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 · 지원 정책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김대진(Daejin Kim),오기환(Kihwan Oh),하동문(Dongmun Ha)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8

        국내 제약 산업에는 2012년부터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 지원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이 연구는 이 정책의 형성과정 및 정책만족도에 대한 이해관계자와 관련 전문가의 인식을 파악하고, 정책만족도를 설명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혁신형 제약기업을 포함하여 제약기업, 대학, 정부출연연구소 관계자를 대상으로 이메일, 팩스 등을 통해 설문조사하였으며, 유효 응답률은 38.4% (61/159) 였다. 연구결과 정책형성과정 중 정책필요성(정책문제설정 단계)에 대한 인식이 가장 긍정적이었으며, 다른 모든 단계와 정책만족도에 대한 인식은 보통 수준이었다. 응답자 개인 변인 및 정책형성과정에 대한 인식 변인 중 정책만족도와 관련이 있는 변인을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영향 요인을 살펴본 결과, 정책결과 및 정책집행 단계의 일부 변인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 정책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증기업의 성과(정책결과 단계)에 대한 인식인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적정성 및 사후관리 능력(정책집행 단계)에 대한 인식 역시 정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가 유사했다. 이는 수요자의 정책만족도에는 정책결과뿐만 아니라 정책집행과정에 대한 인식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다만 정책 시행 초기에 수행되는 등의 한계로 인해 향후 추가 연구를 통해 검증 및 보완이 필요하다. Innovative pharmaceutical company certification․support policies have been implemented since 201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erceptions of stakeholders and related experts on the formation process and policy satisfaction of this policy,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explain policy satisfac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by e-mail and facsimile of the pharmaceutical companies, universities, and government -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s. The effective response rate was 38.4% (61/159). As a result of the cross-sectional survey, the perception of policy necessity was the most positive among the policy formation process, and all the other stages and perception of policy satisfaction were at the medium level.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fluential factors related to the variables of the respondents` personal variables and the policy formation process, it is confirmed that the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policy satisfaction are the percep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certified company. Also, perceptions of appropriateness and follow - up ability were similar in magnitude of impact on policy satisfactio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to systematically and effectively improve the certification and support policies of innovative pharmaceutical companies based on the consumer"s perception. However, due to limitations such as being carried out at the beginning of policy implementation, ver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are necessary through further research.

      • KCI등재

        국내 제약기업에서의 SFA(sales Force Automation) 시스템 활용수준과 기업성과의 실증분석

        장경원(Kyoung won Jang),고건혁(Gunhyuk Ko),하동문(Dongmun Ha)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11

        많은 제약기업에서 영업사원들을 위하여 SFA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SFA 시스템은 영업사원들의 다양한 행동에 활용되고 있는데 국내에서는 SFA 활용성과에 대한 실증분석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약회사 영업사원을 대상으로 SFA 시스템의 활용도와 그에 따른 비재무적 성과를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은 제약 영업사원으로 구성된 제약 커뮤니티 회원 347명을 대상으로 2018년 3월 13일부터 4월 30일까지 18일 동안 온라인으로 조사하였다. 유효 응답률은 23.1%(80/347)이었다. 분석 결과 SFA 시스템 활용 수준이 높을수록 비재무적 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회사 구분별로는 국내 기업보다는 외국계 기업이 활용 수준이 높았다. SFA 활용 수준 항목 중 지원 서비스 항목에 대해 외국기업이 국내 기업보다 1.47점(3.65, 2.18) 높게 나타났고, SFA 성과 항목 중에서는 고객만족도 항목에 대해 외국기업이 국내 기업보다 1.47점(3.16, 1.69) 높게 나타났다. 이는 국내사의 SFA 개발 및 운영방식이 영업사원에 대한 지원 서비스 및 고객만족 중심이 아닌 관리 통제에 중심을 두는 것을 시사한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국내 기업의 경우 SFA 시스템 운영 시 영업사원 지원 및 고객만족 정보제공 기능이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Many pharmaceutical companies operate the SFA system to support salespeople. The SFA system is used for various behaviors of salespeople. However, there is a lack of empirical analysis on the performance of SFA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tilization of SFA system and the non - financial performance of SFA system.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347 pharmaceutical community members who consisted of pharmaceutical salespeople and surveyed online for 18 days from March 13, 2018 to April 30, 2018. and the effective response rate was 23.1% (80/347). The analysis show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SFA system utilization, the higher the non - financial performance. By type of company, the utilization level of multinational companies was higher than that of domestic companies. Among the SFA utilization level items, 1.47 points (3.65, 2.18) were higher than the domestic companies in terms of the support service items. Among the SFA performance items, foreign companies were 1.47 points (3.16, 1.69) Respectively. This suggests that the SFA development and operation method of the domestic company focuses on the management service rather than the support service for the salesperson and the 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this study, it is considered that domestic companies should strengthen sales person support and customer satisfaction information providing function when operating SFA system.

      • KCI등재

        다회용 점안제의 개봉 후 안정성 평가

        신서영(Seo-young Shin),장경원(Kyoung won Jang),선상욱(Sangouk Sun),하동문(Dongmun Ha)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2

        다회용 점안제는 개봉 후 여러 번 사용되기 때문에 사용 중 품질저하 가능성이 높다. 다회용 점안제의 개봉 후 안정성 평가 관련 국내외 규정의 비교분석을 통해 제제별 안정성을 평가하여 개봉 후 안전한 사용기간을 제안하고자 한다. 국내에서 다빈도로 사용중인 다회용 점안제 4종(올로파타딘염산염(Olo), 플루오로메톨론(Flu), 도르졸라미드염산염(Dor), 티몰롤말레산염(Timol))을 대상으로 개봉 후 실제 사용방법에 따른 보관조건을 통해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Olo는 개봉 2개월 이후 주성분 및 보존제 함량이 감소하였고, Flu는 개봉 후 28일 차부터 함량이 감소되었다. Dor와 Timol 복합점안제의 경우 Dor은 함량 및 유연물질이 개봉 후 14일부터, Timol의 함량은 개봉 후 28일부터 안정성 저하를 보였다. Olo, Flu은 개봉 후 28일 이내로, Dor, Timol은 개봉 후 14일 이내에만 사용되어야 한다. 무균제제인 다회용 점안제는 개봉 후 안정성 평가를 통해 사용기간 설정에 대한 규제제도 개선이 필요함을 제언하고자 한다. Multi-use ophthalmic solutions are used many times after opening; therefor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decreased quality during u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commended use period of multi-use ophthalmic solutions based on evaluation of the stability by comparing stability evaluation regulations of the USA, EU and Korea We selected four types of multi-use ophthalmic solutions (Olopatadine (Olo), Fluorometholone (Flu), Dorzolamide (Dor), Timolol (Timol)) that are frequently marketed in Korea and evaluated their stability during storage according to the actual usage method after opening. The Olo had a decrease in assay and preservative content at 2 months after opening, while Flu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day 28 after opening. For Do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from day 14 after opening in the assay and impurity test item and Timol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day 28 after open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ability test Olo and Flu should only be used within 28 days of opening, while Dor and Timol should be used within 14 days of opening. Therefore, we suggest that regulations system related use periods of multi-use ophthalmic solutions designed as aseptic preparations should be improved based on the results of stability tests after ope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