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은행원의 감정노동, 감정부조화, 심리적 소진 및 직무만족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김명희(Kim Myournghee),천성문(Cheon Sungmoo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0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은행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감정노동과 감정부조화 그리고 심리적 소진의 구조적관계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B시, K도, J도, 기타지역에 소재한 374명의 은행원을 대상으로 감정노동, 감정부조화, 심리적 소진, 직무만족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수집된 340부의 설문지가 구조회귀모형으로 변수 간 인과관계 분석을 위해 사용되었다. 구조적 관계분석을 위해 SPSS 21.0 프로그램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은행원의 감정노동 내면행위, 심리적 소진은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감정노동 표면행위와 감정부조화는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은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은행원의 감정노동은 감정부조화를 통해 직무만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은행원의 감정노동은 심리적 소진을 통해 직무만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은행원의 감정노동은 감정부조화, 심리적 소진을 통해 직무만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은행원의 감정노동은 감정부조화를 증가시켜 그들의 감정의 통제가 결국 심리적 소진의 증가와 직무만족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은행원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 of emotional labor, emotional dissonance, and burnout that affects job satisfaction of bank clerks. To achieve this research goal, 374 bank employees in B-city, K-do, J-do, and other regions were surveyed on emotional labor, emotional dissonance,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The finally, 340 questionnaires collected were used as a structural regression model to analyze causal relations between variables. The SPSS 21.0 program and the AMOS 21.0 program were used for structural relationship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irst, the job satisfaction of bank clerks is influenced directly by deep acting of emotional labor and burnout. However, surface acting of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dissonance do not have a direct effect on job satisfaction of bank clerks. Second, emotional labor of bank clerks does not have an indirect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rough emotional dissonance. Third, the bank clerks’ emotional labor has an indirect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rough burnout. Fourth, the bank clerks’ emotional labor has an indirect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rough emotional dissonance and burnou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bank clerks’ emotional labor increases emotional dissonance, which can eventually affect the increase of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So,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programs and programs in order to enhance the job satisfaction of bank clerks.

      • KCI등재

        상담자 성찰 훈련프로그램이 초보상담자의 어려움, 상담자 자기성찰 및 상담자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윤정훈(Yun Junghun),김명희(Kim Myunghee),천성문(Cheon Sungmoo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상담자 성찰 훈련 프로그램이 초보 상담자의 어려움, 상담자 자기성찰, 상담자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B시에 거주하는 상담경력 3년 미만, 2사례 이상을 경험 한 초보상담자 16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각 8명씩 배치하였다. 상담자 성찰 훈련 프로그램은 4주간 주 2회 매회기 120분씩 총 8회기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사전과 사후에 초보상담자의 어려움, 상담자 자기성찰, 상담자 자기 효능감 수준을 측정하였다. 두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SPSS/WIN 21.0을 이용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으며, 양적 분석 결과를 보완하기 위해 집단 참여자의 경험보고서를 바탕으로 내용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 성찰 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초보상담자의 어려움이 감소되었다. 둘째, 상담자 성찰 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상담자 자기성찰이 증가하였다. 셋째, 상담자 성찰 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가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상담자 자기효능감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상담자 성찰 훈련 프로그램이 초보상담자의 어려움을 감소시키고, 초보상담자의 상담자 자기성찰 및 상담자 자기효능감 수준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밝혀 냈다. 또한 향후 초보 상담자의 발달과 성찰을 촉진하는 상담자 훈련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 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Counselor Reflection Training Program effects on difficulties, counselor s self-reflection and counselor s self-efficacy of novice counselors. To this end,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of 16 novice counselors, 8 people each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a total of 8 sessions were conducted twice a week for 120 minutes for 4 week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experiment-control group pre-identity verification and covariance analysis (ANCOVA)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ifficulties for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Counselor Reflection Training Program has been changed positively after the program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Second, counselor s self-reflection for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Counselor Reflection Training Program has been changed positively after the program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Third, counselor s self-efficacy for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Counselor Reflection Training Program has been changed positively after the program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rogram is effective in lowering of difficulties, and, increasing of counselor s self-reflection ,counselor s self-efficacy. Finally, limitation to the current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의 부모화가 정서표현양가성에 미치는 영향

        전혜정(Jeon Hyejeong),박진희(Park Jinhee),이수영(Lee Sooyoung),최영미(Choi Youngmi),김명희(Kim Myounghee),천성문(Cheon Sungmoo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8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부모화와 정서표현양가성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P 지역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부모화, 정서표현양가성, 자기위로능력 척도를 사용해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498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과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과 단순기울기의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성별에 따라 정서표현양가성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자 청소년이 여자 청소년보다 정서표현양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화와 정서표현양가성은 정적 상관관계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나 부모화가 높을수록 정서표현 양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에 따라 자기위로능력의 조절효과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 청소년의 경우 부모화와 정서표현양가성의 관계에서 자기 위로능력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반면에 남자 청소년의 경우 자기위로 능력의 상호작용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모화가 정서표현양가 성에 미치는 영향 및 내적 자원인 자기위로능력의 조절효과를 성별에 따른 차이를 검증 하였으며, 이를 통해 부모화를 경험하는 학생들의 지도 및 상담에 있어 성별에 따라 다르게 접근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밝혀냈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sooth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parentification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in P region. The collected 498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1.0 program.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ignificance test of simple slope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ccording to gender. Male adolescents showed higher ambivalence than female adolescents. Second, parentification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were statistically correlated. The higher the parental attitude, the higher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Third, according to gend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effect of self-soothing ability. In the case of female adolescents, the ability to control self-efficac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nd emotional expressive ambiguity, where as male adolescents had no significant interaction of ability on their own.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arentification 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soothing ability on gender by internal resource. It is meaningful that it revealed the necess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