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중생잔모형을 이용한 아시안 이민자들의 주거밀도 변화추이와 주거과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이성우(Sung-Woo Lee),조중구(Zhung-Gu Cho),류성호(Sung-ho Ryu) 한국인구학회 2002 한국인구학 Vol.25 No.2

        주거밀도는 개인 및 가구의 주거수준을 보여주는 중요한 질적 주거복지 지표다. 이러한 측면에서 주거밀도는 이민자들이 현지 사회로 동화되어가는 정도를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1980년과 1990년의 PUMS(Public Use Microdata Sample)를 사용하여 미국 내의 주요 아시아 세 인종집단(한국인, 중국인, 일본인)의 과밀여부와 추이를 분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80년과 1990년 주거밀도의 나이효과와 이민효과를 분리하기 위하여, 이중생잔모형(Double Cohort Method)을 사용하여 이민자들의 생애주기와 경제적 수준 변화에 따른 10년 동안의 주거밀도 변화추이를 밝혔다. 분석결과는 이민기간이 이민자들의 주거복지 수준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민기간이 10-20년인 1970년대 이민자는 1970년 이전 이민자보다 과밀가구에 살 확률이 높았고 1970년 이전 이민자는 미국출생자보다 높아 현지사회의 거주기간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한국인은 이민초기에는 과밀가구에 살 확률이 크지만 거주기간이 증가하면서 그 확률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남자에 비해 여자가 과밀가구에 살 확률이 낮게 나타났다. 과밀가구에 살 확률이 높은 경우는 자가가구에 비해 차가가구, 미국출생자에 비해 1970년대 이민자, 그리고 15-24세 집단에 비해 35-44세 집단과 45-54세 집단이었다. 주거밀도라는 측면에서 분석한 미국내 한국인의 주거복지 변천 과정은 중국인과는 비슷한 수준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지만 일본인보다는 낮은 수준의 상향이동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것은 이민 당시의 국력수준의 차이에 따른 개인의 재산 축적 정도, 현지 사회에서 사용 가능한 인적자원의 차이, 그리고 미국사회 동화에 대한 문화적 차이 동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Residential overcrowding, also called density, measured as more than one person per room, is a important variable as a principal indicator of inadequate housing. We investigated how immigrants in the US are assimilated to the host society through a lens of housing density. We estimated the probability of living in overcrowded housing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immigrants armored with the 1980 and 1990 Public Use Microdata Sample(PUMS, A, 5%) in the US. Along with economic effects, we also consider life-cycle effects on the indicator. We applied “double cohort” method that enables duration of immigration effects to be separated from aging effects, which captures family size fluctuations due to life-cycle effects. The study found that cohort trends sharply changed during 10years. The 1970’ s immigrants are more likely to live in overcrowded housing than the pre-1970 immigrants. The pre-1970 immigrants are more likely to live in overcrowded housing than native-born persons. This may be explained by different assimilation processes driven by the disparities of individual human capitals or cultural differences among the ethnic groups. Especially, Korean experienced a sharp decline in overcrowding between 1980 and 1990. We also found that the major determinants that affect the level of housing density are years since migration, income, and gender. The present study concluded with some future studies related to the Korean immigrants abro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