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도권 거주가구의 주거이동방향 간 주거환경만족도 차이 분석

        최희용(Choi, Hee Yong),전희정(Jun, Hee-Jung) 한국도시행정학회 2017 도시 행정 학보 Vol.30 No.1

        본 연구는 2012년 주거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수도권 거주가구의 주거이동방향 간 주거환경만족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주거이동방향은 서울에서 경인지역, 서울 내, 경인지역 내, 경인지역에서 서울로의 이주로 구분하였다. 주거이동방향에 따른 주거환경만족도의 차이는 전반적인 주거환경만족도를 결정하는 편리성, 쾌적성, 사회성의 주거환경 구성요소 간 영향력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영향력이 높은 주거환경 구성요소들에 있어, 이들에 대한 만족도가 주거이동방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전반적인 주거환경만족도를 결정하는 주요요인은 이동방향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둘째, 서울로 이동한 가구는 기존거주지와 관계없이 경인지역으로 이동한 가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주거환경만족도를 보인다. 셋째, 경인지역에 거주하는 가구 중 서울에서 이주한 가구의 경우에는 지역 내에서 이주한 가구에 비해 낮은 만족도를 보인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ial mobility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By using the 2012 Korea Housing Survey, we analyze whether residential satisfaction are differentiated by moving directions, including Seoul to the suburbs, Seoul to Seoul, the suburbs to Seoul, and the suburbs to the suburbs. In the empirical analysis, we compare the impact levels among residential environmental factors of convenience, pleasantness, and sociality on overall residential satisfaction. Then, we analyze whether the satisfaction levels of residential environmental factors are different depending on moving direction. We have three key findings in this study. First, relative importance among residential environmental factors on overall residential satisfaction varies by moving direction. Second, households who moved to Seoul, regardless the origin, are more satisfied with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than those who moved to the suburbs are. Finally, households who moved from Seoul to the suburbs are less satisfied with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than those who moved xhe suburbs are.

      • KCI등재

        지역 내 문화자본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경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최희용 ( Choi Hee Yong ),정문기 ( Jeong Moon-gi ),이규명 ( Lee Kyu Myeong ) 한국행정연구원 2016 韓國行政硏究 Vol.25 No.1

        전통적인 개발정책을 통한 지역재생에 대한 한계가 대두되면서 지역 내 문화자본을 통한 개발 정책이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사실에 주목하고 문화자본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문화자본과 지역경제의 영향관계에 대한 사회경제적인 요인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조절회귀분석결과 문화자본 변수 중 문화산업·문화기반시설·축제·예술가가 지역경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경제는 문화산업과 예술가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강화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지역 내 문화자본이 풍부할수록 지역이 발전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사회적 경제가 이와 같은 효과를 강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이론적 측면에서 사회적 경제가 문화자본이 지역경제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 유의한 조절효과를 지닌다는 논의를 자료를 통해 실증적으로 검증하였으며, 전국의 기초자치단체를 분석단위로 채택함으로써 일반화를 획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정책적 측면에서 문화자본을 통한 지역재생 정책에 사회적경제와 같은 시민사회의 자발적 참여로 구성된 조직 환경 구축을 위한 노력이 동반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As the limits of traditional development policy have come to the fore, the cultural capital in local area has been suggested as one of the new alternatives for local development. In recognition of the trend, this study conducted quantitative analysis about the effect of cultural capital on local economy us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econom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cultural industry, cultural infrastructure, local festival, and artists have positive effect on local economy. In addition, social economy moderates the effect of cultural industry and artists on local economy. It means that plentiful cultural capital in local area affects local development, and social economy reinforces these effects. In the theoretical context, this study has implications that it verifies moderating effect of social economy and generalizing by adopting all local governments across the country as analysis unit. In the public policy context, the study shows that the local regeneration policies through using cultural capital should run parallel with endeavors to construct environment for the organizations like social economy organization.

