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브랜드가 추구하는 이미지와 연상색채의 연관성 분석

        조주영(JuYoung Cho),최경실(GyoungSil Choi) 한국색채학회 2016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0 No.1

        현재까지 국내의 많은 도시들은 앞 다투어 도시브랜드 개발을 해오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도시브랜드 관련 연구들도 많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브랜드의 목적에 맞는 시각적 요소로서 색채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도시브랜드가 추구하는 이미지와 연상색채의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국내 6대 광역시 도시브랜드인 심벌과 슬로건으로 하였으며, 국내 6대 광역시 도시브랜드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도시브랜드가 추구하는 이미지에 대한 연상색채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20~50대 남·여 106명을 대상으로 PCIS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빈도분석을 통한 결과를 현황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증조사를 통한 결과들을 비교분석하여 종합한 결과, 대부분의 도시브랜드는 추구하는 이미지와 연관성 없는 색채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도시브랜드가 추구하는 이미지에 따라 red, yellow, blue, green 4가지 색상의 연상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도시브랜드가 추구하는 이미지에 따라 vivid, strong, bright 톤에서 연상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도시브랜드의 추구하는 이미지에 따라 색상과 톤에 의한 영향의 차이가 있었다. 도시브랜드에서 색채라는 표현요소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대부분의 도시브랜드는 이러한 색채의 속성을 고려하지 않고 의미 없이 무분별하게 사용하고 있다. 또한 도시별로 추구하는 이미지가 유사하여 추구하는 이미지에 따른 연상색채 특성도 편향되어 나타났다. 따라서 도시별로 각 도시만의 정체성을 표현할 수 있는 이미지를 먼저 구축하고, 그 이미지에 부합하는 색채를 사용한다면 다른 도시와의 차별성을 나타내며 보다 더 빨리 인지하고 기억하기 쉬운 도시브랜드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Many cities in Korea have developed their city brands competitively, and many city brand related studies began to appear along with this situ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age that the city brand pursuit and the color associated image to express color effectively as a visual element which is fit for the purpose of the city brand. So the subject of analysis in this study are the city brand of 6 biggest domestic metropolitan cities symbols and slogan, and analyzed current state of the city brand of 6 biggest domestic metropolitan cities. The survey was conducted to 106 adult men and women aged between 20s and 50s by using a PCIS and then analyzed and compared current state of the city brand with results through frequency analysi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age the city brand pursuit and the associated color.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below. First, the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of the association color analysis about the image the city brand pursuit shows that most of the cities use colors which has no relationship with the images the city brand pursuit. Second, the association of 4 colors, red, yellow, blue and green, appeared high according to the images the city brand pursuit. And the association appeared high in vivid, strong and bright tone according to the images the city brand pursuit. Third, there are difference of influence by the color and the tone according to the images the city brand pursuit. The color is important expressing element in the city brand. But as we could recognize in this study, the color is being meaninglessly and indiscriminately used without considering the nature of color in most of the city brands. And the association color characteristic according to pursuing image was appeared as biased, because the pursuing images of the cities are similar. So if the image with which the city"s identity could be expressed is established first and use colors appropriate to that image, a quicker recognition and easier recollection would be possible and it would be a city brand different from other cities.

