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공관정을 이용한 밭관개시설물 취약 지역 구분 방법 연구

        신형진 ( Hyungjin Shin ),이재영 ( Jaeyoung Lee ),조성문 ( Sungmun Jo ),차상선 ( Sangsun Cha ),박찬기 ( Changi Park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가뭄은 농업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는 자연재해로 전 세계의 농업생산시스템 및 수확량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강수량의 부족은 전국 대부분의 저수지에서는 저수율 부족, 지하수에서는 지하수위 저하가 발생하여 이로 인해 논·밭작물들이 말라가는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작물들의 피해로 가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크게 고조되었으며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가뭄의 기간이 길어지고 가뭄의 강도도 강해짐에 따라 밭작물의 가뭄 피해가 속출할 것으로 판단되어 밭관개시설물의 관개성능 및 능력에 대한 취약정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시도군의 밭관개시설물(공공관정 기준)의 가뭄에 대한 취약성평가를 통하여 취약지역을 구분하였다. 실태조사항목은 긍정적영향, 부정적영향 항목으로 구분하여, 긍정적영향은 강수량, 지하수위, 경지면적당양수량 등 3개 항목으로 선정하였으며, 부정적영향은 경지면적, 무강우일수, 상수도보급률 등 3개 항목으로 선정하였다. 실태조사 조사기간은 2007년∼2016년 10년 동안의 통계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실태조사 후 스케일재조정법에 의한 표준화 및 계산식 활용 등 밭관개시설물(공공관정)의 가뭄에 대한 취약성평가 절차에 따라 취약성점수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 전구 157개 지역 중 매우취약한 지역 136개 지역, 취약한 지역 14개 지역, 보통인 지역 3개 지역, 양호한 지역 4개 지역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취약성평가를 통한 취약지구 구분을 통하여 향후 밭관개시설물의 개발 또는 유지보수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