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영재 고등학생의 문제발견과정 개인차 유형 분석

        조대기(Cho, Dae-Ki),한기순(Han, Ki-Soo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5 창의력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과학영재 고등학생들의 문제발견과정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이해하고 이를 기초로 문제발견과정의 개인차 유형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과학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2년에 걸쳐 인터뷰 및 참여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질문하기와 비교하기를 통해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하여 4개의 문제 발견과정의 개인차 유형을 도출하였다. 문제발견과정의 개인차 유형은 소극적 문제발견유형,가치로운 문제발견유형, 평범한 문제발견유형, 혼란한 문제발견유형으로 나타났고, 이를 구분하는 중요한 특징은 전문가 집단의 지원과 참여자의 전문성, 수렴적 사고로 나타났다. 전문가집단의 지원과 참여자의 전문성, 수렴적 사고에 따라 참여자들이 연구에서 어떤 과정을 거치 는지를 인터뷰내용의 개방코딩을 통해 비교 제시하였고, 이를 통해 학생들의 문제가 어떻게구조화되는지를 분석하였다. 문제발견 과정에서 중요하게 드러난 전문가의 지원과 전문성, 수렴적 사고는 문제발견 교육 맥락에서 논의되었다 propose individual variation among science gifted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difference in process of problem discovering, data has been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for two years from 20 students currently attending science high school. 4 types of individual variations has been derived from collected data analyzed through questioning and comparing. 4 individual types in process of problem discovering are passive type, valuable problem discovering type, normal problem discovering type, and chaotic problem discovering type, each type distinguished by support from expert group, and individual specialty and conversant thought. According to support from expert group, and individual specialty and conversant thought, participants’ performance in the research were compared and proposed through open coding of interviews, thus followed analysis on mechanism of the way students’ problems are structured. Support from expert group, and individual specialty and conversant thought that were shown to be important in the process of problem discovery we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problem discovering education

      • KCI등재

        과학예술영재학교 학생과 교사의 창의융합교과 경험에 관한 문화 기술적 탐구

        조대기(Cho, Dae-Ki),한기순(Han, Ki-Soo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0 창의력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에서는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들이 교육 과정 내에서 잘 적용되지 못하는 이유를 알아보기 위해 과학예술영재학교의 교육과정 내에서 적용되고 있는 창의융합교과를 수업한 교사와 학생 경험을 탐구해보았다. 연구자는 직접 수업을 진행하기도 하고, 관찰과 인터뷰를 통해 학생들과 교사들의 경험을 정리하였다. 그 결과 창의융합교과는 연구 활동과 상호작용이 적고, 보통교과와도 상호작용이 잘 안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의융합교과 운영을 위한 교육과정협의와 Co-teaching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과학예술영재학교 학생들은 보통교과에 비해 창의융합교과의 낮은 내용 수준에 불만을 가지고 있었으며, 교사들은 융합적인 내용을 구성하고 수업을 준비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창의융합교과는 흥미로운 체험과 산출물 제작을 중심으로 하며 지식을 탐구하는 면은 소홀한 부분을 개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창의융합교과의 개선을 위해서는 연구 활동, 보통교과와 연계되는 내용적인 측면의 개선과 창의융합교과 간 co-teaching하는 교사간의 유기적인 협업을 위한 적극적인 교육과정 협의회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find out why the programs of STEAM education fails to be adopted to the STEAM curriculum through sharing the experiences of teachers and students in Incheon academy of art and science whose curriculum includes STEAM subjects. Teachers and students have been observed and interviewed including my classes, which are sources of this study. It turned out that teachers reconstruct the curriculum of STEAM based on their own teaching styles and experiences. As a result, it leads to the disorganized class, which cannot meet the needs of students who want more challenging tasks. According to a survey, most of achieving students from Academy of Science & Arts ask for more specialized and higher level of tasks. However, their motivation toward STEAM is not so high because of the university entrance exam. Teachers also have difficulty in teaching students who have the low motivation. That is because they have to organize STEAM classes which includes both doing researches and learning normal course of study such as literature and liberal arts. To solve this problem, groups of teachers who are in rapport, well-organized contents for crossover and task force for the curriculum for the STEAM must be a prerequisite.

      • KCI등재

        과학영재 고등학생의 과학분야 문제발견과정 분석: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조대기 ( Dae Ki Cho ),한기순 ( Ki Soon Han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5 교육인류학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과학영재 고등학생의 과학분야 문제발견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기초로 문제발견과정 유형을 제안하기 위해 과학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 2학년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 방법을 제시하였다. 연구자는 대략 2년 3개월의 기간에 걸쳐 이들을 인터뷰하고 이들의 문제발견 과정을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문제발견과정에서 문제발견과정에 대해 65개의 개념과 33개의 하위범주, 1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핵심범주로는 ‘혼란하고 불완전하게 착상된 생각의 발전 및 퇴행’을 찾아냈으며, 과학영재 고등학교 학생들이 문제발견과정에 대한 과정분석 결과는 준비단계, 착상단계, 발전 및 퇴행단계, 최종문제 제작단계로 정리되었다. 또한 과학영재 고등학생의 과학분야 문제발견과정의 유형은 소극적 문제발견유형, 가치로운 문제발견유형, 평범한 문제발견유형, 혼란한 문제발견유형 등 4가지로 제시되었다. 본 연구 결과로 얻은 범주와 패러다임 모형, 4개의 문제발견유형은 과학영재 고등학생의 과학적 문제발견과정에 대한 이해와 과학영재 학생들의 연구 활동에 중요한 부분인 문제발견 교육 맥락에서 논의되었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how and what gifted students in science high schools experience during the problem-finding process using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by Strauss and Corbin (1998). Twenty students, who are currently progressing or have ended their research within the past year at a science high school in a metropolitan area, were recruited as participants of the present study. They were interviewed and observed during a two-year and three-month period. Data from in-depth interviews were collected and categorized with open and axial coding, which lead to 65 concepts, 33 sub-categories and 12 categories. The different stages of the process of problem finding were: ‘a preparatory stage,’ ‘a stage of development or regression,’ and ‘ a stage of problem,’ while the main category of the problem-finding process was shown as confused and incompletely conceived thoughts. Accordingly, 4 types of problem-finding were categorized as ‘passive problem finding type,’ ‘valuable problem-finding type,’ ‘ordinary problem-finding type,’ and ‘confused problem-finding type.’ Data, paradigm models, and four types of problem finding are discussed considering how science-gifted students find scientific problems and how they are taught important scientific problem finding when they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