      • KCI등재

        한국 ‘B급 영화’ 정체성 탐색을 위한 비평장 고찰

        조주영(Cho Juyoung),안숭범(Ann Soongbeum) 인문콘텐츠학회 2015 인문콘텐츠 Vol.0 No.37

        국내 영화 비평장엔 한국의 고유한 사회문화적 맥락이 작동한다. 그러나 그 안에서 ‘B급 영화’란 용어는, 미국영화의 오랜 전통 속에서 다듬어져 온 ‘B movie’ 개념을 느슨하게 적용한 결과로 존재해 왔다. 그래서 이 글은 한국 B급 영화의 고유한 정체성 탐색을 위해 1990년대 중반 이후 본격적으로 형성된 B급 영화에 관한 국내 비평장을 면멸히 살펴보고자 한다. 요약하자면, 오늘날 한국에서 B급 영화로 불리는 작품들은 B movie에 대한 미국인의 고답적인 편견들을 부분적으로 공유한다. 그러나 그와 구분되는 속성을 분명하게 지니는 바, 이는 B급 영화를 둘러싼 전문평자들의 인식과 태도에 변화를 요구한다. 좀 더 부연하면, 국내 B급 영화 역시 자극적 오락성이 비등한 작품, 장르 혼종이나 탈장르화를 전략적으로 꾀한 작품이라는 인상이 강하다. 또 기존의 영화문법으로부터 자율적 성격을 가지며 키치(Kitsch), 패러디(Parody), 오마주(Hommage), 패스티시(Pastiche) 등으로 읽히는 장면들을 다수 포함한다. 그러나 최근 B급 영화 상당수는 작품 내적 측면에서, 혹은 산업적 측면에서 주류영화 시장 안에 이미 진입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더 이상 B급 영화가 소수의 컬트(Cult)적 관심 속에 하위문화의 일부로 존재하지 않는 셈이다. 이 글은 그러한 사실을 논증하면서 B급 영화의 변화된 성격을 세부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바라건대, 미진한 연구물이지만 이 글을 경유해 한국 B급 영화에 대한 독자적이고 체계적인 시선이 예각화 될 수 있길 기대한다. Korea’s domestic movie critics follow the indigenous sociocultural context of our nation. However, the term "B-movie" has been existing as a result of loose application of the term formed within the long tradition of American movies. In this work, I will analyze the domestic critics about B-movies which began in ernest after mid-1990s to closely investigate the inherent identity of Korean B-movies. In conclusion, the recent Korean B-movies partially share the high-toned understanding and logic Americans have toward their B-movies. However it clearly bears significant differences in qualities which demand changes in understanding and attitude of professional critics about B-movies. To explain further, domestic B-movies also gives an impression that they are made with stimulating entertainment factors or are making tactical attempt of hybridism in genre or decategorization. Also, they are autonomous from existing rules of movies and include scenes that can be translated as kitsch, parody, homage or pastiche. However, looking at their internal or industrial aspects, many recent B-movies seem to have entered the mainstream movie market. This means that B-movies no longer exist only as a subculture under minor cult interests. This work demonstrates the fact and also aims for more detailed understanding of transformed characteristics B-movies now have. Though not perfect, I hope this paper would sharpen the methodical and independent view people have about Korean B-movies.

      • KCI등재

        청소년의 학교폭력 경험유형과 유형변화 및 정서문제 간의 관계

        조주영(Cho, Juyoung),오인수(Oh, Insoo)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한국청소년연구 Vol.25 No.4

        본 연구는 학교폭력의 경험유형(가해, 피해, 가?피해, 일반)과 유형변화(가해와 피해의 참여, 유지, 중단) 및 정서문제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 자료 중에서 중1패널 2차 연도(중2)와 3차 연도(중3) 조사에 참여한 총 2,25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전체 학생을 학교폭력 가해집단, 피해집단, 가?피해집단 및 일반집단으로 구분하여 집단별 정서문제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가해와 피해에 따른 2차 연도와 3차 연도의 유형변화에 대해 집단을 구분하여 무경험집단, 참여집단, 중단집단, 유지집단으로 분류하여 각 집단별 정서문제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유형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적 변인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정서문제는 공격성, 위축감, 우울, 신체증상 및 주의집중이다. 분석 결과 학교폭력 경험유형 및 유형변화에 따른 집단별로 모든 정서문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경험유형의 경우 피해와 가?피해 학생이 일반학생에 비하여 정서적 취약성을 보였으며, 유형변화의 경우 공격성은 비가해집단에 비해 가해중지집단과 가해유지집단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위축과 우울의 경우 비피해 집단에 비해 피해유지집단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단기적이고 횡단적인 관점에서 학교폭력을 분석하던 방식과 달리 학교폭력의 유형에 대해 종단적인 시각을 통해 학교폭력의 지속성이 미치는 심각성과 유형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적 변인을 확인한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개입에 적용될 수 있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school violence experience, changes in experience, and emotional factors by investigating data from the Korea Children Youth Panel Study. The second and third wave, including 2,259 middle students, was used for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four sub-groups in terms of their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bullies, victims, bully-victims, and others. In addition, the subjects were also categorized into four sub-groups in terms of changes which occurred in their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The differences in emotional variables among the groups such as aggression, shrinking, depression, attention, and physical symptoms were also examin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four groups based on the type of experience and changes in the experie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all emotional variables. In addition, aggression,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were identified as being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continuing group of school violence experience. Effective educational intervention methods and implic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are also discussed.

