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정제정어리유에 대한 향신료 추출물의 항산화작용

        지청일,강진훈,박영범,이태기,김선봉,박영호,JI Cheong-Il,KANG Jin-Hoon,PARK Yeung-Beom,LEE Tae-Gee,KIM Seon-Bong,PARK Yeung-Ho 한국수산과학회 1992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5 No.5

        어유의 이용성 증대와 천연항산화제의 개발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정제정어리유에 대한 천연향신료의 항산화작용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제정어리유에 대한 천연향신료의 항산화효과는 향초계 향신료가 향신계 및 종자계 향신료에 비해서 전반적으로 강하였으며 그중에서도 특히, rosemary와 sage에서 강하였다. 2. Rosemary와 sage의 석유에테르 가용성 회분은 그 항산화력이 BHT보다 강하였으며, 또한 금속이온의 봉쇄작용도 강하게 나타났다. 3. Rosemary와 sage 추출물은 저장에 따른 정제정어리유의 중량증가의 억제효과도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ome spices on the autoxidation of refined sardine oil. The various spices powders(120mesh) were added into the refined sardine oil at the level of $0.1\%$ (w/w), and then incubated at $37^{\circ}C$ Among spices tested, herb spices showed higher antioxidative activities than spicy and seed spices. Especially,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herb spices on peroxidation of refined sardine oil were most effective in rosemary and sage. Furthermore, the available antioxidative compounds of rosemary and sage were fractionated into petroleum ether-soluble and -insolubles. Petroleum ether-soluble fractions(PESF) obtained from rosemary and sage on the autoxidation of refined sardine oil had a great antioxidative activities. The yields of PESF obtained from rosemary and sage were $10.3\%\;and\;12.6\%$, respectively. The PESF of rosemary and sage showed higher antioxidative effects than butylated hydroxytoluene(BHT), and indicated predominant metal ion-scavenging effect in PESF-refined sardine oil systems.

      • KCI등재

        수산물 가공부산물의 이용에 관한 연구 I -가다랭이 내장 발효 silage 제조를 위한 유산균주의 배양특성

        윤호동,이두석,지청일,서상복,YOON Ho-Dong,LEE Doo-Seog,JI Cheong-Il,SUH Sang-Bok 한국수산과학회 1997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0 No.1

        가다랭이 통조림을 제조할 때 대량 폐기되는 내장을 유효하게 이용할 목적으로 어류 내장 silage 제조를 위한 유산균주의 배양특성 및 저장기간에 따른 원료의 성상변화를 조사한 결과, MRS 배지에서 배양한 L. bulgaricus 및 L. plantarum 균주는 $pH\;5.5\~6.5$, 배양온도 $35^{\circ}C$ 부근에서 산생성 및 증식이 양호하였으며, 가다랭이 내장 자숙액에 사용된 당질원인 당밀 dextrose의 적정 첨가농도는 가다랭이 내장 중량 당 각각 $10\%$와 $7\%$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기간에 따라 산첨가 silage의 pH는 초기 4.0에서 저장 42일째 pH 4.5로 다소 증가하였으며, 유산균 발효 silage는 초기 pH 5.9에서 점차 감소하여 pH 약 4.0까지 저하되었다. silage의 초기 VBN 함량은 약 $62\~65\;mg/100g$에서 저장기간에 따라 점차 증가하여 저장 42일후 산첨가 silage는 112.6\;mg/100g이었고, L. bulgarius 및 L. plantarum 발효 silage는 각각 139.9 mg/100g와 155.0 mg/100g 이었다. L. plantarum 발효 silage의 저장중 경시별 아미노질소 함량은 저장 4일째 1391.3 mg/100g으로서 약 $81\%$의 가수분해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L. plantarum을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 silage의 초기 생균수는 $2.7\times10^8/g$에서 저장 35일째는 $2.3\times10^7/g$으로 나타났다. In order to utilize fish by-products from the skipjack tuna (Katsuwonus pelamis) canning manufactures Lactobacillus buigaricus KCTC 3188 and L. piantarum KCTC 1048 were used as a starter culture for the preparation of fermented fish silage with skipjark tuna viscera. The optimum temperature and pH on barterial growth and lactic acid production of L. bulgaricus and L. plantarum in MRS broth were $35^{\circ}C$ and around pH 6.0, respectively. And the optimum concentrations of the carbohydrate sources added to the broths were $7\%$ for dextrose and $10\%$ for molasses on the basis of total weights of skipjack tuna viscera. The pH of acid treated skipjack tuna viscera silage (ASS) slightly increased from 4.0 to 4.5, while that of fermented skipjack tuna viscera silages by the use of lactic acid bacterias (FSS) was significantly declined from 5.9 to about 40 after 42 days of storage at $35^{\circ}C$. Though the content of volatile basie nitrogen (VBN) in ASS was lower than those of FSS after 42 days of storage at $35^{\circ}C$, VBN content in silages slightly increased from an initial value of $62\~65{\cdot}mg/100g$ to final value of $113\~155\;mg/100g$ over 42 days. The fermented silage by L. piantarum reached a maximum concentration of amino nitrogen and showed $81\%$ of hydrolysis degree after 4 days of storage at $35^{\circ}C$.

      • SCOPUSKCI등재

        사과 추출물의 구취억제효과에 대한 Polyphenol Oxidase의 영향

        조상원(Sang-Won Cho),곽기석(Ki-Suk Kwak),이주항(Joo-Hang Lee),윤영수(Young-Soo Yun),구연숙(Yeun-Suk Gu),지청일(Cheong-Il Ji),이두석(Doo-Seog Lee),이양봉(Yang-Bong Lee),김선봉(Seon-Bong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0 No.6

        본 연구는 사과의 구취억제인자를 구명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써 사과 추출물의 획분에 따른 사과에서 추출한 PPO의 methyl mercaptan에 대한 구취억제활성을 조사하였다. 사과를 착즙하여 구취억제활성을 측정해 본 결과, 사과 고형분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구취억제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사과의 저분자획분에 PPO를 첨가한 경우, 저분자획분의 농도증가 및 반응시간에 따른 methyl mercaptan에 대한 구취억제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사과에서 추출한 PPO에 의한 갈변반응의 중간체로 생성되는 o-quinone이 methyl mercaptan과 결합하여 methyl mercaptan을 비휘발성으로 전환시켜 구취억제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Deodorizing activity of polyphenol oxidase (PPO) extracted from apples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the changes of methyl mercaptan as an indicator of halitosis in human mouths. In the studies of apple extracts on deodorizing activity, the deodorizing activity was increased with the amount of apple extracts. In the cases of adding PPO to the low molecular fraction of apple extracts, the deodorizing activities were increased with the amount of the low molecular fraction of apple extracts and the reaction time of the extracts with PPO. Deodorizing activities of PPO is thought that o-quinone as an intermidiate produced by an oxidative reaction of PPO during enzymatic browning reactions may react with methyl mercaptan to form a non-volatile and sulfur-containing compou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