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아의 기질 요인에 따른 영아-교사 간 애착 안정성 및 또래 간 상호작용 차이

        조영아(Cho Young-Ah),김수영(Kim Soo-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영아 기질의 하위요인에 따라 교사와 형성하는 애착 유형 및 또래 간 상호작용에서의 차이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24-32개월 영아 33명과 그들의 보육교사 7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영아의 기질과 교사와의 애착안정성 및 또래 간 상호작용을 측정하는 도구를 사용하여 자료 수집 하였으며 교차분석 및 다변인변량 분석으로 자료처리 하였다. 연구 결과, 기질하위요인 중에서 규칙성, 반응강도, 기분, 지구성, 적응성 요인이 교사와의 애착유형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활동수준, 접근성, 반응역, 주의분산 요인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영아 기질의 하위요인 중에서 반응강도, 기분, 적응성 요인은 또래 간 상호작용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활동수준, 규칙성, 접근성, 지구성, 반응역, 주의분산 요인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subordinate factors of toddler temperament on differences in the peer interaction and the attachment between toddler and teacher. For the evaluation, the toddler temperament questionnaire(TTQ), peer interaction, and attachment Q-set tests were performed on 33 toddlers under 2 years old and 7 teachers in the S child care center located at D city. The test data were analyzed with Crosstabs and MANGVA and the results indicate the followings. First, the subordinate factors of toddler temperament affecting the difference in the toddler-teacher attachment are regularity, intensity of response, positive or negative mood, persistence, and adaptability. Second, the subordinate factors of toddler temperament affecting the difference In the toddler interaction are intensity of response, positive or negative mood, and adaptability.

      • KCI등재

        직무중심 전문대학 비서과 교육과정 사례연구

        조영아(Cho, Young-Ah) 한국비서학회 2016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5 No.2

        교육과 직무간의 미스매치를 해소하기 위한 일환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기반으로 한 교육과정의 개발은 시대적, 정책적 요구에 의해서 전문대학에서는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과제이다. 본 연구는 NCS 기반 전문대학 비서과 교육과정 개발을 한국연구재단(2015)의 가이드라인에 따라서 개발한 H여대의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환경 및 요구분석, 학과 인재양성유형 설정, 직무정의 및 NCS 분류체계 기술, NCS 체계에 의한 직무모형 설정 및 검증, 교과목 도출, 교과목 프로파일 작성, NCS와 교과목 연계성 기술, 직무별 교육과정 로드맵 작성의 총 8단계에 거쳐서 개발이 이루어졌다. 환경 및 요구분석의 경우에는 문헌조사와 설문조사 결과를 빈도분석하였으며, 그 이후의 절차는 내부 전임교원 3인과 외부 산업체위원 4인으로 구성된 교육과정 개발 위원회 회의를 통해서 논의되고 결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도출된 교육과정을 NCS교육과정 이전의 교육과정과 비교함으로써, NCS 교육과정의 특징과, 효과적인 비서 교육을 위하여 보완하여야할 내용을 제안하였다. 결과적으로 업무별로 분리된 교과목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게 할 수 있도록 비서학 개론의 내용이 보강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지며, 종합적인 비서업무상황에서의 업무처리능력을 위해서 종합적인 실무연습 과목의 필요성도 함께 제시되었다. 또한 외국어나 회계 교과목의 경우에 해당 분야의 기본적 지식을 NCS교과목에서 충분히 교육시키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해서 보완할 수 있는 교과목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ementation advice for developing and reorganizing post-secondary secretarial curriculum in according with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Guideline o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2015). The eight development steps are as follows; (1) environment analysis and demand analysis, (2) establish the type for training competent individuals, (3) job definition and description of NCS category structure, (4) job model setup and testing, (5) selection of subjects (6) creating subject profile (7) describing connection with NCS and subjects, and (8) making training map by job.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NCS curriculum and suggests recommendations for more effective secretarial education; resulting from comparisons between NCS curriculum and current curricula. First, the introduction of the secretarial science subject is of greater importance for understanding secretarial duties. Furthermore, the subject for total secretarial practice is neede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breadth of secretarial duties Second, the subject for basic knowledge of accounting or foreign languages is needed for more effective learning. Further study is needed for improved operation, evaluation and quality management of NCS-based curriculum.

