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랭지에서 기후조건이 국내육성 옥수수 품종의 생육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맹중(Meingjooung Kim),이승호(Seungho Lee),장선식(Sunsik Chang),김태일(Taeil Kim),최순호(Sun Ho Choi),조원모(Wonmo Cho),홍성구(Seonggu Hong),이상락(Sangrak Lee),김명화(Myeonghwa Kim)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1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1 No.4

        본 연구는 표고 760 m 지역인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에 위치한 국립축산과학원 한우시험장에서 2009년부터 2010년까지 2년간 기후조건과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과 생산량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파종에서 수확기까지의 평균최저기온은 2009년에 12.29℃, 2010년에는 14.30℃ 였고 평균최고기온은 2009년 21.66℃, 2010년 23.48℃ 였다. 평균기온은 2009년 16.86 ℃, 2010년 18.66℃ 였다. 일조시간은 2009년도 711.3시간, 2010년 663.8시간이었고 강수량은 2009년 893.8 mm, 2010년 762.1 mm였다. 초기생육은 2009년에 광평옥, 강다옥, 청안옥, 청사옥, 평안옥 모두 1.2로 나타나 초기생육이 양호하였고 2010년에는 평안옥은 1.3으로 양호하였으나 다른 네 품종은 2.4~3.0으로 2009년보다 양호하지 못하였다. 착수고는 모든 품종의 평균값에서는 2009년도 86.8cm, 2010년도 106cm로 높은 유의차가 인정되었다(p<0.001). 줄기의 직경도 모든 품종에서 2010년도가 굵었으며 년도 간 유의차가 인정되었고(p<0.01, p<0.001), 모든 품종의 평균값에서도 높은 유의차가 나타났다(p<0.001). 초장은 2009년에는 200 cm 2010년에는 268 cm로 높은 유의차가 인정되었다(p<0.001). 출사에 소요된 평균기간이 2009년에는 103.8일, 2010년에는 90일로 연도에 따른 높은 상관관계가(p<0.001) 나타났다. 2009년도와 2010년도에 모든 품종에서 도복은 일어나지 않았으며 병충해의 피해도 나타나지 않았다. 암 이삭 비율은 모든 품종의 평균 비율은 2009년 23.4%, 2010년 62.1%로 두 배 이상의 차이가 나타났다. 모든 품종의 평균 생초수량은 2009년에 64, 611 kg/ha, 2010년도에 78, 733 kg/ha으로 나타났다(p<0.001). 건물생산량은 2009년 보다 평균기온이 높은 2010년에 많았다. 가소화영양소총량 비율은 강다옥과 청안옥은 2009년도에 높았으며 청사옥과 평안옥은 2010년도에 높게 나타났다. 조단백질의 함량은 모든 품종에서 2009년 보다 2010년에 더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기온과 생육특성 및 수량과의 관계를 보았을 때 고랭지에서는 광평옥과 평안옥이 재배하기 적합한 품종이었다.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tes, growth characteristic and yield of silage corn at Hanwoo Experiment Stat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Daegwallyeong in Gangwon Province located at altitude of 760 m, from 2009 to 2010. The mean minimum temperature was 12.29℃ from seeding to harvest in 2009, 14.30℃ in 2010, the mean maximum temperature was 21.66℃, 23.48℃, respectively. The mean temperature was 16.86℃ in 2009 and 18.66℃ in 2010, respectively. Duration of sunshine was 711.3 hours in 2009 and 663.8 hours in 2010, and precipitation was 893.8 mm in 2009 and 762.1 mm in 2010, respectively. In 2009, for all Kwangpyeongok, Gangdaok, Cheonganok, Cheongsaok, Pyeonganok, the early growth was good with 1.2, while in 2010 the growth for Pyeonganok was good with 1.3 comparing to others, which showed worse growth than in the previous year with 2.4~3.0.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ar height between 2009 and 2010, showing mean value of 86.8 cm and 106 cm for all the species in 2009 and in 2010, respectively (p<0.001). In 2010, stem diameter for all the species were larger,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value of the diameter between 2009 and 2010 (p<0.00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lant height and ear height between 2009 and 2010, showing 200 cm and 268 cm in 2009 and 2010, respectively (p<0.00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days to silk, showing 103.8 days in 2009, 90 days in 2010, respectively (p<0.001). There was no lodging or disease-insect damage in all hybrid silage corn in both 2009 and 2010. The mean ear rates were 23.4% in 2009, but almost doubled, 62.1%, in 2010.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fresh yield between the two years, showing 64, 611 kg/ha in 2009 and 78, 733 kg/ha in 2010, respectively (p<0.001). Dry matter yields were higher in 2010 than in 2009. TDN yields of Gangdaok and Cheonganok were higher in 2009, whereas that of Cheongsaok and Pyeonganok were higher in 2010. Crude protein contents were higher in 2010 than in 2009 for all the spe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