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군 자살자에 대한 국가보훈 및 국가배상 연구

        김민영 ( Kim Minyoung ),김윤진 ( Kim Yoonjin ),신주영 ( Shin Juyeong ),이도감 ( Lee Doe Gam ),정동일 ( Jung Dongil ),지재욱 ( Ji Jaewook ) 서울대학교 BK21 법학연구단 공익인권법연구센터 2017 공익과 인권 Vol.17 No.-

        자살사고는 군대 내 사망사고의 65%를 차지할 정도로 그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해왔다. 이에 대해 국방부는 자살사고가 발생한 주요 원인을 망인의 개인적 원인에서 찾으며 군대라는 환경적 원인은 축소해 왔다. 하지만 군대의 폐쇄성·비자발성 등 의무복무의 특성을 고려한다면 군대 내 자살은 군대라는 환경적 요인으로부터 자유롭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보상체계는 자살을 했다는 이유만으로 다른 군대 내 사망자와 달리 국가의 책임을 축소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첫째 다소 복잡한 군대 내 자살자에 대한 보상절차를 분석하였고, 둘째 이 과정에서 국가의 책임이 옅어지고 군대 내 자살자가 현저한 불이익을 받는 부분을 지적하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군대 내 자살자에 대한 보상절차는 크게 국가유공자 및 보훈보상자 보상 제도, 국가배상 제도, 군인연금법에 의한 사망보상금 및 유족연금을 받는 방법이 존재한다. 국가배상법 제2조 제1항 단서가 적용되는 경우 다른 법령과 국가배상법의 관계는 ‘다른 법령’에 따라 보상을 지급받을 수 없을 경우에만 국가배상을 신청할 수 있는 보충적 관계를 형성한다. 현 보상체계에 대한 문제점으로 첫째 국가유공자 및 보훈보상대상자 보상제도에 따른 보상을 받기 위해서는 직무수행 혹은 교육훈련과 자살 간 상당인과관계를 원고가 증명해야 한다는 점이 있다. 군대는 위계질서에 의해 통제되는 폐쇄적 집단이기에 군대와 이해관계를 달리하는 외부인의 접근이 쉽지 않아 증거가 은폐되기 쉽다. 보훈보상자법의 제정 목적 및 성질, 가해자의 위험영역 내에서 발생한 사고의 경우 가해자에게 증명책임을 부과하는 위험영역이론을 고려할 때 상당인과 관계에 대한 증명책임은 원고가 아닌 국가가 부담해야 한다. 둘째 망인의 유족이 국가배상법을 통해 민사상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경우 과실상계가 문제된다. 군 자살자에 대한 국가배상 판례들을 보면 통상적으로 자살자에 대한 과실을 70~80%로 책정하여 배상의무자인 국가의 책임을 20~30%로 제한하고 있다. 의무복무라는 특성상 같은 법리가 적용되더라도 군 자살자 사건들은 다른 사안에 비해 국가의 책임이 더 막중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위참가자 국가배상에 관한 판결, 산업재해피해자 국가배상에 관한 판결 및 기타 환경에서의 자살에 관한 판결과 비교해보면 군대 내 자살자에 대한 국가배상의 과실상계비율은 지나치게 높다. 적어도 다른 손해배상 유형들과의 형평에 맞도록 원고 측 과실을 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방의 의무를 다하고 있는 나의 가족, 나의 친구가 있는 군대를 건강하게 지켜나가는 것 또한 우리 사회를 안전하게 만드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 군인들의 자살을 최소화시키는 노력과 더불어 자살한 군인들에 대한 사후적 보상도 제대로 갖춰놓아야 한다. 이를 위해 ①자살군인에 대한 보훈보상체계를 정비하고 입증책임을 전환하며 ②국가배상에서의 과실상계 인정비율을 합리적인 수준으로 낮추기를 제안한다. Among soldiers' death, death by suicide accounts for the largest proportion, reaching 65% of the total.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finds key cause of suicide exists in individual factors including personal aspects of the deceased, minimizing the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However, considering the closed environment of the military and compulsory military service which excludes spontaneity,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military have no less effect on suicide. Nonetheless, compared to other deaths, the current compensation system does not fully compensate suicides as the nation abandons its responsibility. Based on this critical context, this article first looks through the relatively complicated compensation procedures for suicidal soldiers. Second, it points out the problems of the unbalanced system which imposes huge disadvantages to a suicidal soldier and advantages to the government. Finally, this article suggests alternative solutions to the pointed problems. The compensation for suicidal soldiers consists of the assistance according to Act on the Honorable Treatment Support of Persons, etc. of Distinguished Services to the State and Act on Support for Persons Eligible for Veteran’s Compensation, the compensation according to State Compensation Act and pension given to the bereaved family according to Military Pension Act. When the Article 2(1) of State Compensation Act is applied, State Compensation Act plays supplementary role for other statutes, as compensation for one who may receive compensation 'under other statutes' is not allowed. The first problematic aspect is that it is required of a plaintiff to prove the reasonable causation between suicide and official duty or training courses to get compensation by Act on the Honorable Treatment and Support of Persons, etc. of Distinguished Services to the State and Act on Support for Persons Eligible for Veteran’s Compensation. However, evidence could be easily concealed in the military because of its exclusive hierarchy and limited accessibility. Considering the purpose of Act on Support for Persons Eligible for Veteran’s Compensation and risk-taking theory which imposes burden of proof to a person in charge, it should be the government who should be imposed burden of proof in a military suicide case. Second, the contributory negligence issue arises when the bereaved family sues the government for civil responsibility and compensation. In most military suicide cases, government responsibility is limited to 20~30% when the negligence of the deceased accounts for up to 70~80%, which is unusual. It is hard to understand the deceased should take great responsibility, considering compulsory military duty and harsh disciplines that the deceased had to go through. Compared to other kinds of cases related to wounded demonstrators, industrial accidents, and other suicides, military suicidal cases show unreasonably high contributory negligence rate. At least, it should be normalized in balance with other cases. It is also our duty to keep the military which my family and friends serves sound and safe. Thus, we have to build ex post facto system to compensate suicides in the military. For this, first we suggest to rearrange support and compensation system, and second to transfer plaintiff’s burden of proof to respon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