      • KCI등재

        비서학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조영아(Cho Young-Ah) 한국비서학회 2007 비서·사무경영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비서학을 전공하는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개인적 변인에 의한 평균차이를 분석하여 비서학 전공 대학생에 대한 진로지도 및 진로상담에 활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의 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서학 전공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전공만족도는 중간값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학년별 분석에서는 저학년보다 고학년의 전공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진로결정수준은 전공만족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만족도가 높은 경우의 진로결정수준이 높아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비서학 전공 대학생이 인식하고 있는 진로장벽 요인 중에서 ‘능력불안(2.57)’, ‘우유부단한 성격(2.55)’, ‘직업정보부족(2.43)’, ‘미래환경불안(2.43)’이 높게 나타났으며, ‘나이(1.69)’, ‘신체적 열등감(1.72)’은 낮게 나타나서 장벽으로 여기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공만족도가 높은 경우 진로장벽요인이 낮게 나타나 진로장벽을 낮추는데 기여하는 중요한 변수임이 밝혀졌다. 셋째, 진로장벽 요인 모두가 진로결정수준에 유의한 부의 영향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입증하였으나 이 관계에 전공만족도가 조절변수로서 역할을 하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공만족도가 진로장벽, 진로결정수준에는 각각 영향을 주는 독립변수로 분석되었으므로 전공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s of career barrier on career decision level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ecretarial science. The theoretical study of each factor was conducted based on literary reviews,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hypothesis that were formulated according to the study's objectives.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ecretarial science, and 279 valid samples were analyzed using SPSS 12.0.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areer decision level and major satisfaction level were higher compared to middle point. The higher the grade was. the lower the major satisfaction level was. Second, anxiety about ability, indecisive characteristics, information shortage, and anxiety about future environment was higher than other barrier factors. The lower major satisfaction level was, the lower career barrier was. Third, all factors of career barrier ha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on career decision level. But, major satisfaction didn't play the role of a mediating variable with this relationship.

      • KCI등재후보

        상담자의 탈북주민 상담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조영아 ( Young A Cho ),방기연 ( Kee Yeon Bang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0 人間理解 Vol.31 No.1

        본 연구는 탈북주민을 상담한 상담자들의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밝힘으로써 탈북주민 상담자들의 경험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갖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탈북주민 상담을 지속적으로 해온 상담자 7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했고 면담 자료를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상담자는 자신이 상담 전문가 역할을 수행하는 것인지 의문을 가졌다. 탈북주민 상담을 시작하면서 상담자는 낯선 상담주제와 상담환경으로 자신감을 상실하였고 상담의 효과에 대해 불안해했다. 또한 외상 경험을 들으며 대리외상화를 경험했지만 적절한 수퍼비전을 받지 못해 소진을 경험했다. 상담을 통해서 북한 사람이나 문화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고 효과적인 개입능력이 향상됨을 경험했다. 탈북주민에게 신뢰감을 주기 위한 인성적 자질을 쌓으려고 노력하였고, 인생의 경험에 대해 수용하고 회복하는 힘이 늘어남을 경험했다. 또한 상담자 자신의 편견에 대해 예민해지면서 탈북주민에 대해 적극적인 옹호자로 변화되어감을 경험하였다. 연구 결과가 탈북주민 상담과 상담자 교육에 미치는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seven counselors` experiences in helping North Korean refugees.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a phenomenological analysis. Counselors reported having been confused about their roles because they often had to perform roles of teacher, neighbor, and social worker. In helping the refugees, the counselors experienced loss of confidence because of the counseling contents and environment they were not familiar with. Also, they experienced burnout due to role conflicts, vicarious traumatization, and lack of supervision. However, they recognized their own biases about North Koreans, becoming more congruent and accepting about their experiences. As they became more sensitive to their own biases, they became advocates for North Korean refugees. Implications for counseling the refugees and counselor education a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비서학 전공 대학생의 비서직 직업존중감이 전공몰입과 비서직 취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영아(Cho, Young-Ah) 한국비서학회 2021 비서·사무경영연구 Vol.30 No.3

