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과 수업의 협력적 실행 연구

        천호성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7 사회과교육 Vol.46 No.3

        Is Cooperative Action Research with Teachers and Researchers Beneficial to Enhancing the Expertise of the Teaching Profession?: A Qualitative Case Study Cheon, Ho Seong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effect of cooperative action research on the enhancement of expertise in the teaching profession between researchers and teachers. Specifically the process of improving classroom teaching was investigated through analyzing teachers' personal reflections and responses to the researchers' advice that occurred during the teacher-researcher cooperative action research process. The research method used was a qualitative case study describing a real elementary classroom setting. An in-depth analysis of events that occurred with one elementary teacher engaged in teaching and self-reflection while receiving advice from a researcher was conducted.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could have an opportunity to see one's own teaching through another person's eyes during the teacher-researcher cooperative action research process. This action lead to a realization of personal weaknesses in their teaching. Second, the teacher-researcher cooperative action research process made teachers experience struggles, challenges, satisfaction, and happiness. These experiences, in turn, developed into a personal challenge for improving teaching. It seemed that the new insights gained from the struggles and satisfaction of one's teaching could become a source for exponentially increasing the expertise within the teaching profession.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4학년 사회과 수업을 중심으로 수업자(교사)와 연구자의 협력적 실행연구 과정이 교사의 수업전문성 신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해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업자와 연구자의 협력적 실행연구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의 성찰과 반성, 연구자의 조언에 대한 교사의 반응 등, 교사에 대한 의식 분석을 통해 수업의 질적 개선과정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S초등학교 K교사를 사례로 선정하여 실제적 상황과 현실에 대해 있는 그대로 기술하고, 상황과 맥락 속에서 그 의미를 심층적으로 해석하는 질적 사례 연구(qualitative case study)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이라는 관점에서 다음 2가지를 결론으로 제시할 수 있다. 첫째, 교사는 연구자와의 협력적 실행연구를 통해 타자의 눈으로 수업을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으며, 교사는 자신의 수업에 대한 반성적 성찰을 통해 수업 운영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신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자각하게 되었다. 둘째, 협력적 실행연구 과정은 교사에게 갈등, 고민, 희열, 행복 등을 경험하게 하였고, 수업에 대해 근본적인 물음과 함께 자신의 수업상(授業像)을 풍부하게 하는 과정이었다. 이러한 과정과 경험은 보다 나은 자신의 수업을 위한 새로운 도전으로 발전하였다. 갈등과 희열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도전이야 말로 교사에게 있어 자신의 수업에 대한 전문성을 배가시키는 최고의 에너지원이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일본의 다문화교육 지원체제에 관한 연구

        천호성 한국일본교육학회 2010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15 No.1

        이 연구에서는 일본의 다문화교육 지원체제에 관해 탐색하였다. 우리나라와 비슷하게 민족주의와 동질성을 강조해 오던 일본 사회도 이제 본격적으로 다문화사회에 진입하고 있다. “다문화사회”라는 용어보다는 “다문화공생”이라는 용어가 일반화되어 있는 것처럼, 일본에서 다문화사회에 대한 대응 방식의 핵심은 “공생(共生)”이라는 용어에 집약되어 있다. 공생의 관점에서 진행되고 있는 일본의 다문화가정 학생들에 대한 지원 체제의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이 3가지 특징이 고찰 되었다. 첫째, 일본계 귀국학생이나 외국인 학생 지원을 위한 체제는 『유입체제 만들기, 네트워크 만들기, 인적자원 만들기, 좋은 학습환경 만들기, 교재 및 수업 만들기, 특색있는 도전』의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둘째, 정주 외국인에 대한 지원체제는 정부의 행정기관별로 역할분담이 비교적 명확하게 구별되고 각 기관은 유기적인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외국인 자녀들에 대해 문부과학성, 총무성, 외무성, 후생 노동성 등이 역할을 분담하여 유기적으로 지원하는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셋째, 외국인 학생을 위한 취학지원체제는 국제인권 규약의 규정을 근거로 일본인과 동일한 지원을 하고 있으며, 정부는 외국인 취학 연령 자녀를 파악하고, 각 교육위원회에서는 이들에 대한 취학 안내 및 실질적인 지원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일본의 다문화교육과 관련한 과제로는 효과적인 일본어 지도를 위한 내용과 방법의 개선, 외국인 학생 지도를 위한 교원과 도우미의 양성 및 확보, 국제이해 교육과 연계한 충실한 교육, 외국인 가정 취학에 관한 조사 및 정보제공, 취학이나 전학에 있어서 학교간의 제휴, 일본어 지상주의 방식에서의 탈피 등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초등 사회과 지역학습을 위한 수업지도 방안 개발: 전주를 중심으로

        천호성,신재준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3 사회과교육 Vol.62 No.4

        The region is directly connected to our lives and continually undergoes changes. Schools should maintain ongoing interest in understanding and utilizing this regional context in education. The revised 2022 curriculum in South Korea emphasizes localization, encouraging educational authorities to take proactive roles and emphasize connections with local communities. In this study, focusing on Jeonju, a city of interest in Korea, two instructional approaches for regional learning were developed as part of curriculum localization and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to address future changes. The first approach was developed with a focus on proactive coping with changes in climate and ecological environments. Particularly, by deeply exploring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 of Jeonju Stream, from its pristine state to environmental pollution since the 1960s, and the impact on residents' lives, as well as residents' efforts for environmental purification, it is expected that students can perceive the intimate interrelationship between ‘region,’ ‘environment,’ and ‘daily life.’ The second approach was developed with a central theme around major events i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ypically, historical subjects in regional learning often center on pre-modern history, but this approach pays attention to the accessibility of approaching history in a familiar manner through existing historical figures and relics. Through this, by allowing students to feel closer and more familiar with our region's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it is expected to help lower preconceptions and resistance to history education. In conclusion,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proposing an approach to perform multiple regional learning activities through two or three themes in the same classroom. Especially, the meaningful effect of integrated learning across various areas that constitute social studies, through students selecting and sharing topics based on their levels and interests, can also be anticipated.

      • KCI등재후보

        일본 교원정책의 전개와 동향 - 교원의 양성, 채용, 연수를 중심으로 -

        천호성 한국일본교육학회 2009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14 No.1

        이 논문에서는 일본의 교원정책에 관한 전개과정과 동향에 관해 검토하였다. 구체적으 로 교원양성제도, 교원채용 시스템, 그리고 교원연수제도에 관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의 교원양성과정은 교원들에게 고도의 전문성이 무엇보다도 중시되고 있다 는 점을 들 수 있다. 이에 따라 초임자에게 조건부 임용을 통한 1년간의 초임자연수를 실시하고, 지금까지 많은 대학에서 개방적으로 진행되어온 교원양성 시스템은 교직대학 원으로 대체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둘째, 교원채용과 관련하여서는 선고시험을 통해 교사로서의 형식적인 자격보다는 시대 적 요청에 대응할 수 있는 교사로서의 자질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이를 위해 면접이나 특별 채용 등을 강화하고 있다. 셋째, 교원연수에 있어서는 자율성에 기반 한 자기연수의 중시, 학교 현장을 기반으로 한 현직연수의 강조, 사회 시설 등 사회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사회기관이나 시설 에서의 체험형 연수가 강조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