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대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중요도와 보유도: 다학제 전공 접근

        차선경(Sunkyung Cha),임선영(Sunyoung Im),강미선(Meesun K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0

        본 연구는 대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에 대한 학습자 중심의 학제 간 연구로 커뮤니케이션 교육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 및 학습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중요한 전공분야(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상담심리학 과, 간호학과)의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사회적 평정심, 사회인지, 공감 및 진실성, 자기공개, 반응력, 경청의 6개 요인으로 구성된 대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보유도를 조사하고 이를 IPA 분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충청소재 대학의 학부생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자료수집은 2018년 3월 19일에서 3월 30일까지 시행하였다. 전체 대상자들은 사회인지, 공감 및 진실성, 반응력, 경청 요인에 대해 중요도와 보유도가 동시에 높았고, 사회적 평정심과 자기공개 요인은 중요도와 보유도가 모두 낮았다. 이는 사회연결망 서비스를 통한 의사소통 및 사회적 관계 욕구 충족과 같은 대학생의 커뮤니케이션 특성과 관련이 있다. 대인 커뮤니케이션 교육에 있어서 자기공개와 사회적 평정심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하고 적절한 자기공개와 사회적 평정심을 가질 수 있는 방법을 훈련해야 한다. 학과별 비교에 의하면 상담심리학과 간호학 전공의 경우 전체표본과 유사한 양상을 나타냈으나,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는 반응력요인만 중요도와 보유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공감 및 진실성 요인과 사회인지 요인은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실제 보유능력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의 경우 대인적, 사회적 상황에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 교육과 훈련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a learner-oriented interdisciplinary study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biliti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on program development and learning for communication education. The importance and retention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bility consisting of six factors: Social relaxation, social cognition, self-disclosure, candour and empathy, speedy reaction, and listening ability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through IPA. Subjects were college students in fields where communication abilities are important (media department, counseling psychology department, nursing department) Data was collected from March 19-30, 2018. The overall subjects were both high in importance and retention on social cognition, candour and empathy, speedy reaction, and listening factors, while social relaxation and self-disclosure factors were both low in importance and retention. This relates to university students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such as communication and social relationships through social networking services. Interpersonal communication education needs to strengthen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social relaxation and self-disclosure and include appropriate strategies to develop social relaxation and self-disclosure. Comparisons by department showed that the major in counseling psychology and nursing were similar to the overall sample, but only the speedy reaction factor was high in importance and retention, and the media communication department found that the factors of candour and empathy as well as social cognition were important, but the actual ability to hold them was low. In the future, the department needs to strengthen education and training to communicate in personal and social situations.

      • KCI등재

        여대생의 체중조절행위에 따른 자기통제, 우울, 섭식태도

        차선경(Sunkyung Cha),김근면(Geunmyun Kim),이은미(Eunmi Lee) 대한스트레스학회 2019 스트레스硏究 Vol.27 No.2

        본 연구는 여대생의 체중조절 행위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자기통제, 우울, 섭식태도를 살펴봄으로써 건강한 체중조절 행위를 위한 중재 개발을 위해 시도되었다. 376명에게 조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규칙적인 운동과 식사량 줄임을 하고 있는 경우가 단식 및 결식을 하고 있는 경우보다 자기통제가 더 높고 우울은 더 낮았고 단식 및 결식을 하고 있는 경우가 식사량 줄임을 하는 경우보다 섭식 장애 위험이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건강한 체중조절행위를 위해 체중조절 행위 별 맞춤형 교육을 시행할 필요가 있으며, 단식 혹은 결식인 군에게는 자기통제력을 향상시키고, 우울을 감소시키며 섭취장애의 위험성을 관리해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계획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lf-control, depression, and eating attitude according to weight control behaviors, and to develop intervention for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weight control of female college students and healthy weight control behaviors. Methods: It was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conducted for female college students. A total of 376 completed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a linear model us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a control variable. Results: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self-control was higher in the cases of regular exercise and reducing of meal than fast or meal skip in the main weight control behavior. The risk of eating disorder in fast or meal skip was higher than that of reducing of meal.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customized education and counseling according to weight control behaviors for healthy weight control behavior. A program should be planned to improve self-control, reduce depression, and manage the risk of ingestion disability for the fast or meal skip group.