        대학에서 비서학을 전공하고 있는 전공생이 비서직에 대해 어떻게 가치평가를 하고 인식하고 있는지에 관한 문제는 대학 생활 중 전공수업에 얼마나 열의를 가지고 참여하고 몰두하는지 그리고 졸업 후의 진로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비서학 전공 대학생이 가진 비서에 대한 직업존중감이 전공몰입과 비서직으로의 취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비서교육 분야에 활용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안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수도권에 위치한 전문대 재학생 512명으로부터 설문을 받아 실증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직업존중감 중 긍정적 인식, 사회적 인정에 관한 변인은 전공몰입과 비서직으로의 취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직업존중감 중 부정적 인식은 전공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취업의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과를 얻었다. 결과적으로 비서직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사회적 인정을 높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부정적 인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둘째, 비서직의 직업존중감이 취업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전공몰입이 부분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어 비서직으로 취업의도를 높이기 위해서 직업존중감, 전공몰입 모두 높이는 것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비서관련학과는 비서직 취업률 향상이 학과 정체성 확립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비서직 직업존중감과 취업의도를 확인하고 그 영향관계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를 통해서 도출된 결과를 통해서 비서교육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며, 직업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변인에 대한 후속연구가 계속되기 바란다. Secretarial major students" perception of secretarial jobs is related to their enthusiasm for their major classes and their career path after graduation. To verify thi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secretarial college students" job-esteem for secretaries on their commitment to their major and their intention to work as a secretary. This study was also aimed at suggesting implications that can be used for secretarial education. The results of an empirical analysis after receiving a questionnaire from 512 college student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positive perception and social recognition among elements of job-esteem positively affected on major commitment and intention to work as a secretary. However, it was found that negative perception negatively affected major commitment and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employment intention.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ositive perception and social recognition of the secretarial position, while at the same time minimizing the negative percep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major commitment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esteem of the secretary job and the job inten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confirmed the occupational respect and employment intention pertaining to the secretarial position and verified their relationship.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follow-up studies on the antecedent variables affecting job esteem will continue in the future.

      • KCI등재

        비서·사무교육에의 적용을 위한 스마트워크 탐색 연구

        조영아(Cho, Young-Ah),이화진(Lee, Wha-Jin) 한국비서학회 2020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9 No.3

