례에 앙리 르페브르의 공간생산이론을 적용하여 사회적공간 생산요소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현대 도시 공간의 재생과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이론적 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사례분석을 하였으며, 문헌연구는 관련 단행본 및 학위논문, 학술논문, 통계자료, 온라인 자료 등을 활용하였다. 또한, 사례분석을 위해 청주시의 복합문화 생활공간인 ‘문화제조창’의 다양한 기관 중 한국공예관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문화제조창의 경우 과거 연초제조창을 현대적으로 해석한 건물로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탄생 시킨 공간이기 때문에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한 대상이라고 보았다. 분석결과 사회적 참여를 기반으로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간을 활성화하는 요소가 방문객의 활동 및 참여를 기반으로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참여를 통해 공간을 생산함으로써 생산적인 공간이 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생산성이 현대 공간의 성장을 향상하는 사회적 메커니즘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산업 인프라의 변화 및 사회적 성장으로 인한 도시기능의 변화로 방치된 공간의 재생을 위하여 필요한 공간의 사회성을 분석하였고, 생산 가능성의 이론적 방법을 발견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