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체장애노인의 생활체육 참가에 따른 일상생활수행능력, 우울수준 및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의 비교분석

        최윤진(YounJinChoi),김우석(WooSukKim) 한국체육학회 2013 한국체육학회지 Vol.5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지체장애노인의 생활체육 참가가 일상생활수행능력, 우울수준, 그리고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60세 이상의 지체장애노인 135명 중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71명, 생활체육에 참여하지 않는 64명을 선정하였다. 일상생활수행능력 7문항과 우울수준 10문항을 면접 조사하였으며, 대사증후군 위험인자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생활체육에 참여를 한 지체장애노인 집단이 높은 일상생활수행능력, 낮은 우울수준, 그리고 허리둘레, 혈압, 총콜레스테롤, 그리고 저밀도지단백에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생활체육을 하는 지체장애노인의 경우 일상생활수행능력, 우울수준, 그리고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에 어느 정도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 of elderly with disability people`s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depression,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 A total of 135 elderly with physical disabilities men and women(physical activity group: 71, physical inactivity group: 64) participated in a questionnaire study, and measured for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 T-test was used to confirm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ctivities of daily livin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hysical activity group compared to physical inactivity group. Second, depression, waist circumference, blood pressure, total cholesterol, and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ower in the physical activity group compared to physical inactivity group. In conclusion, the physical activity had a positive effects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depression,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 in elderly with physical disabilities persons.

      • KCI등재

        정신지체 성인의 심폐지구력 측정을 위한 직접법과 간접추정법의 상관관계 분석

        장명재(MyeongJaeChang),최윤진(YounJinChoi) 한국체육학회 2008 한국체육학회지 Vol.47 No.1

        본 연구는 성인 정신지체인을 대상으로 심폐지구력의 측정방법 중 직접측정법과 1마일 걷기 테스트인 Rockport Fitness Walking Test(RFWT)을 이용한 간접추정법을 통하여 O2max 측정 후 결과의 차이를 분석하고, 두 측정방법을 상관 분석하여 1마일 걷기 테스트가 성인 정신지체를 대상으로 심폐지구력을 측정하는 검사도구로서 타당한 측정방법인지 분석하였다. 피검자는 경기도 광주시에 거주하는 성인 2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전거 에르고미터를 이용해 최대산소섭취량이 29.10±10.20ml/kg/min, 1마일 걷기 테스트 결과 최대산소섭취량이 41.26±7.91 ml/kg/min으로 산출되었다. 두 측정방법 간의 측정한 자료는 피어슨 상관분석(Pearson correlation)으로 신뢰도 검정을 한 결과 .684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p<.01)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나 직접측정법과 간접추정법의 최대산소섭취량의 평균값의 차이가 나타나 간접측정법이 심폐지구력을 판단하기 위한 타당한 방법이라 해석하기에 논쟁의 여지가 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정신지체 대상자로 하여금 자전거에르고미터의 충분한 경험과 함께 사전검사를 실시해야 하며, 트레드밀과 자전거에르고미터를 통한 직접측정법과 1마일 걷기 테스트의 추정법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오차를 줄이고 신뢰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Rockport Fitness Walking Test equation to predict maximal oxygen uptake was valid for application for mental retardation man. A total of 29 subjects with mental retardation(age=22.17 years) participated the research and measured O2max by GXT of arm ergometer. They also completed a 1mile walking test. Each O2max is 29.10±10.20 ml/kg/min by GXT, 41.26±7.91 ml/kg/min by 1mile walking test.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O2max by GXT and Rockport Fitness Walking test.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O2max and 1mile walking test is 0.684. It was significantly at level p<.01. Consequently these result suggest Rockport Fitness Walking Test are satisfactory predictors of O2max in mental retardation man.

      • KCI등재

        배드민턴 동호인의 운동경력에 따른 근력, 골밀도, 근육량 및 자세관련 변인에 미치는 영향

        성순창(SoonChangSung),최윤진(YounJinChoi),김승환(SeungHwanKim),이만균(ManGyoonLee) 한국체육학회 2011 한국체육학회지 Vol.5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배드민턴 동호인의 운동경력에 따른 근력, 골밀도, 근육량, 그리고 자세관련 변인의 차이를 규명하는 것이었다. 생활체육 배드민턴 동호인 활동에 참여하는 24~57세의 남녀 87명을 운동경력에 따라 세 집단(통제 집단, 1~3년 집단, 4~7년 집단)으로 구분한 후 악력, 골밀도, 근육량, 그리고 척추와 골반의 형태를 집단 간에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통제 집단은 악력의 좌우측 차이가 다른 두 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2) 상지 골밀도의 좌우측 차이와 하지 골밀도의 좌우측 차이가 4~7년 집단, 1~3년 집단, 그리고 통제 집단 순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상지 근육량의 좌우측 차이, 하지 근육량, 그리고 하지 근육량의 좌우측 차이에서 4~7년 집단과 1~3년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4) 4~7년 집단의 골반 기울기 길이가 다른 두 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길게 나타났고, 통제 집단의 척추 측만곡이 다른 두 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규칙적인 배드민턴 참여에 따라 하지 골밀도와 근육량이 증가되는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지만, 반면 운동경력이 증가할수록 악력의 좌우측 차이, 상·하지 골밀도의 좌우측 차이, 상·하지 근육량의 좌우측 차이가 커지고, 골반 기울기 길이와 척추 측만곡이 증가되어 결과적으로 자세에 부정적인 영향이 나타나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따라서 생활체육으로서 배드민턴 동호인 활동에 참여하는 경우 바른 체형 교정을 위한 보조운동을 적극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e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muscular strength, bone mineral density (BMD), lean body mass (LBM), and posture-related variables by exercise career of 87 badminton club members, aged 24-57.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i.e., control group, 1-3 yrs group, and 4-7 yrs group, according to badminton career. Dependent variables were measured and compared among three groups.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Difference in grip strength between right and left was significantly lower in control group than other two groups. 2) Differences in BMD between right and left of upper and lower extremities were highest in 4-7 yrs group and lowest in control group. 3) Differences in LBM between right and left of upper and lower extremit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4-7 yrs group and 1-3 yrs group than control group. 4) Pelvic til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4-7 yrs group than other two groups. Lateral deviation of vertebra was significantly lower in control group than other two groups. It was concluded that positive effects such as increment of BMD and LBM were shown by long-term and regular participation to badminton; however, negative effects such as unbalance in posture were shown by the participation to badminton. Therefore, corrective exercise for posture should be performed by badminton club memb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