        2011년 국가적인 스마트워크 추진노력에도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으나, 2020년 코로나19로 인한 재택근무가 본격화되었다. 코로나19로 인한 일시적인 현상이 아닌 지속적인 근무형태와 사무환경의 변화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는 스마트워크에 관한 탐색적 조사를 통해서 비서·사무연구 및 비서·사무교육에서 향후 적용해 나가야할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마트워크 개념과 유형, 비서학에서의 스마트워크 연구, 비서관련학과에서의 스마트워크관련 교육현황을 문헌고찰하였다. 연구결과 비서학에서 스마트워크 연구는 아직 미진한 상태이며, 비서관련학과에서 스마트워크에 관련한 교육도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스마트워크와 관련한 전반적인 연구동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저자키워드 네트워크분석으로 조사하였다. 스마트워크 연구동향을 탐색한 결과, 국내 스마트워크 연구는 공학과 사회과학 분야에서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연구주제로는 ‘스마트워크, 프레임워크, 스마트폰, 스마트워크센터, IoT, 서비스, 원격근무, 보안, 모바일오피스, ICT’ 등을 저자키워드로 하는 연구가 가장 활발하였다. 또한 ‘스마트워크, 프레임워크, 서비스, IoT, 보안, 모바일’은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이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들 저자키워드는 다른 저자키워드들과 가장 많이 연구되고, 다른 저자키워드 및 연구로 가장 빠르게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저자키워드 간의 연결을 촉진시킬 수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비서·사무교육에 스마트워크 관련 내용을 적용할 시사점을 마지막으로 제안하였다. 향후 실제 업무환경을 고려한 현장성 높은 교육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2011, the nation"s efforts to promote smart work did not achieve remarkable results, but in 2020, telecommuting prompted by the COVID-19 pandemic began to take off. Continuous working patterns and changes in the office environment are expected to continue and are not just a temporary phenomenon caused by COVID-19.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that should be applied in the future of secretary/office research and secretary/office education through exploratory research on the rapidly expanding smart work.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is paper reviews the literature on the concepts and types of smart work, the study of smart work in secretarial studies, and the status of education related to smart work in secretary-related departments. An examination of smart work research trends revealed domestic smart work research to be the most common in the field of engineering and social science. The following research topics were most active: smart work, framework, smartphones, smart work center, IoT, service, remote work, security, Mobile Office, and IC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applying smart work-related content to secretary/office education were finally suggested. The contents related to smart work will be reflected sufficiently in secretary and office education and used as basic data for education, reflecting a more practical smart work environment.

      • KCI등재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성인 근로자의 경력관리행동 발현과정

        조영아(Youngah Cho) 한국진로교육학회 2017 진로교육연구 Vol.30 No.1

        이 연구는 성인근로자의 경력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인간 행동을 예측하는 데 적용되어 온 계획행동이론을 모델로 경력관리행동과 계획행동이론의 주요 변인인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및 의도 간의 구조적 모형을 설정하고 이들의 영향 관계를 확인하였다. 성인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64명의 설문이 최종분석에 활용되었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연구 모형의 적합도, 변인 간 직 간접효과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경력관리행동,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의도 간의 가설적 구조모형의 적합도가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설적 구조모형의 직접 경로계수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는 의도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며,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의도는 경력관리행동에 직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친다. 셋째, 경력관리행동과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의 관계에서 의도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즉,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는 의도를 매개로 경력관리행동에 간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성인 근로자의 경력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과 이들의 유기적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경력관리행동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장시키고, 개인 및 조직에게 경력관리행동을 촉진시키고 발현시키는 데 관련 요인들을 잘 관리하고 강화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structural relations among career management behavior, attitude,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ntention of employee. The population of for this study was all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A total of 364 surveys was used for analysis. Windows SPSS 18.0 and AMOS 18.0 statistics program were used to verify descriptive analysi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research model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Inferential statistics result concluded the standard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at .05. From th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made. First, the goodness-of-fit of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of career management behavior, attitude,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intention of employee was satisfactory which confirm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he variables. Second, attitude had a direct effect on intention and an indirect effect on career management behavior with the mediation effect of intention. Third, subjective norm had a direct effect on intention, career management behavior and an indirect effect on career management behavior with the mediation effect of intention. Fourth,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had a direct effect on intention, career management behavior and an indirect effect on career management behavior with the mediation effect of intention. Fifth, intention had a direct effect on career management behavior. Especially, intention took a crucial role as a mediating variable when all variables affected career management behavior.

