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아동패널조사의 원표본이탈에 관한 연구

        최효미 ( Hyo-mi Choi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7 조사연구 Vol.18 No.2

        이 논문은 아동패널조사 원표본의 표본이탈에 관한 연구로, 아동패널조사 원표본의 이탈(응답거부) 패턴을 분석하여, 이탈유형별로 어떠한 특성이 유의한 차이를 발생시키는지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사건계열 분석과 최적일치법을 활용한 군집분석, 다항로짓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아동패널조사는 원표본의 유지·관리가 비교적 잘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지속적인 표본이탈이 관측되는 약 20%의 원표본의 경우에도 특정한 특성을 지닌 집단에 밀집되어 있지 않고 랜덤하게 이탈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조사 초기에는 성실하게 지속적으로 응답하다가 중반(4차 년도) 이후 응답이 지속적으로 누락되고 있는 집단의 경우에는 경인지역 거주자와 대도시 거주자의 비중이 높아, 조사 과정에서 특정 지역의 표본이 지속적으로 응답에서 누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This paper examines the attrition of the original sample members of the `Panel Study on KoreanChildren(PSKC)`. By analyzing the patterns of attrition(refusal to respond) among the original PSKC sample members, we aim to look at which characteristics give rise to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the various types of attrition. Results indicate that the original sample of the PSKC has been managed and maintained fairly well, with no particular groups(as defined by various characteristics) being overrepresented among the approximately 20% of the original sample who have continuously dropped out of the study. Nevertheless, there was a high proportion of those residing in the Seoul-Incheon area and major cities among the sample members who had participated enthusiastically from the initial stages of the study but have continued to deny participation since the middle stage of the study(4th wave and later).

      • KCI등재

        코로나19 전후 조사방식의 변화와 모드효과: KICCE 소비실태조사를 중심으로

        최효미 ( Hyo-mi Choi ) 한국조사연구학회 2023 조사연구 Vol.24 No.2

        이 연구는 코로나19의 확산에 따라 대면 면접조사가 극히 어려워진 상황에서 조사방식의 변경이 데이터의 품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는 연구로, ‘KICCE 소비실태조사’ 2차년도(2019년)와 3차년도(2020년)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다수 조사방식 간의 선택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패널 확률효과 다항로짓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사방식이 데이터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미관측 이질성과 시차효과 통제가 가능한 패널 이원고정효과 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혼합조사방식은 응답률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총 자녀 수가 많은 경우, 가구소득이 299만 원 이하인 저소득 가구, 그리고 중소도시에 거주하는 경우에 방문조사 대비 방문+유치조사 참여 확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마지막으로, 조사방식에 따라 주요 측정변수(총 양육비용)가 체계적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해 본 결과에서는 방문조사 대비 방문+유치조사를 한 경우에만 유의미한 양의 영향이 포착되었다. 단 이같은 모드효과는 측정오차라기보다는 조사방식의 선택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총 자녀 수가 많거나 대면접촉이 어려운 가구의 경우 조사방식을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응답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how changes in data collection methods, which were necessitated by the near-impossibility of face-to-face interview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might have affected data quality. Our analysis is based on the 2nd (2019) and 3rd (2020) waves of the KICCE Spending Survey. Applying panel random effects multinomial logit estimation to gauge the effect of respondents’ choices from among various data collection methods, we looked at whether changes in data collection methods affected data quality. In doing so, we employed a two-way fixed effects model that allowed us to control for both unobserved heterogeneity and time lag effects. Analysis results indicate a positive effect with regards to response rates. Relative to face-to-face interviews, participation in ‘face-to-face interview + leave a survey at home’ type surveys was more likely among households with more children, low-income households with less than 3 million KRW in household income, and households residing in medium-sized areas. Finally, looking at whether data collection methods led to systematic changes in key measurement variables (e.g. total childcare costs), we found evidence of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ly among ‘face-to-face interview+leave a survey at home’ cases, relative to face-to-face interviews. This mode effect appears attributable more to the effect of respondents’ choice of data collection method, rather than to measurement error. Therefore, in the case of households with many children or households that are difficult to interview face-to-face, it appears that providing the option of freely choosing data collection methods will help improve convenience among respondents.

