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1분과 : 국립공원 ; 오대산 선재길 회사거리~상원사 구간 식물군집구조

        김종엽 ( Jong Yup Kim ),이경재 ( Kyong Jae Lee ),이승한 ( Seung Han Lee ),피재황 ( Jan Hwang P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2

        오대산국립공원은 1975년 2월 제11호 국립공원으로 지정, 2007년 5월 IUCN 카테고리 Ⅴ에서 Ⅱ로 변경 등록되는 등 우수한 자연경관을 가지고 있으며, 오대성지가 위치하여 불교문화의 중심지로도 알려져 있다. 오대산 선재(善財)길은 불교 화엄종 입법계품(入法界品)에 나오는 구도자인 선재동자에서 유래한 것으로 선재길을 걷는 탐방객들도 선재동자처럼 지혜를 얻기를 기원하는 뜻에서 붙여진 것이다. 오대산 선재길에는 화전민 역사, 섶다리, 전나무와 궁합이 잘 맞는 조릿대, 오대산의 협궤철도 등 해설판이 설치되어있으나, 식물생태계를 이해할 수 있는 기초자료는 미흡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때 목재제재소 기능의 회사거리에서부터 상원사 입구에 이르는 8.1km 구간의 오대산 선재길 주변 식물군집구조를 분석하여 특화된 탐방프로그램 개발, 탐방객 만족도 제고, 생태윤리 실현 동기 부여에 기여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식물군집구조 방형구는 20m×20m 또는 10m×40m(400㎡) 크기로 52개소를 설정하였으며, 11명의 연구자가 2013년 8월 15~17일에 조사하였다. 해발고는 회사거리 680m~상원사 900m, 경사는 2~30。로 인공림은 평지, 거제수나무, 일부 전나무와 낙엽활엽수는 전석지대 경사지에 분포하고 있었다. 식물군집 분류는 DCA에 의한 ordination 분석(Orloci, 1978)을 통해 실시하였으며, 일본잎갈나무-잣나무림(Ⅰ), 박달나무-거제수나무군집(Ⅱ), 소나무군집(Ⅲ), 신갈나무-낙엽활엽수군집(Ⅳ), 전나무-낙엽활엽수군집(Ⅴ), 전나무군집(Ⅵ), 물황철나무군집(Ⅶ) 등 7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일본잎갈나무-잣나무림(Ⅰ)은 19개 조사구가 포함되었으며, 교목층에서는 일본잎갈나무(I.P.: 47.8%)와 잣나무(I.P.: 36.4%)가 우점종이었다. 박달나무-거제수나무군집(Ⅱ)은 3개 조사구가 포함되었으며, 교목층에는 박달나무(I.P.: 39.6%), 거제수나무(I.P.: 25.2%), 아교목층에는 박달나무(I.P.: 21.36%), 물푸레나무(I.P.: 21.6%), 관목층에는 조릿대(I.P.: 34.65%)가 우점종이었다. 소나무군집(Ⅲ)은 4개 조사구가 포함되었으며, 교목층에는 소나무(I.P.: 58.2%), 아교목층에는 당단풍나무(I.P.: 23.1%), 서어나무(I.P.: 18.5%), 피나무(I.P.: 12.2%), 관목층에는 조릿대(I.P.: 30.8%)가 우점종이었다. 신갈나무-낙엽활엽수군집(Ⅳ)은 4개 조사구가 포함되었으며, 교목층에는 신갈나무(I.P.: 37.8%)가 우점하고, 야광나무, 물푸레나무, 피나무가 출현하였고, 아교목층에는 당단풍나무(I.P.: 23.6%), 까치박달 (I.P.: 18.4%), 관목층에는 조릿대(I.P.: 42.1%)가 우점종이었다. 전나무-낙엽활엽수군집(Ⅴ)은 16개 조사구가 포함되었으며, 교목층에는 전나무(I.P.: 18.5%), 신갈나무(I.P.: 10.4%), 거제수나무(I.P.: 6.5%) 등이 종간경쟁하고 있었고, 아교목층에는 까치박달(I.P.: 28.26%)이 우점하는 가운데, 전나무치수가 아교목층(I.P.: 12.5%), 관목층(I.P.: 6.5%)에 출현하고 있었고, 관목층에는 조릿대(I.P.: 42.4%)가 우점종이었다. 전나무군집(Ⅵ)은 4개 조사구가 포함되었으며, 상원사 입구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교목층에는 전나무(I.P.: 46.1%)가 우점종이었고, 아교목층에도 전나무(I.P.: 35.0%)가 우점종이었고, 관목층에는 조릿대(I.P.: 50.4%)가 우점종이었다. 물황철나무군집(Ⅶ)은 2개 조사구가 포함되었으며, 교목층에는 물황철나무(I.P.: 45.1%)가 우점하고, 거제수나무, 고로쇠나무, 피나무 등이 출현하였고, 아교목층에는 까치박달(I.P.: 22.7%)과 전나무(I.P.: 14.8%)가 주요 출현수종이었고, 관목층에는 조릿대(I.P.: 36.5%)가 우점종이었다. 유사도지수는 전반적으로 21~45%로 이절적인 편이었으며, 소나무군집(Ⅲ)과 전나무군집(Ⅵ) 간 유사도지수가 14.89%로 가장 이질적이었고, 전나무-낙엽활엽수군집(Ⅴ)과 물황철나무군집(Ⅶ) 간 유사도지수가 61.35%로 상대적으로 동질적이었다. 단위면적 400㎡ 당 Shannon의 종다양도지수는 일본잎갈나무-잣나무림(Ⅰ)은 0.9517~1.3965, 박달나무-거제수나무군집(Ⅱ)은 0.9347~1.2653, 소나무군집(Ⅲ)은 0.9752~1.1624, 신갈나무-낙엽활엽수군집(Ⅳ)은 0.9817~1.2031, 전나무-낙엽활엽수군집(Ⅴ)은 0.9451~1.3645, 전나무군집(Ⅵ)은 1.0820~1.1813, 물황철나무군집 (Ⅶ)은 1.1584~1.2397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