      • KCI우수등재

        정책지지 결정요인과 공론화의 조절효과 : 경기도 기본소득 공론화 사례

        최희용(Choi Hee Yong),은재호(Eun Jaeho) 한국정치학회 2021 한국정치학회보 Vol.55 No.4

        이 연구의 목표는 최근 들어 한국 사회에서 유행하고 있는 공론화의 숙의 효과를 통계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정책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세 가지 요인과 정책지지 사이에 개입하는 자료제공과 분임토의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목표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자료제공과 분임토의에 대한 만족이 높을수록 물질적 이기심이 정책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한다. 그러나 상징적 태도, 사회지향적 인식이 기본소득 정책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지는 못했다. 이러한 관찰이 의미하는 바는 명확하다. 공론화가 이해관계에 기반을 두는 견해차를 조정함에 있어서는 효과적이나 가치에 기초한 견해차를 조정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 그것이다. 분석 자료로는 ‘2020 경기도 기본소득 도입에 관한 공론화 조사’ 결과를 활용했다. 분석프로그램으로는 SPSS 18.0을, 분석방법으로는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했다. This study verified in a quantitative approach the effect of public deliberation, which appeared to be a popular decision-making method today in Korea. Specifically, it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public deliberation(data provision and group discussion in particular) between three factors(self-interest, symbolic attitude, sociotropic conception) and policy suppor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 satisfactory data provision and group discussion reduce the effect of self-interest on policy support. However, it doesn’t reduce the effect of symbolic attitude and of sociotropic conception on policy support. In other words, public deliberation shows limits in mediating differences of value centered opinion, while it is effective in mediating differences of interest based opinion. The survey result of ‘2020 Gyeonggi-do public deliberation on the basic income’ is anlyzed for the case study of public deliberation. SPSS 18.0 is used an analysis tool for a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

      • 드론영상 기반 침수 모니터링 및 조립식 빗물 침투 저류블록 구조를 활용한 상습 침수지역 대응 방재기술

        최희용 ( Choi Hee-yong ),최형길 ( Choi Hyeong-gil ),류정림 ( Ryu Jung-rim ),김원창 ( Kim Won-chang ),이태규 ( Lee Tae-gyu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nd development is to develop a structure module that improves the efficiency and constructability of the layout structure as well as the design development of rainwater permeable storage tank blocks using inorganic binders and aggregates with the aim of reducing greenhouse gas (CO<sub>2</sub>) with eco-friendly materials. In addition, for the efficient response to flooding of the developed permeable storage structure, we present a technical solution for combining drone mapping technology and flood monitoring technology that can analyze topographical factors in detail.

      • KCI등재SCOPUS
      • KCI등재

        도시의 사회적 다양성이 서울시민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다수준모형을 활용하여 -

        최희용(Choi, Hee-Yong),서은혜(Seo, Eun-Hye),전희정(Jun, Hee-Jung) 한국지역학회 2020 지역연구 Vol.36 No.1

        최근 지역에 거주하는 구성원이 다양한 사회적 배경을 갖는 정도를 의미하는 사회적 다양성 논의가 확산되고 있다. 기존 연구들은 사회적 다양성이 사회적 신뢰, 사회자본 등 삶의 질과 높은 상관관계를 형성하는 개념들과 긍정적 영향관계가 있음을 제시한다. 사회적 다양성의 대칭적 개념인 사회적 분리가 주민의 삶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력이 사회 이슈임을 고려할 때 사회적 다양성과 삶의 질에 대한 직접적이고 심층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지역의 사회적 다양성이 개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다수준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 결과에 기초해 전체표본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소득계층을 구분한 분석을 추가적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투입된 다섯 개의 사회적 다양성 지표 중 주민 직업 유형의 다양성을 측정한 직업다양성이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소득다양성의 경우에는 동질성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은 이후 도시정책의 방향 설정에 유용한 정책적 함의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attention to social diversity within communities. Previous studies suggest that social diversity is positively related to social trust and social capital that are intimately related to quality of life. Because of the controversy on social segregation that is an opposite concept of social diversity and is a factor negatively affecting quality of life, more studies on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 diversity and quality of life should be undertaken. This study employs a multilevel model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 capital and quality of life. We analyzed the association using both the pooled sample and samples splitted based on social class. The empirical result shows that the occupational diversity positively affects quality of life while the income diversity negatively affects quality of life. These results provide useful policy implications for setting urban policy dire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