      • KCI등재

        신입여성비서의 조직사회화 전략의 효과성에 대한 정보탐색행위 및 자기유능감의 조절효과

        조영아(Cho Young-Ah) 한국비서학회 2008 비서·사무경영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여성신입비서의 조직사회화 전략이 조직사회화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서 정보탐색행위 및 자기유능감이의 조절영향을 함께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3년 미만의 경력을 가진 신입여성비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구조방정식모델을 이용하여 가설검증을 하였다. 조사결과 조직사회화 전략 정보탐색행위, 자기유능감이 각각 조직사회화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사회화 전략과 조직사회화 효과성 관계에서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4개의 가설은 모두 부분채택되어 연구는 유효한 결과를 얻었다. 연구 결과에서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서에게는 형식적이고 획일적인 신입사원 교육보다는 개별화된 현장에서의 교육 훈련이 더 효과적인 적응에 도움이 되므로 on-the-job 교육훈련을 통한 사회화를 꾀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둘째, 정보탐색행위 및 자기유능감이 조직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이므로, 스스로 주도적으로 조직 및 업무에 대한 정보를 탐색하고 찾을 수 있는 분위기 조성과 자기유능감을 가질 수 있는 교육훈련이 팔요하다. 셋째, 상사와 동료의 관심과 협조 역시 조직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신입비서에 새로운 조직에 잘 적응하도록 다각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위 시사점은 신입비서를 위한 효과적인 조직사회화 전략 수립을 위해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interaction of organizational and personal dimension through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information-seeing activities and self-efficacy on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tactics of newcomer secretary. In order to do thi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from 121 newcone secretaries and were analyzed to test hypotheses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AMOS 7.0.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ructured and monolithic orientation for newcomers can interfere with adaptation for work group and job of newcome secretaries. Accordingly, individualized on-the-job training will be more effective for secretaries. Second, information-seeking activities and self-efficacy positively influenced on organization adaptation. Third. assistance and cooperativeness of superior and coworkers also have positive effect of secretary’s adaptation. Finding from this study provide information that may be useful to th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secretaries.

      • KCI등재

        남한 내 북한이탈여성의 차별경험 과정

        조영아(Young-A Cho)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5 여성연구 Vol.89 No.-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여성이 남한에서 경험하는 차별 경험과정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남한에서 차별을 경험하였고 거주한지 2년 이상의 북한이탈여성 12명에 대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 이론적 방법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130개의 개념, 55개의 하위범주, 26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패러다임 분석 결과, 무시하는 느낌이 듦, 울분이 쌓임이라는 중심현상이 도출되었으며, 사회 관계적 배제, 노골적인 모욕, 고용 불평등이라는 인과적 조건과 심리적 고통이 큼, 서로에 대한 편견이 큼, 사회문화적 차이, 적대적 북한관계, 사회적 경쟁관계라는 맥락적 조건이 나타났다. 또한 작용 / 상호작용 전략으로는 인내하기, 주장하기, 생각 전환하기, 노력하기, 노출수위 조절하기, 지지구하기가 사용되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결과로는 차별사건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함, 차별 사건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으로 변함, 강인해짐, 북한사람 정체감이 강해짐, 남한사람에 대 한 신뢰 가 감소함이 나타났다. 차별과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분석한 결과, 차별인식 단계, 모멸감과 울분단계, 인내와 내적노력단계, 소통과 외적대응단계, 변화와 예방단계로 나아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멸감을 견디고 부당함을 개선하며 나아가기’가 핵심범주로 도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여성 차별과 관련된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추후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discrimination experience process for North Korean women defectors in South Korea. Twelve North Korean women refugees who experienced discrimination after 2years residing in South Korea were interviewed and their answers were analyzed using grounded theory by Strauss & Corbin(1998). As the result, the collected data rendered 130 concepts and 55 sub-categories which was deduced to 26 categories. The following are the key categories resulted by the paradigm axial coding. The central phenomenon were feeling of being neglected and growing pent-up anger. The casual conditions were social-relational exclusion, downright insult, and employment inequality. The context conditions were high psychological distress, high mutual prejudice, socio-cultural difference, hostile relationship with the North, and social competition relationship. The Action/ Interaction strategies were enduring, asserting changing the thought, endeavoring, controling the level of openness. and getting support. The end result were getting positive to discrimination, getting negative to discrimination, being stronger, increase of North Korean identity, and lost of trust for South Korean. By carrying out the course analysis through the paradigm, five stages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were identified: discrimination awareness, contempt and pent up anger, endurance and inner effort, communication and external coping, and change and prevention. The core category' Making a way with bearing contempt and improving injustices' were deduced from the data. Finall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discrimination toward North Korean women and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