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견인트랙터의 전자파 적합성(EMC) 설계 대책에 대한 연구

        최강삼 ( Kangsam Choi ),소원용 ( Wonyong So ),안민기 ( Minki An ) 한국국방기술학회 2022 한국국방기술학회 논문지 Vol.4 No.1

        최근 개발되고 있는 차량은 환경에 대한 개선 측면으로 EURO6 엔진 적용 및 탑승자와 보행자의 안전에 대한 장비들이 적용됨에 따라 차량에는 이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 및 엑추에이터가 탑재되고 있다. 전자파 환경에서의 지상 장비의 작전 운용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차량 제어 시스템에 EMC(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대책이 수립되어 장비간의 전자파로 인한 상호 간섭 없이 작동 가능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민수용으로 개발된 견인트랙터를 군용화 개조를 통해 MIL-STD-461G의 전자파 성능을 만족하는 설계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Recently developed ground vehicles have Euro 6 engines applied to the environment and equipment for the safety of occupants and pedestrians. Accordingly, various sensors and actuators for control are installed in ground vehicles. In order to ensure the operational performance of ground vehicles in the electromagnetic environment, EMC(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measures must be established in the complex vehicle control system. It should operate with mutual interference due to electromagnetic waves between equipment. In this study, a design method that satisfies MIL-STD-461G, the electromagnetic performance of tractor developed for civilian use is reviewed for military use.

      • 군용 하이브리드 차량의 개발 동향 및 미래 전망

        안민기(Minki An),구병문(Byeungmoon Ku),최강삼(Kangsam Choi) 한국자동차공학회 2020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20 No.11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일반 상용 차량 분야에서 오랫동안 연구한 결과, 현재 국내 시장에서 58만대를 넘어섰다. 이와 더불어 군에서도 가속성능 향상, 작전거리 증대, 저소음 등의 강점을 토대로 하이브리드 차량에 대한 연구를 지속해 오고 있다. 하지만 군용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환경조건(온도, 전자파), 운행조건 등이 일반 상용 차량보다 요구되는 지수가 높으며 하이브리드 동력 시스템에 대한 기술 성숙도가 낮아 아직까지 전력화 되지 못하고 있다. 국내 뿐만 아니라 주요 국가(스웨덴, 영국, 미국)에서도 마찬가지로 전력화되지는 못하고 현재 실험실 수준의 테스트와 시제품을 만들어 실차 평가를 진행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본 논문은 친환경적이며 미래 전장환경에서 기동장비의 핵심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군용 하이브리드차량에 대한 개발동향과 미래 전망에 대하여 제시하며 기술 성숙도 향상 및 전력화를 위하여 본 연구에 매진하고 있는 각 나라 별 개발동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