      • KCI등재

        간호대학생에 대한 웰다잉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문현정,차선경,정성원,Moon, Hyunjung,Cha, Sunkyung,Jung, Sungwo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5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8 No.3

        Purpose: We examined the effects of a well-dying program on nursing students in terms of death preparation, death recognition and perception of well-dying perception. Methods: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quasi-experimental and non-synchronized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nursing students: 32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6 in the control group. The well-dying program was consisted of five sessions: introduction, thinking about meaning of death, organizing things to do before dying, looking back on my life, and leaving a trail of my life. Descriptive analysis, t-test, ${\chi}^2$ test and ANCOVA were used with SPSS 18.0 program to analyze the data. Results: After attending the program, a difference was observed in death prepara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t=2.61, P=0.014). The death recognition (F=154.15, P<0.001)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perception of well-dying (F=0.11, P=0.747). Conclusions: The well-dying program helped nursing students build positive death recognition.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a death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목적: 본 연구는 웰다잉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죽음준비와 죽음 및 웰다잉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방법: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였다. 대상자는 간호대학생으로서 실험군 32명, 대조군 36명이었다. 웰다잉 교육프로그램은 1회에 90~150분씩, 프로그램 소개와 죽음의 의미 탐색, 사망전 정리해야 할 일, 장례준비, 유언장 작성 등 5회에 걸쳐 워크숍으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chi}^2$ test, paired t-test와 ANCOVA로 분석하였다. 결과: 웰다잉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중재 전 후에 실험군의 죽음준비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t=2.61, P=0.014), 중재 후 실험군의 죽음에 대한 인식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F=154.15, P<0.001). 그러나 웰다잉 인식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죽음에 대한 체험을 바탕으로 한 워크숍 형태의 웰다잉 교육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웰다잉 인식에는 효과가 없었으나 죽음준비인식과 죽음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죽음과 관련된 인식을 높이는 데에 도움이 되는 중재로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간호대학신입생의 정서인식, 정서표현, 정서표현양면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근면(Geun Myun Kim),차선경(Sunkyung Cha)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

        본 연구는 간호대학신입생의 정서인식, 정서표현, 정서표현양면성과 대학생활적응을 확인하고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 2곳에 재학 중인 간호학과 신입생 159명이었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2년 5월 20일부터 6월10일까지 자료조사를 실시하였다. 대학생활적응은 정서주의와 정서명명과는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긍정표현에 대한 양면성과 부정표현에 대한 양면성과는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학생활적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서주의였으며, 정서주의, 긍정표현에 대한 양면성, 부정표현에 대한 양면성, 정서명명은 대학생활 적응에 대해 31.8%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간호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 향상을 위해서 정서인식 및 정서표현양면성을 돕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venes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ollege student adjustment, to analyze the factor affecting college student adjustment. The subjects were 159 freshman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May 20 to June 10, 2012.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WIN v 18.0. Positive correlation were found between college student adjustment and mood monitoring as well as mood labeling. On the other hand, ambivalence over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ambivalence over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were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college student adjustment. In addition, mood monitoring, ambivalence over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mood labeling, and ambivalence over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accounted for 31.8% of variance in college student adjus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rograms for promoting emotional awareness and reducing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re important for college adjustment in freshman nursing students.

      • KCI등재

        대학생의 정서표현의 양면성이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이은미(Eun Mi Lee),김유정(Yu Jeong Kim),차선경(Sunkyung Cha) 대한스트레스학회 2017 스트레스硏究 Vol.25 No.3

        대학생의 정서표현 양면성이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관련 전략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대학생 282명을 편의 추출하였고, 정서표현 양면성, 자기효능감, 대인관계 도구를 포함한 자가보고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기술통계, 독립표본 t-test,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정서표현 양면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긍정적 정서표현 양면성만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서표현 양면성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전체 정서표현 양면성과 긍정적 정서표현 양면성이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 향상을 위해 긍정적 정서표현 양면성과 전체 정서표현 양면성을 향상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Background: This research focuses 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f college students. It wa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related strategie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n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Methods: We selected 282 students who completed a questionnaire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ools.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verall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ambivalence over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of those who lived alone or in dormitor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living with their families or relatives. Ambivalence over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self-efficacy. Overall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ambivalence over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nclusions: To develop strategies enhancing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 colleg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trategy that can improve ambivalence over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on self-efficacy. There is a need for strategies that improves both ambivalence over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ambivalence over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