      • KCI등재

        초등 전환기 사교육 서비스 이용 행태에 관한 연구

        최효미 ( Hyo Mi Choi ),이정원 ( Jeong Won Lee ),김태우 ( Tae Woo Kim ) 육아정책연구소 2021 육아정책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초등 전환기 아동의 사교육 서비스 이용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logit 및 tobit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교육 서비스 이용 행태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고정효과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유아기(만6세)는 가구 특성에 따라 사교육 서비스 이용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데 반해, 초등1학년(만7세)의 사교육 서비스 이용시간과 이용비용에는 부 학력수준, 가구소득, 총 자녀수 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등1학년에 입학하면서 가구 특성과 무관하게 사교육 서비스 이용이 증가하는 시차효과가 뚜렷하게 발견되었다. 이에 근거하여, 취약 가구에 대한 공적 돌봄 및 교육 지원 확대, 방과 후 활동 내실화 및 인식 개선 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a multifaceted exploration of the determinants of private education among children transitioning from age six(preschool) to age seven(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First, households with multiple children faced constraints in accessing private education, thus confirming the need for support policies directed at alleviating the financial burden of education. Second, evidence demonstrated that among first-graders, household income influenced the time and expenditure invested in private education. This suggests the need for attention to prevent income gaps translating into educational gaps. Third, the use of private education services appeared to be further motivated by educational purposes than by the need to compensate for deficits in caretaking, thus indicating the need to strengthen the quality of public care services for elementary school-aged children. Fourth, a pronounced time lag effect was observed in behavioral changes associated with private education use among children transitioning to elementary school. This implies the need to improve the quality of public education services, as well as to concurrently consider efforts to shift perceptions to prevent excessive dependence on private education.

      • KCI등재

        전일제 근로와 시간제 근로의 임금 격차에 관한 연구 -어린이집,유치원 종사자를 중심으로-

        최효미 ( Hyo Mi Choi ) 한국여성경제학회 2016 여성경제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근무하는 전일제 담임교사 및 시간제 근로자의 임금 결정요인과 이들 사이의 임금 격차를 발생시킨 요인에 대해 알아본 연구이다. 분석 결과, 유치원의 경우에는 근로시간형태에 따른 차별보다는 인적 특성 및 기관 특성의 차이에 의한 임금격차가 발견되었다. 반면, 어린이집의 경우에는 전일제 담임교사와 시간제 근로자 사이의 임금 격차에 차별적 요인이 보다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고는 특히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시간제 근로자들의 근로 여건 개선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terminants of the wages of full-time teachers and part-time worker working at child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as well as analyzing the factors behind the wage gap between them. Analysis results show that, in the case of kindergartens, wage differentials were explained more by personal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than discriminatory factors. On the other hand, discriminatory factors were found to have played a greater role in determining the wage gap between full-time teachers and part-time worker in the case of childcare centers. Based on these findings, in this study we have argued for improvements in the working conditions of part-time workers at childcare centers.

      • KCI등재

        기혼여성의 지역노동시장권 설정과 취업에 미치는 영향

        최효미 ( Hyo Mi Choi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3 사회보장연구 Vol.29 No.3

        This study looks into the local labor market areas (LLMAs) relevant for married women, and analyzes how LLMA characteristics influence to employment. Using a 10% sample of Korea`s 2010 National Census, LLMAs were drawn up using travel-to-work data. Results indicate that LLMAs for married women are fragmented throughout Korea and cover markedly smaller areas than those for married men or single women. Multilevel analyses on married women`s employment using these LLMAs indicate that region-level regressors with significant positive coefficients included proportion of workers in public-service (public administration/ education/ health and social work etc), proportion of workers in personal-service (hotels and restaurants/ personal service activities etc), proportion of workers in non-male-dominated occupation, whole child-care facility availability, and public child-care facility avail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