      • SNS에 경제적 대가를 표시하지 않은 기만광고 관련 표시광고법의 한계 : 인플루언서 규정 관련 제안

        조주영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22 Ewha Law Review Vol.12 No.-

        인터넷의 발달로 비대면 상황에서도 사업자나 소비자들의 물품 구매에 있어서의 접근성이 높아졌다. 또한 인터넷 사용자들은 많은 양의 정보를 더 빠르게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사업자가 제공한 정보보다는 자신과 같은 지위의 제3자의 의견을 더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어 후기와 같이 다른 소비자들이 제공하는 정보를 더 신뢰하는 추세를 보이게 되었다. 이에 따라 바이럴 마케팅 방식이 등장하였다. 또한 인터넷의 발달로 계정을 개설할 수 있는 누구든 의견을 공유하는 것이 쉬워졌다. 인터넷상 커뮤니케이션이 편리해지면서 같은 사용자들 사이에서도 큰 파급력을 가진 인플루언서가 생겨나게 되었다. 그들 정보는 일반 인터넷 유저들보다 더 많은 수의 유저들에게 공유되고, 그 영향력을 이용한 바이럴 마케팅 방식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들의 정보 신뢰 양상을 악용하는 기만광고 행위가 나타나면서 소비자의 합리적 선택행위를 방해하는 문제가 대두되었다. 이에 따른 규제방안이 현재까지도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전문인력이 아닌 일반인에 가까운 인플루언서를 제재하기엔 한계가 있어 논의가 필요하다. 인플루언서와 일반인의 차이가 크지 않다고 하더라도 그들의 영향력을 악용하는 기만적인 광고 형태가 소비자들이 합리적인 소비를 결정할 권리를 방해해서는 안 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전자상거래법상 규율내용은 소비자가 자신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경제적 이해관계를 밝히지 않는 기만행위를 직접 확인하도록 부담을 주는 상황을 만들어서는 안 되며, 전자상거래 사업자와 인플루언서에게 보다 높은 책임을 부과하여 소비자를 보호할 필요가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the accessibility of business operators and consumers to purchase goods has increased even in non-face-to-face situations. In addition, Internet users can share large amounts of information faster. As a result, consumers became more accessible to the opinions of third parties in the same position than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operator, showing a tendency to trust the information provided by other consumers, such as the reviews. Accordingly, a viral marketing method has emerged. Also,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it has become easier to share opinions with anyone who can create a web user account. As communication on the Internet became more convenient, influencers with great ripple effects were created. The information they post is shared by a larger number of users than ordinary Internet users, and viral marketing methods using their influence are being carried out. With the emergence of deceptive advertising that exploits consumers’ information trust patterns, a problem that hinders consumers’ rational choice has emerged. Accordingly, regulatory measures are still being discussed. However, there is a limit to sanctioning influencers close to the general public, not professionals, so further discussions are needed. Even if the difference between influencers and the general public is not significant, the deceptive form of advertising that exploits their influence should not hinder consumers’ right to decide reasonable consumption. Consequently, regulations under the e-commerce law should not create a situation in which consumers should directly identify deceptive practices that do not reveal their economic interests to protect their interests, and it is necessary to protect consumers by imposing higher responsibilities on e-commerce operators and influenc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